말레이시아 '쿠란·밸리 LRT3호선 프로젝트', 내년 말 시동 BU-Klang LRT3 project to begin end of next year

 

 

[Relevant link]

Prasarana lauds plan for LRT3 and MRT2 in 2015 Budget

http://www.myrapid.com.my/media-centre/media-releases/2014/prasarana-lauds-plan-lrt3-and-mrt2-2015-budget

kcontents

 

 

말레이시아 공공 육운위원회(SPAD)는 이번에 쿠란·밸리 경량 고가 철도(LRT)3호선 계획에 대해 2015년 말에 시작한다는 견해를 나타냈고, 뉴·스트레치·타임즈가 10월 15일 보도했다.

 

SPAD의 모하마드·누르·카말 최고 경영책임자(CEO)에 따르면, 공공 수송기관을 소유한 국영 기업인 푸라사라나·말레이시아가 제안한 셀랑 고르 주의 반다르·우타마 와 쿠란을 잇는 노선에 대한 실현가능성 조사의 승인을위한 노력을하고있다.

 

LRT3호선은 반다르·우타마의 대량 고속 수송 시스템(MRT)역을 기점으로 트로피카나와 하이코무 - 글렌 마리 공업단지, 샤아라무·스타디움, 마라 공과대학, 부키·라자을 거쳐 쿠란 말레이 철도(KTMB)역 까지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개발 비용은 90억 링깃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공사에 관한 입찰은 2015년 6월에 개시할 예정이다.

 

푸라사라나에 따르면, LRT3호선은 프로젝트·딜리버리·파트너(PDP)컨셉을 기반으로 개발 될 예정이다. 빠르면 2015년에 PDP를 지명하고 공사 발주 후 4 ~ 5개월 후에 착공 할 수 있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MRT1호선에서는 PDP 컨셉이 채용되어 있으며, MMC 가무다 KVMRT가 PDP에 지명되어있다.

http://response.jp/

 

 

BU-Klang LRT3 project to begin end of next year

 

KUALA LUMPUR:

CONSTRUCTION on the much-anticipated third light rail transit (LRT3) line linking Bandar Utama and Klang is expected to begin by the end of next year.

 

Land Public Transport Commission (SPAD) chief executive officer Mohd Nur Ismal Mohamed Kamal said the commission was in the midst of approving the feasibility study on the route alignment proposed by Prasarana Malaysia Bhd.

More than 300,000 commuters are expected to benefit from this line.

 

“We (SPAD) are refining the alignment of the 36km-long project before we submit it to the railway scheme application soon.

 

“Prime Minister Datuk Seri Najib Razak, who is also the finance minister, will take a look at it and give the conditional approval before we can release it for public display,” he told the New Straits Times yesterday.

 

Nur Ismal said the public could give their suggestions and comments on the proposed alignment during the three-month display period before it was submitted for the final railway scheme application.

 

“We will refine the plan for the proposed LRT3, including the alignment, before implementing the initiative.”

 

Nur said the RM9 billion project would begin from the Bandar Utama Mass Rapid Transit station, which was under construction.

 

“The line will go on to Tropicana before cutting across Hicom-Glenmarie Industrial Park, heading for Shah Alam via Section 13 near the Shah Alam Stadium, Universiti Teknologi Mara in Section 2 and i-City in Section 7.

 

“The train will then travel down Bukit Raja to the Klang KTM Komuter station before heading further south for Bukit Tinggi and Johan Setia,” he said, adding that there would be 26 stations in the route.

 

He said there would be 10 park-and-ride stations and four integrated stations, which would connect the MRT, LRT Kelana Jaya line, RapidKL’s Bus Rapid Transit and Komuter services.

 

Najib, during the tabling of the 2015 Budget, had announced an allocation of RM9 bill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LRT3 project to boost connectivity and mobility among residents in Greater Kuala Lumpur.

 

Tenders to build the LRT3 line will be called around June.

 

Prasarana group managing director Datuk Seri Shahril Mokhtar told the NST yesterday that he hoped that construction could start four to five months after the tender was awarded.

 

He said Prasarana would start to craft out the programme for the construction with a project delivery partner (PDP) as early as next year.

 

Prasarana is a wholly-owned government unit set up by the Finance Ministry and is the operator and asset owner of LRT lines.

 

LRT3 will be developed on a PDP concept and the tender for this would be called within the next one to three months, said Shahril.

 

“It will be an open tender and anyone can bid for it to render their services as a PDP, but they have to meet the criteria. We are setting the criteria now (and this) will be announced within the next month.

 

“Once we have appointed the PDP, we will sit down with them and craft out the programme for the project. The target is that the project should start the latest by the fourth quarter of next year.”

 

The PDP concept has been adopted in the Klang Valley My Rapid Transit (MRT) Line 1 development from Sungai Buloh to Kajang.

 

MMC Gamuda KVMRT Sdn Bhd was appointed as PDP for the MRT Line 1 in February 2012.

 

Under the agreement, the PDP will receive a fee of six per cent of the total aggregate work package contract value.

 

Should the eventual total cost of the project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target cost, the PDP shall be entitled to the full fee. But if the project cost is more than the target cost, the PDP fee shall be reduced in accordance with an agreed formula.

http://www.nst.com.my/node/43084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광명 '가학산 근린공원 조성사업' 본격 추진...광명 가학동굴 관광사업 활력

국토부,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 변경안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최종 심의 통과

광명 가학동굴 포함

 

가학산 근린공원 조감도

  

 

광명 가학동굴

 

 

올 한해 40만 명이 방문한 수도권 유일의 금속 폐광산을 복합문화광광지로 재탄생시킨 광명동굴을 포

함한 가학산 근린공원 조성사업이 10월 16일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최종 통과함으로써 광명동굴에 관광 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

 

가학산 근린공원 조성사업은 지난해 11월 28일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폐광산 토양오염 치유 및 저감방안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도록 하는 조건으로 심의 의결된 바 있다.

 

그동안 광명시에서는 폐광산 토양오염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하여 한국광해관리공단과 함께 가학산 환경정밀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2014년 10월부터 2016년 6월까지 토양오염정화사업 등 광해방지사업 시행 계획을 16일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보고하고,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이를 수용함으로써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안이 최종 승인되었다.

 

앞으로 광명시는 후속 행정절차를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광명동굴에 관광사업 및 가학산 근린공원 조성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가학산 근린공원에는 광명동굴 및 가학산 방문객을 위한 전망대, 카페테리아 등 편익시설과 암석원, 물소리쉼터 등 조경시설, 피크닉장 및 야생화원 등 휴양시설, 에코어드벤처 등 놀이시설, 암벽등반코스 등 운동시설, 전시장, 수목원 등의 관람시설이 계획되어 있다.

 

광명시는 가학산 근린공원에 대한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통과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공원이 조성되면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KTX 광명역세권과 연계해 국내뿐 아니라 중국, 일본, 동남아 등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명시 관계자는 “가학산 근린공원 사업은 행정절차 및 예산 등을 감안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며, 이미 개발을 시작한 광명동굴을 관광명소로 우선 개발하는 데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명시

 

위치도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판교 건물 환기구 붕괴사고에 대한 단상 - 황기철

 

사고 전 환기구, 스틸그레이팅(덮개)이 움푹 들어가 있다. 이는 전에도 사람들이 올랐다는 반증이다.

출처 동아일보

 

판교 야외공연장 환풍구 덮개 붕괴 당시
 (서울=연합뉴스) 17일 오후 5시 53분께 성남시 분당구 판교테크노밸리 유스페이스 야외공연장에서

환풍구 덮개 위에서 걸그룹 공연을 관람하던 관람객 20여명이 덮개가 붕괴되면서 아래로 추락했다.

사진은 붕괴 당시 상황을 독자가 휴대전화로 촬영한 동영상 장면. (독자 제공)

 

 

[환기구(환풍구) 붕괴 사고]

 

환기구는(환풍구라는 용어는 사용치 않음) 건물 안의 탁한 공기를 밖의 맑은 공기와 바꾸기 위해 벽이나 천장에 뚫어 놓은 시설이다.

 

지하철이나 대형 건물의 환풍구는 지상 2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해야 한다.

 

환풍구에서 나오는 공기가 보행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으며 병든 건물 증후군에 대한 연구가 발표됨에 따라 환풍구에 대한 청소의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원래 환기구 상단에는 하중 기준 없다.

그것은 다시말해 사람들이 올라가서는 안된다는 의미다.

 

어느 정도 하중은 견디겠지만 이처럼 20~30명이 한꺼번에 올라가서 발을 구르면 안무너질 수가 없다.

 

따라서 사고 원인은 환풍구 시설 자체보다 행사에 따른 안전관리 상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하중 기준을 정하고 아니면 안전표지나 접근금지 펜스 설치 등 관리 상의 안전대책을 법을 정해야 할 것이다.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애도의 뜻을 표합니다.

<에디터 황기철>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키르기스스탄, '물장사' 논란 키르기스(Kyrgyz) 수력발전소 건설 착수

러시아 회사 시공 운영 맡아

 

 

[키르기스스탄 Kyrgyz Republic]

인구 : 5,192,000
면적 : 199,945
수도 : 비슈케크
정체·의회형태 : 중앙집권공화제, 다당제, 양원제
국가원수/정부수반 : 대통령/ 대통령
공식 언어 : 키르기스어·러시아어
독립년월일 : 1991. 8. 31
화폐단위 : 솜(som/K. S.)

공식 이름은 키르기스스탄 공화국(Kyrgyz Republic/Kyrgyz Respublikasy). 옛 이름은 Kirgiziya, Kirghizia, Kirgiz Soviet Socialist Republic.
중앙 아시아에 있는 국가.

 

다음백과사전

kcontents

 

 

중앙아시아의 키르기스스탄이 역내 '물장사' 논란으로 건설이 지연됐던 수력발전소들을 착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가 된 2개 수력발전소의 건설 및 운영을 맡은 러시아 국영 수력발전회사 '루스기드로'는 16일(현지시간) "오늘 키르기스 수력발전소의 건설 공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고 이타르타스 통신이 전했다.

 

예브게니 도드 루스기드로 사장은 "모든 준비작업이 끝났다"며 "우선 2016년부터 4개의 발전기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2019년부터는 정상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지역은 앞으로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곡창지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발레리 딜 키르기스 부총리 또한 기자들을 만나 "오늘은 역사적인 날"이라고 평가했다.

 

키르기스 남부의 나린 강 상류에 들어서는 이 수력발전소들은 완공 시 하류지역인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용수 공급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해 건설을 놓고 역내 갈등을 불러왔다.

 

이 때문에 러시아가 직접 중재에 나서 당사국들은 2012년 건설에는 합의했으나, 운영문제를 놓고 신경전이 계속돼 착공은 2년이나 늦어졌다.

 

현재 키르기스는 하류지역의 용수공급에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카자흐와 우즈베크는 키르기스가 발전량 조절을 핑계로 본격적인 물장사에 나설 것을 우려한다.

 

연간 9억4천240만KWH의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알려진 이 발전소들은 루스기드로가 25년간 운영을 맡으며 러시아 정부는 지금까지 해당사업에 4천900만달러(약 522억원)를 투자했다.

(알마티=연합뉴스) 김현태 특파원 mtkht@yna.co.kr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중국, 골프장 건설 붐...5년내에 1000개 넘을 듯 Building Golf Courses in China: An Illegal and Booming Industry VIDEO

경제 소득 높아져

2004년 골프장 178개에서 521개로 급증

정부 세수에도 도움되나,

난 개발 우려 정부 규제 늘어나

 

 

Photograph by Wang Zhao/AFP via Getty Images

 

화산 용암지대에 위치해 멋진 풍경을 자랑하는 세계최대 골프장 미션힐 골프클럽의 1코스

kcontents 

 

 

중국은 원래 골프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골프도 축구처럼 중국이 종주국이라고 주장하는 중국인들이 없는 것은 아니었으나 금세기 초까지만 해도 골프 인구는 터무니 없이 적었다.

 

골프장은 더 말할 필요조차 없었다.

베이징만 해도 지난 세기 말까지 골프장 수가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였다. 

 

그러나 지금 상황은 그렇지 않다. 마치 골프 마니어들의 천국이 되지 않을까 싶을 만큼 골프장 건설 붐이 일고 있다.

 

중앙 정부에서는 가능한 한 건설을 억제하려고 하나 도무지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유력 경제지 징지찬카오바오(經濟參考報)의 17일 보도는 현재의 상황을 무엇보다 잘 말해주지 않나 싶다. 이에 따르면 지난 2004년만 해도 중국에는 골프장이 178개 밖에 되지 않았다.

 

그러나 거의 10년이 지난 지금은 무려 521개에 이른다. 무려 3배 가까이 늘어났다.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사실에 있다. 5-6년 내에 1000개는 가볍게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허가를 받지 않고 영업을 하는 연습장이나 골프 학교의 그린까지 합치면 그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이처럼 너무 심하다고 할 정도로 골프장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히 수요가 뒷받침되기 때문이 아닌가 보인다.

 

 

골프 src

베이징의 한 골프장에서 최근 열린 동호인 골프대회. 중국이 골프장 천국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제공=검색엔진 바이두(百度).

또 멀리 보면 골프장 건설이 돈이 되는 사업이라는 현실 역시 무시하기 어렵다. 여기에 지방 정부들이 세수 확보 차원에서 골프장 건설을 은근히 반기는 것도 나름의 이유로 꼽힌다. 

 

문제는 골프장이 너무 난개발되고 있는 사실이 아닐까 싶다. 실제로 베이징과 상하이(上海) 등의 대도시 외의 대부분 지방 정부는 개발 신청을 하면 바로 허가를 내주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과도한 살충제와 농약 등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 오염은 더 말할 필요조차 없다. 중앙 정부가 매년 꾸준히 골프장 건설과 운용과 관련한 규제를 내놓고 있는 것은 다 이 때문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중국 전역의 골프장은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경제 규모가 커지고 국민들의 경제 사정이 날이 갈수록 좋아지는 탓에 고급 스포츠에 대한 욕구 역시 커지기 때문이 아닌가 보인다.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41017010010532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mhhong1@asiatoday.co.kr

 

 

Building Golf Courses in China: An Illegal and Booming Industry

 

by Christina Larson

Clearing the way for a golf course in China's southern Hainan province early in 2103

Like the U.S., China has an extensive national park system. Still, its designated parklands aren’t always protected from economic development. On Tuesday, Beijing Youth Daily published an investigation into how 20,000 acres of protected land in southern China’s Guizhou Forest Park were converted into golf courses, padding the pockets of local developers.

 

A  telling note: Since 2004, construction of new golf courses has been illegal in China, following a directive of the State Council. The poorly enforced regulation hasn’t stopped the number of golf courses from multiplying from 170 in 2004 to more than 1,000 today—a more than fivefold increase in a decade, according to the paper.

 

The quixotic rise of golf in China—where Mao Zedong once lambasted putting as a bourgeois pastime—is the subject of a new book by the Asia Society’s Dan Washburn. In The Forbidden Game: Golf and the Chinese Dream, a charming and accessible work, Washburn follows the lives of three men whose careers are shaped by the sport: an American golf course designer who finds work in China, a budding Chinese tournament golfer, and a farmer whose land is converted into fairways.


As Washburn observes: “Golf, its emergence and growth in China, is a barometer for this change and the country’s rapid economic rise, but it is also symbolic of the less glamorous realities of a nation’s awkward and arduous evolution from developing to developed: corruption, environmental neglect, disputes over rural land rights, and an ever-widening gap between rich and poor.”

 

As golfing shops and even golf-focused magazines proliferate in China, so do stories of land-grabbing and graft involved in greasing construction deals, such as the report in Beijing Youth Daily. Meanwhile the prestige of joining golf clubs grows—providing opportunities to network with wealthy and well-connected peers—as do potential political pitfalls. Washburn reports that, in an attempt to duck headlines, China “politicians register at golf courses using fake names.”

businessweek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정신 나간 '판교 환기구 붕괴' 사고대책본부 브리핑

아침에 불안한 마음을 갖고 긴급 '판교 환기구 붕괴 사고대책본부' 브리핑 뉴스를 봤다.

 

첫 마디가 돈 얘기부터...장례비 운운...

국민에게 사과한다는 얘기가 그리도 어려운가?

 

돈으로 위로하려는 의도가 엿 보인다.

 

세월호 사고가 마무리도 채 안된 시점에서 젊은 대변인 한사람 내보내

무슨 말도 안되는 브리핑을 한 걸까?

 

안전 불감증 해소는 커녕 전과 전혀 달라진 게 없다.

 

그리고 오늘 새벽 대회담당자가 자살했다는 슬픈 소식이 보도됐다.

중압감을 견디지 못하고 옥상에서 투신했다는 내용이었다.

 

사고 책임자들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그리고 판교테크노밸리 주최 담당자 일 것이다.

 

하루빨리 대국민 사과 발표하고 비통에 빠진 유가족 그리고 부상자 가족에게 엎드려

사죄해야 할 것이다. 

 

황기철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판교 야외공연장 환풍구 붕괴 - 4층 높이 추락 사망자 16명

사망자 16명 중상자 11명 중상

 

판교 환풍구 덮개 붕괴사고 부상자 이송 (성남=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 17일 오후 지하 환풍

구 덮개가 붕괴돼 수 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테크노밸리 야외공연

장 사고 현장에서 소방관계자들이 부상자를 이송하고 있다.

[동영상]

http://tvpot.daum.net/v/v0de8K5l5lEzE9XaXlK99a0

SBS | 조을선 기자

 

 

그리드형

댓글()

[데일리건설뉴스 Daily Construction News]2014년 10월 17일(금) CONPAPER

 

Daily Construction News

[데일리건설뉴스]2014년  10월   17일(금) CONPAPER

 

 

● 이란, 28억달러 규모 '테헤란 국제 물류 허브공항' 만든다 Iran Plans $2.8 Billion Airport Expansion,

   Adviser Says

● 인천시, 경제성 부족 '서창~장수 고속도로' 건설 재추진 논란

● 인도네시아 거대 방조제 자이언트씨월 Giant sea wall' 1단계 공사 착수 Jakarta to Start With

   Ambitious $34b Giant Sea Wall Project VIDEO

● 건설방식 논란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 3공구 구간' 지하화하기로

● 대우건설, 3100억원 규모 '포천복합(1호기) 발전사업 운전·정비(O&M)사업' 수주

● 신세계건설, 440억 규모 '여의도 잠사회관 신축공사' 수주

● 안동시, 438억원 규모 ‘예안현 문화단지조성사업’ 본격 추진

● 국내 건설사 올 아시아지역 수주 실적, 작년대비 절반 불과

● 한라, 1630억 규모 '현대백화점 송도아울렛 신축공사' 수주

● 서울시, 자전거 간선도로망 재추진...도로 이용 빈도 분석 중

● 국토부, "보금자리 해제된 광명, 지하철역 5개 신설" 언론보도 해명

● 남경대학살과 일본군 위안부 [임종건]

● '핀업의 대부' 톰 켈리의 마릴린 몬로 사진 '레드 벨벳' From nude playmates and scantily clad

   strippers to a pre-fame Marilyn Monroe ..VIDEO

● "포승~평택 산업철도 미군전용 철도 되나"...미 개통구간 장기간 방치 우려

● 동아에스텍, 203억 규모 '쿠웨이트 코즈웨이 교량 난간 제작' 수주

● <그래픽 동영상> 美 에볼라(Ebola) 의료진 보호장비 체계 Ebola Protection: Most hazardous stage is

  taking off Hazmat suit VIDEO

● 일본, 떠서 주행하는 초고속 '리어 중앙 신칸센 고속철' 착공 5 Things to Know About Japan’s

   Shinkansen Bullet VIDEO

● [2014국정감사] 2016년 BIM 의무화 회의론 “조달청, 설계비 일부 보전 등 인센티브 제공해야” - 김관영

   의원

● 중국 거물급 투자자, '새만금관광단지' 대규모 투자관심 표명

● "용인 수지 주택시장이 심상찮다"

● 인천도시공사, '송도E4호텔' 특혜 논란

● 춘천 중도 '레고랜드 코리아' 다음 달 착공

● 정부, 내년에 ‘지역행복 생활권사업' 10조2000억원 투입한다

● "고리원전, 주민 암 발병 영향" 법원 첫 인정

● <그래픽> 美메이저리그 월드시리즈 대진 - 샌프란..진출에 배아픈 다저스

● 광명전기 컨소시엄, 사상 최대 '인천공항 3단계 배전반 구매' 입찰 수주

● 산업부, '수도권 그린히트 프로젝트’ 추진여부 내년 2월 경 결정

● 산림청, 2015 선도 산림경영단지 발표

●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신혼 첫날 밤의 진실

● 무릎 관절염에 ‘직방’인 음식이 있다는데...Milk may delay knee osteoarthritis in women

 

 

 

 

Sewol 4.16 ~ "We never forget the Day!"

 

건설매거진 [콘페이퍼]2014년도 10월호

Construction Magazine

 

디자인올 Designall

http://designall.tistory.com

 

 

 

Construction Contents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무릎 관절염에 ‘직방’인 음식이 있다는데...Milk may delay knee osteoarthritis in women

 

 

kcontents

 

 

아이들의 성장이나 발육에 필수적인 영양소를 담고 있다는 우유.

 

초등학교 급식에서도 어김없이 찾아볼 수 있는 ‘건강’의 대명사 우유가 최근 위기에 봉착했다. ‘암을 유발할 수 있다’거나 ‘초식동물인 송아지에 최적화돼 있어 잡식성인 인간에겐 해로울 수 있다’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어도 여성의 무릎 관절염만큼은 우유가 도움이 될 것 같다.

 

미국 브리검 여성병원 빙 루 박사팀은 초기 퇴행성 무릎 관절염 환자 2148명을 대상으로 우유를 마시게 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우유가 여성의 무릎 관절염 진행 속도를 늦춘다는 사실을 알아내 학술지 ‘관절염 치료 및 연구’ 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초기 무릎 관절염이 진행 중인 남성 888명, 여성 1260명의 무릎 관절이 벌어진 정도를 매년 X선으로 촬영해 4년 동안 사진을 모았다. 관절이 벌어질수록 관절염 상태는 악화됐음을 뜻한다.


연구팀은 이후 이 환자들에게 우유를 마시게 하고, 그 양을 하루 3컵에서 7컵까지 천천히 늘렸다. 그러자 여성 관절염 환자들의 벌어진 관절이 평균 0.38mm에서 0.26mm까지 서서히 좁아졌다. 반면 여성 환자와 달리 남성 환자는 우유를 마셔도 별반 차도가 없었다.


루 박사는 “무릎 관절염과 식단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힌 가장 큰 규모의 연구”라면서 “여성은 관절염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 우유를 매일 마시는 게 좋다”고 말했다.

과학동아 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Milk may delay knee osteoarthritis in women

 

 

By Peter Russell
WebMD UK Health News
Medically Reviewed by Dr Sheena Meredith


7th April 2014 – Drinking skimmed or semi-skimmed milk may delay the progression of osteoarthritis in women, according to new research.

The same was not true for other dairy products, the study found. Yoghurt did not protect against osteoarthritis, while women who ate cheese tended to see their condition worsen more rapidly.

 

Milk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advance of knee osteoarthritis in men.

Swelling and deformity


Osteoarthritis is a condition in which the natural cushioning between joints - cartilage - degenerates. Small injuries within joints triggers an immune reaction, which causes inflammation that leads to a breaking down of cartilage tissue leading to pain, swelling and deformity.

 

It is estimated that around 8.5 million people in the UK are affected by joint pain from osteoarthritis. In those aged over 45, knees are the joints most often affected by osteoarthritis, and women aged 75 and over are the group with the highest prevalence of knee pain.

 

Milk is an excellent source of vitamins and minerals, dairy calcium and protein, and has long been recognised for helping promote bone health. However, the authors of the latest study, published in the journal Arthritis Care and Research, say little work has been done on establishing a link between diet and osteoarthritis (OA) of the knee.

 

"Milk consump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bone health,” lead author Dr Bing Lu explains in a statement. "Our study is the largest stud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airy intake in the progression of knee OA."

Joint space width


The researchers examined data from 1,260 women and 888 men involved in the Osteoarthritis Initiative – a long-term study aimed at promoting new treatments for the condition.

 

The diet of the volunteers was recorded at the start of the study and X-rays were taken to measure the width of the joint space – an indication of how much cartilage has been lost. All the volunteers were assessed each year for the next 4 years.

 

The researchers found a correlation between how much fat-free or low-fat milk women drank and joint space width in their knee.

 

Those who drank no milk saw their joint space decrease by an average of 0.38mm compared with 0.29mm for those who drank up to six 8 oz glasses each week and an average of 0.26mm for those who drank more than 7 glasses each week.

 

These results remained valid even after the researchers took account of disease severity, body mass index (BMI) and other dietary factors.

"Our findings indicate that women who frequently drink milk may reduce the progression of OA," concludes Dr. Lu. However, he adds: "Further study of milk intake and delay in OA progression are needed."

 

'Extremely interesting'
Professor Alan Silman, medical director of Arthritis Research UK, says the findings of the US study are "extremely interesting", but cautions that it is too early to send out the message that women with knee osteoarthritis should drink more milk to prevent their condition getting worse.

 

In a statement he says: "Although the link between levels of milk

consumption and the progression of knee osteoarthritis is not well understood,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elevated dietary calcium intake may be a factor.

 

We know that vitamin D is needed for the body to absorb and process calcium, and there’s also some evidence that osteoarthritis of the knee and hip progresses more quickly in people who don’t have enough vitamin D.

 

"We’re currently funding a large clinical trial to find out of if taking vitamin D supplements can stop the deterioration of the knee joint due to osteoarthritis, and we expect the results soon."

http://www.webmd.boots.com/osteoarthritis/news/20140407/milk-may-delay-knee-osteoarthritis-in-women

 

Arts & Culture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신혼 첫날 밤의 진실

 

source gaiff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라면 신혼 첫날밤에 대한 농담 섞인 놀림을 받곤 한다.

 

하지만 예비 부부들 역시 한편으로는 열정과 로맨스가 가득한 무언가(?)를 기대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각오하시라! 마음의 준비를 제대로 안 하면 환상 속의 첫날밤이 최악의 날로 기억될 수도 있다.

 

예비부부가 신혼 첫날밤에 겪을 수 있는 상황을 아래에서 만나보라. 슬프게도 그다지 섹시하거나 로맨틱하지는 않다.

 

1. 배고파 죽을 지경이다.

예쁘게 단장한 신혼부부가 피로연에서 무언가를 맛있게 먹기는 힘들다. 어쩌면 신혼여행을 떠나는 공항에서 먹는 패스트푸드가 정말 맛있게 느껴질 수도 있다.

2. 정말 슬퍼질 수 있다. 이유는 겪어 보면 안다.

3. 아니면 (슬퍼서) 만취 상태가 될 수도 있다.

4. 혹은 (전날부터 마셔서) 이미 숙취 상태 일 수도 있다.

5. 체형보정 속옷을 벗기 위해 시간이 엄청나게 걸린다.

6. 단추가 엄청 많이 달린 드레스를 끙끙대며 벗는 과정도 섹시할 리가 없다.

7. 한껏 부풀린 머리도 다시 평범한 머리로 주저앉는다.

아마 호텔 욕실은 장미 잎이 아닌 검정 헤어핀으로 가득할 것이다.

8. 죽도록 피곤하다.

 

다들 그렇게 이야기한다.

결혼식 날은 준비부터 피로연까지 길고 긴 스케줄의 연속이다.

 

그러니 피로연이 끝나자마자 기절했다고 너무 속상해하지 말라!
The Huffington Post  Kellee Khalil

 

 

 

 

Arts & Culture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