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국정감사] 2016년 BIM 의무화 회의론 “조달청, 설계비 일부 보전 등 인센티브 제공해야” - 김관영 의원

BIM 수행능력 및 준비상황 실태조사

(건축사협회, 422개 건축사사무소 대상, 2014.5)

 

 

 

[2016년 공공건물 BIM 의무화]

조달청이 지난해 500억 원 이상 신축 공공건물에 대해 BIM(건물정보모델링)* 적용 의무화
* BIM: 가상세계에서 미리 건물을 디자인하고 시공까지 해보는 기술. 건물을 3차원 입체 모델로 만드는 기술.


kcontents

 

 

조달청의 2016년 BIM 의무화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회의론이 제기됐다.

 

3차원 입체 모델로 건축물을 설계하는 BIM은 건물의 에너지 소모량, 설비 교환 시기 예측, 재난 발생시 피난 시뮬레이션 등, 설계-시공-관리에 이르는 모든 건물 정보를 체계화 시킨 건물정보모델링 기술이다.

 

미국, 영국, 핀란드 등 선진국에서는 의무화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조달청도 2016년부터 BIM 설계를 의무화 한다.

 

그러나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연구원이 지난 5월 422개 건축사사무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조사대상 중 75% 359개사가 BIM 운영경험이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IM 수행경험이 있는 건축사사무소도 10곳 중 7곳이 운용기간이 3년 이내로 짧고, 전문 인력도 평균 1명만 보유한 실정이다.

 

이에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조달청 국정감사에서 김관영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전문인력 부족, 발주자 인식 부족, 비용 부담 등이 산적이 현재 상황으로는 기존 2D 설계와 비교해 큰 장점이 없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어 “2011년부터 준비한 사업인데 준비를 착실히 해 왔다면 지금과 같은 일이 생겼을지 의심스럽다”며 “조달청에서 야심차게 시작하고 있는데도 시장의 반응이 냉랭한 이유는 무엇이냐”고 물었다.

 

또한 BIM 설계비는 총 설계비에 5~20% 차지하는데, BIM 설계를 의무화 한다면 설계비 일부 보전과 같은 인센티브 제공 등의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 아닌지. 2016 BIM 의무도입을 위해 조달청은 무엇을 준비했는지 질타하며 대안을 촉구했다.
한국건설신문 이오주은 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일본, 떠서 주행하는 초고속 '리어 중앙 신칸센 고속철' 착공 5 Things to Know About Japan’s Shinkansen Bullet VIDEO

2027년 도쿄∼나고야 구간 개통

2045년 오사카 연장 개통

 

The Japanese Shinkansen is a high-speed trail used by JR Central in Japan.

 A private company is planning to build a rail line between Dallas and Houston using the same trains.

source blogs.wsj

 

 

 

[리니어 신칸센]

초전도 리니어 기술을 활용한 고속철도

10cm 떠서 500km/h까지 속도를 낼 수 있다.

kcontents

 

 

일본 정부는 도쿄∼나고야 구간, 286㎞를 40분에 주파하는 '리니어 신칸센' 사업 착공을 인가했습니다.


리니어 신칸센은 일본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초전도 리니어 기술을 고속철도에 도입한 것으로 건설회사인 'JR 도카이'는 2027년 도쿄∼나고야 구간을 먼저 개통한 후 2045년 오사카까지 연장한다는 계획입니다.

 

 

현재의 신칸센으로는 도쿄∼나고야 구간이 1시간 28분, 오사카까지는 2시간 18분 걸리지만 리니어 신칸센이 완공되면 각각 40분, 1시간 7분으로 단축됩니다.

 

리니어 신칸센은 초전도 현상으로 발생한 강력한 자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열차가 선로에서 10㎝가량 떠서 운행하며 최고 시속 500㎞ 이상으로 주행할 수 있습니다.

 

일본은 리니어 신칸센 건설을 41년 전 국가 기본계획으로 결정했지만 그 이후 인구 감소 등 사회 환경이 바뀌었기 때문에 리니아 건설의 타당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습니다.

YTN

 

5 Things to Know About Japan’s Shinkansen Bullet

Trains

 

 

Japan’s shinkansen bullet trains began operating 50 years ago on Oct. 1, 1964, only nine days before the opening ceremony of the first Summer Olympic Games in Tokyo. 

 

Since then, they have carried 5.6 billion passengers between Tokyo and Osaka. Here are some facts about the shinkansen and its evolution over the years.


1 Oct 2014 12:35am
By Jun Hongo  

 

1 BULLET TRAINS WERE BELIEVED TO BE OUTDATED BACK IN THE 1950s
Share on Twitter  According to Central Japan Railway Co., there was a plan to build a high-speed railway in Japan by at least 1887, or 15 years after the first train ran  in the country between Tokyo and Yokohama. But budget constraints and World War II delayed its development. By the 1950s many also believed airplanes and automobiles would overtake railways as the predominant means of transportation.


2 SHINKANSEN TRAINS HAVE KEPT EVOLVING OVER THE YEARS
Share on Twitter  The original shinkansen could take travelers from Tokyo to Osaka in approximately 4 hours. That time has been cut to 2 hours and 25 minutes today.

Meanwhile, the fee for making that trip cost ¥2,480 back then, compared with today’s ¥14,450 ($132). There were 333 shinkansen trains in operation between Tokyo and Osaka in 2012 per day, carrying an average of 391,000 people at a maximum speed of 270 kilometers per hour.


3 THE AVERAGE DELAY OF A SHINKANSEN IS LESS THAN A MINUTE
Share on Twitter  The average delay of a shinkansen traveling between Tokyo and Osaka was 36 seconds in 2012. That includes delays due to heavy rain and other natural disasters. In sharp contrast, Amtrak states on its website that trains traveling 400 kilometers or less are considered “on time” if they arrive within 10 minutes of schedule.

There have been no fatal accidents involving passengers aboard a shinkansen to date.
  

4 ATOM & PEACE WERE CONSIDERED AS NAMES

Shinkansens in operation between Tokyo and Osaka include the Kodama (Echo), the Hikari (Ray of Light) and Nozomi (Hope). Back in 1964, JR asked the public to submit name proposals and received nearly 560,000 replies. Some of the candidates included Atom, the popular animation character known as Astro Boy overseas, as well as Inazuma (Lightning), Heiwa (Peace) and Olympia.


5 "LADIES AND GENTLEMEN, WELCOME TO THE SHINKANSEN"
Share on Twitter  The familiar English announcement on the Tokaido shinkansen is provided by Donna Burke, an Australian singer who has also done voiceovers for animation and other TV commercials. She also provides the English audio guidance at the Emperor Showa Memorial Museum as well as the English hearing sections on the TOEIC language test.

http://blogs.wsj.com/briefly/2014/10/01/5-things-to-know-about-japans-shinkansen-bullet-trains-2/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그래픽 동영상> 美 에볼라(Ebola) 의료진 보호장비 체계 Ebola Protection: Most hazardous stage is taking off Hazmat suit VIDEO

에볼라 대처와 전염 차단을 총괄하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에볼라 환자 치료에

실패한 데 이어 두 명의 간호사가 감염되도록 방치한 텍사스건강장로병원에 미국 국민의

분노의 화살이 집중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jin34@yna.co.kr

 

[VIDEO]

Ebola Protection: Most hazardous stage is taking off Hazmat suit

kcontents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동아에스텍, 203억 규모 '쿠웨이트 코즈웨이 교량 난간 제작' 수주

 

 

현대건설이 시공 중인 20억불 규모의 36km 해상 교량

 'Sheikh Jaber Al Ahmad al Sabah Causeway' kcontents

 

동아에스텍(058730)은 현대건설과 쿠웨이트 코즈웨이 교량건설 프로젝트의

교량난간 제작 구매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17일 공시했다.

 

계약금액은 191만달러로, 16일 환율(1065.8원) 기준 203억5678만원이다.

[뉴스토마토 김진양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포승~평택 산업철도 미군전용 철도 되나"...미 개통구간 장기간 방치 우려

1공구만 서둘러 완공 눈앞, 나머지 구간은 착공도 못해

연계 추진 중인 서해선 복선전철도 예산 때문에 착공 지연

 

 

 

 

경기 포승~평택 간 산업철도가 일부 구간만 부분 개통된 채 장기간 방치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연계 노선의 착공에 맞춰 공사 재개와 개통 시기를 결정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평택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됐던 산업철도가 결국 미군전용 철도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철도시설공단은 6952억원을 들여 2010년부터 2019년 완공 목표로 포승~평택 간 산업철도(연장 30.3㎞)를 건설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산업철도는 1~3공구로 나눠 추진 중이다. 1공구(경부선 평택역~용산미군기지 이전 부지 간 13.9㎞)의 공정률은 90%로, 다음달 말 궤도 공사를 완료한 뒤 시범 운행을 거쳐 개통할 계획이다.

 

하지만 2·3공구는 착공시기가 미정이다. 사업비 예산 편성은 물론 용지 보상을 위한 수용토지 실태조사 등 행정절차도 진행되지 않고 있다. 현재 상태로는 10년 뒤에도 완전 개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철도시설공단은 2공구의 경우 이 사업과 연계해 추진 중인 서해선 복선 전철 착공 여부에 따라 착공 시기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3조9285억원 규모의 서해복선 전철(충남 홍성~경기 평택~화성 간 89.2㎞)은 예산부족으로 2년째 착공이 지연되고 있다. 당장 내년에 착공한다 해도 2020년 이후에나 개통이 가능하다.

 

3공구도 평택항 중·장기 개발과 연계해 추진한다는 계획이어서 2020년 이후에도 착공이 어려운 상황이다. 철도시설공단 관계자는 “2·3공구는 서해선 개통과 평택항 개발시기를 감안해 착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10162201275&code=620109

경향신문 최인진·이종섭 기자 ijchoi@kyunghyang.com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핀업의 대부' 톰 켈리의 마릴린 몬로 사진 '레드 벨벳' From nude playmates and scantily clad strippers to a pre-fame Marilyn Monroe ..VIDEO

Tom Kelley, nicknamed the 'Godfather of pin ups', is being celebrated in a racy new photography book featuring

images of nudes from the 1940s to the 1970s - including Marilyn Monroe (pictured)

 

From nude playmates and scantily clad strippers to a pre-fame Marilyn Monroe - risqué new photography book celebrates the 'Godfather of pin ups'

 

'핀업의 대부'로 불리는 톰 켈리 시니어를 추모하는 1940~1970년대의 새 기념

사진앨범이 출간됐다.

 

1949년에 촬영했던 마릴린 몬로의 누드사진 '레드 벨벳 시리즈' 등이 소개되고 

있다.

 

마릴린 몬로가 무명시절 단돈 50달러 받고 촬영한 이 사진들은 경매시장에서

100만달러를 홋가한다.

 

차 사고가 난 마릴린 몬로에게 5달러와 명함을 준게 인연이 되어 그녀의 전속

사진사는 물론 할리우드 유명인사들의 사진사가 됐다.

<에디터 황기철>

 

[톰 켈리 시니어 Tom Kelley Sr,1914~1984]

1940~1950년대 할리우드 명사 전문 사진작가

 

[톰 켈리 Tom Kelley,1914~1984]

 

 

By Mail Online Reporter
Tom Kelley, nicknamed the 'Godfather of pin ups', is being celebrated in a racy new photography book featuring previously unseen images of nudes from the 1940s to the 1970s.


The celebrity photographer, who died in 1984, is credited with launching Marilyn Monroe's career, when, in 1948, he took the then out-of-work actress' picture: a nude posed with arm outstretched against a scarlet background.


Five years later, Kelley's photo became Playboy’s first ever centrefold in its inaugural issue, and it has since become one of the most viewed nudes in history.


Scroll down for video

The celebrity photographer, who died in 1984, is credited with launching Monroe's career, when, in 1948, he took the then out-of-work actress' picture: a nude posed with arm outstretched against a scarlet background

The celebrity photographer, who died in 1984, is credited with launching Monroe's career, when, in 1948, he took the then out-of-work actress' picture: a nude posed with arm outstretched against a scarlet background

Five years later, Kelley's photo became Playboy’s first ever centrefold in its inaugural issue, and it has since become one of the most viewed nudes in history

Five years later, Kelley's photo became Playboy’s first ever centrefold in its inaugural issue, and it has since become one of the most viewed nudes in history


During his career, Kelley was responsible for hundreds of glamour shoots, from unknown models and strippers, to scantly clad playmates and the stellar starlets of the day, including Evelyn West, Norma Brooks and Mamie Van Doren.

 

More than 250 images comprise the new book, titled Tom Kelley's Studio - and over 80 per cent of the images are unseen and unpublished.

Also included are previously unseen out-takes from his legendary Marilyn Monroe shoot.
Monroe was still a struggling model and actress when she a minor car accident on Sunset Boulevard, which Kelley saw and offered her $5 for cab fare. He also gave her a business card from the Hollywood photography studio where he did advertising work.

During his career, Kelley was responsible for hundreds of glamour shoots, from unknown models and strippers, to scantly clad playmates and the stellar starlets of the day

During his career, Kelley was responsible for hundreds of glamour shoots, from unknown models and strippers, to scantly clad playmates and the stellar starlets of the day

More than 250 images comprise the new book, titled Tom Kelley's Studio - and over 80 per cent of the images are unseen and unpublished

More than 250 images comprise the new book, titled Tom Kelley's Studio - and over 80 per cent of the images are unseen and unpublished

Discussing the evolution of Kelley’s style, author Peter Doggett writes: 'The 1940s portraits have an air of classicism' (pictured: Rosemary Paschall, 1940s)

Kelley started his career as an apprentice to the chief instructor of the New York School of Photography, where he was able to hone his skills photographing Manhattan’s elite families

Kelley was then recruited by the Associated Press where he began capturing images of politicians, socialites and movie stars, before setting up his own studio in Hollywood

Kelley was then recruited by the Associated Press where he began capturing images of politicians, socialites and movie stars, before setting up his own studio in Hollywood


Monroe was photographed by Kelley for a several modeling jobs before he asked her if she wanted to pose nude for a 'cheesecake calendar' - popular in auto shops and garages.
Years earlier, Kelley started his career as an apprentice at the studio of the chief instructor of the New York School of Photography, where he was able to hone his skills photographing Manhattan’s elite families who presided over the exclusive social scene.
With his 'unquestionable technical prowess, indelible charm and easy nature,' according to the book, Kelley was recruited by the Associated Press where he began capturing images of politicians, socialites and movie stars, before setting up his own studio in Hollywood.
It was through his work involving advertising in the burgeoning movie business that Kelley developed a distinctive line in nude photography.

 

Following a long and profitable career helping to publicize motion picture personalities, Kelley drifted into the commercial and advertising photography field where he remained one of the leading celebrity photographers

It was through his work involving advertising in the burgeoning movie business that Mr Kelley developed a distinctive line in nude photography

Aspiring actresses of the day, whom he met on his advertising assignments, enabled him to grow an impressive glamour photography portfolio

Aspiring actresses of the day, whom he met on his advertising assignments, enabled him to grow an impressive glamour photography portfolio

Discussing the evolution of Kelley’s style, author Peter Doggett writes: 'The 1940s portraits have an air of classicism' (pictured: Rosemary Paschall, 1940s)

Discussing the evolution of Kelley’s style, author Peter Doggett writes: 'The 1940s portraits have an air of classicism' (pictured: Rosemary Paschall, 1940s)

'Next comes the era of the exotic: of leopard skins and fur, French lingerie and exquisite furniture,' said Mr Doggett (pictured: Naomi Gardner, 1960s)

'Next comes the era of the exotic: of leopard skins and fur, French lingerie and exquisite furniture,' said Mr Doggett (pictured: Naomi Gardner, 1960s)

'And then, in the late 1960s and into the 1970s, the mood is one of freedom... in keeping with the spirit of the age,' added Mr Doggett (pictured: Lois Mitchell, 1970s)

'And then, in the late 1960s and into the 1970s, the mood is one of freedom... in keeping with the spirit of the age,' added Mr Doggett (pictured: Lois Mitchell, 1970s

Aspiring actresses of the day, whom he met on his advertising assignments, enabled him to grow an impressive glamour photography portfolio.

Discussing the evolution of Kelley’s style, author Peter Doggett writes: 'The 1940s portraits have an air of classicism.
'Next comes the era of the exotic: of leopard skins and fur, French lingerie and exquisite furniture

 

When Kelley wasn't shooting nudes, her was shooting early advertising images with Hollywood’s big stars of the time, including Greta Garbo, Joan Crawford,  and Gene Kelly

When Kelley wasn't shooting nudes, her was shooting early advertising images with Hollywood’s big stars of the time, including Greta Garbo, Joan Crawford, and Gene Kelly

Kelley was also a judge at the Miss Universe 1952 and Miss Universe 1956 pageants, and appeared in the 1966 documentary film The Legend of Marilyn Monroe

Kelley was also a judge at the Miss Universe 1952 and Miss Universe 1956 pageants, and appeared in the 1966 documentary film The Legend of Marilyn Monroe

Following a long and profitable career helping to publicize motion picture personalities, Kelley drifted into the commercial and advertising photography field where he remained one of the leading celebrity photographers

Following a long and profitable career helping to publicize motion picture personalities, Kelley drifted into the commercial and advertising photography field where he remained one of the leading celebrity photographers

http://www.dailymail.co.uk/femail/article-2796130/from-nude-playmates-scantily-clad-strippers-pre-fame-marilyn-monroe-risqu-new-photography-book-celebrates-godfather-pin-ups.html

dailymail

 

 

 

 

Arts & Culture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남경대학살과 일본군 위안부 [임종건]

www.freecolumn.co.kr

남경대학살과 일본군 위안부

2014.10.17


언론인들의 친목단체인 관훈클럽이 매년 주관하는 해외문화유적답사의 올해 목적지는 중국 강소(江蘇)성 성도 남경(南京)이었습니다. 지난달 19일 여행을 떠나기에 앞서 대한민국의 임시정부가 있었던 인근의 상해(上海)나 중경(重慶)이면 몰라도 남경에 역사적으로 한국과 관련이 있는 문화유적이 무엇이 있을까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남경은 중국 근현대사에서 영욕이 교차하는 무대입니다. 청나라 멸망의 단초라 할 수 있는 아편전쟁과 남경조약, 홍수전(洪秀全)의 태평천국의 난, 손문(孫文)의 신해혁명과 중화민국 총독부, 장개석(蔣介石)의 국민당 정부가 일본군과 모택동(毛澤東)의 공산당 군에 밀려 두 번이나 쫓겨나야 했던 곳 등 통한이 서린 땅입니다.

남경대학살은 중일전쟁 기간 중에 일본이 저지른 만행으로 나치의 유태인 학살에 버금가는 세계사적인 비극입니다. 남경대학살의 중국 명칭은 ‘남경 대도살(大屠殺)’로, 필자에겐 훨씬 참혹한 느낌으로 전해졌습니다.

남경 시내에 세워진 기념관 입구부터 내부 곳곳에서 발견되는 ‘조난자 300000’이라는 숫자는 당시 일본군에 의해 희생당한 중국인의 숫자입니다. 나치에 의해 학살된 유태인 ‘600만 명’과 같은 상징적 숫자입니다.

1985년에 완공된 이 기념관엔 두 명의 일본군 장교가 저지른 '100인 참수경쟁'과 같이 일본인의 극한적 잔혹성을 보여주는 총 1만여 점의 자료들이 전시돼 있습니다.

나치의 유태인 학살은 2차 세계대전 전 기간을 통해 전 유럽대륙에서 저지른 만행입니다. 남경대학살은 일본군이 남경공격을 개시한 1937년 12월 1일부터 6주간 동안 남경시 일원에서 자행됐습니다. 단기간에 저지른 만행이라는 점에서 나치를 능가합니다.

이 숫자의 진실에 대한 중일 간의 논쟁은 현재진행형입니다. 중국은 최소 25만에서 최대 35만으로, 종전 후인 1946년 이 사건을 다룬 남경군사법정에서 확인된 숫자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반면, 일본에선 일부 양심세력만이 30만 명을 인정할 뿐 20만, 10만, 수 천, 심지어 ‘20세기 최대의 사기극일 뿐 학살은 없다’는 주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엇갈립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망언제조기’로 악명이 높은 일본의 극우 정치인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전 도쿄도지사가 남경대학살에 대해서도 사기극 주장의 선봉에 서고 있음을 알게 된 것은 입맛이 쓴 일이었습니다.

당시 남경의 인구가 30만 명이었다는 점에서 6주 만에 시민 모두를 죽인다는 게 가능하냐는 일본 측 주장에도 논증할 여지는 있습니다. 반면 일본군이 상해를 점령하고 남경으로 진격했으므로 주변의 지역에서 많은 피난민들이 남경으로 몰려든 상황을 감안하면 과장이 아니라는 중국 측 반박도 일리가 있습니다.

중국이 명확하게 입증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300000이라는 숫자에 집착하는 것은 이 숫자에 조금이라도 변동이 인정되면 일본은 막바로 침략전쟁을 부인하려 들 게 뻔하기 때문입니다. 아사히신문이 위안부 오보를 시인한 것을 기회로 삼아 위안부 강제동원을 부인하는 데 혈안이 되고 있는 일본정부의 술수를 중국이 모를 리 없습니다.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남경대학살의 전범들은 남경군사법정과 도쿄에서 열린 극동군사법정을 통해 처형됐습니다. 중국은 남경학살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피해배상 문제를 제기하지 않은 채 전후처리를 일단락지었고, 1972년 중국의 주은래(周恩來) 총리와 일본의 다나카 가쿠에이(田中角榮) 총리 간의 서명으로 국교정상화를 이뤘습니다.

남경대학살이 중국 측에서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특히 호금도(胡錦濤 : 후진타오) 정부 이후 조어도(釣魚島)분쟁과 일본의 우경화 문제로 중일갈등이 첨예화하면서부터입니다. 남경이 함락된 1937년 12월 13일을 기념해 매년 그날에 평화집회를 열었고, 지난 2월27일 제12차 전국인민대표대회 상임위원회의에선 아예 그날을 국가애도일로 지정했습니다. 민간인 희생자들 사이에선 일본에 대한 배상소송 움직임도 일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의 강제동원 위안부 배상 문제는 1992년 1월 첫 수요집회로 시작되었으나 일본 정부는 이후 22년이 넘도록 외면하고 있습니다. 남경대학살에 대한 피해배상 문제의 앞날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과거사 반성에 관한 한 일본의 잡아떼기는 언제 어디서나 같습니다.

관훈클럽이 ‘중국인이 본 남경대학살’을 주제로 개최한 현지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한 남경대학 정부역사학원 양단위(楊丹偉 : 양단웨이) 교수는 “남경대학살에 관해 중국인들이 일본에 가장 분노하는 것은 전범들을 신사에 안치한 것”이라며 “일본군이 저지른 만행에 참회도 없이 역사를 왜곡하며 세계의 도덕적 심판을 벗어나려는 일본인들의 단체기억상실증에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의 발표는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엘리 위젤이 남경대학살에 대해 “대학살을 잊는 것은 또 하나의 대학살이다”고 한 말로 마무리됐습니다. 대학살 기념관 안에도 ‘可以寬恕 但不可以忘却(용서하되 잊지는 말자)’이라는 경귀가 씌어 있었습니다.



* 덧붙임 글 : 남경 일원에서 볼 수 있는 한국 관련 문화유적으로는 양주(揚州) 시에 세워진 신라의 문장가 고운 최치원(崔致遠)기념관과, 기념관 옆에 세워진 고려 말의 신하 정몽주(鄭夢周) 동상이었습니다.

최치원은 당나라로 유학을 와 과거에 급제하여 양주에서 벼슬을 한 한국 최초의 해외관직 취득자였고, 정몽주는 명나라 초기에 사신으로 북경에 왔다가 남경을 거쳐 해로로 귀국하던 중 배가 난파됐으나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진 사건을 기념하여 동상을 세운 것으로 돼 있습니다.

대만을 방문 할 적마다 필자가 느꼈던 소회는 장개석은 왜 두 번이나 남경에서 패퇴했나였는데, 이번 현장 방문에서 그 느낌은 더욱 절실했습니다. 그가 국공 내전에서 승리했더라면 아시아의 판도, 그중에서 한국의 판도는 어찌되었을까? 최소한 6·25전쟁은 없었을 것이고, 남북은 오래전에 통일됐지 않았을까? 조어도 같은 중일 간 영토분쟁의 원인도 원천제거되지 않았을까? 4박5일동안 문득문득 그런 공상에 빠지게 한 남경여행이었습니다.

필자소개

임종건

74년 한국일보기자로 시작해 한국일보-서울경제를 3왕복하며 기자, 서울경제논설실장, 사장을 지내고 부회장 역임. 주된 관심 분야는 남북관계, 투명 정치, 투명 경영.

Copyright ⓒ 2006 자유칼럼그룹.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freecolumn.co.kr

 

Arts & Culture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국토부, "보금자리 해제된 광명, 지하철역 5개 신설" 언론보도 해명

보도내용 (아시아경제, 10.16일)

“[단독] 보금자리 해제된 광명, 지하철역 5개 신설”
관계부처 협의 마쳐... 구로차량기지 땅 매각 가격 산정이 관건

 

[관련보도링크]

보금자리 해제된 광명시, 지하철역 4개 신설...경전철 노선 반영

kcontents


 

금일(10.16일) "보금자리 해제된 광명, 지하철역 5개 신설" 언론보도는 사실과 다름

 

‘12.8월부터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구로차량기지 이전사업에 대한 타당성재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바, 광명시 지하철역 입지 선정을 확정하거나 구체적인 계획수립에 착수한 바 없음

 

또한, 국토교통부는 기획재정부, 한국개발연구원 등과 함께 최근 구로차량기지 이전과 관련한 지하철역 신설에 대하여 협의하거나 정부세종청사에서 회의를 개최한 사실이 없음

 

한글문서 src 141016(해명) 광명_지하철역 5개 신설은 사실과 다름(철도투자개발과).hwp

파일 align 141016(해명) 광명_지하철역 5개 신설은 사실과 다름(철도투자개발과).pdf

국토부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서울시, 자전거 간선도로망 재추진...도로 이용 빈도 분석 중

 

2008년 주민들 반대 중단

 

kcontents

 

서울시가 오세훈 시장 시절인 2008년 추진했다가 주변 상인들과 주민들의 반대로 중단됐던 자전거 간선도로망 구축 사업을 재추진한다.


하지만 상인들과 주민, 경찰의 반대는 여전해 실제로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서울시 관계자는 16일 “서울시 주요 도로에 자전거 간선도로망 사업을 재추진하기 위해 자전거 출퇴근족들의 도로 이용 빈도를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시는 올 1월과 6월 두 차례에 걸쳐 시민단체인 녹색교통운동에 의뢰해 서울시 주요도로 자전거 이용객들의 주행경로를 분석한 결과 한강변 도로와 청계~천호대로, 시청~시흥, 테헤란~천호, 영동~도산 등 도심으로 진입하는 동서남북 주요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자전거 이용객들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로 다이어트’를 통한 주요 간선도로 구축에 나설 방침이다. 또한 3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자전거 이용 활성화’ 관련 용역도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시가 추진하는 ‘도로 다이어트 방식’은 기존 차선을 하나 줄이는 방식으로 오히려 교통 체증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반발이 극심하다. 시는 2008년 ‘자전거 이용 활성화 마스터플랜’을 발표, 2012년까지 207㎞에 달하는 자전거 간선도로망 구축을 추진했다.


추가로 2014년까지 자전거 간선도로망을 연결하는 순환형 자전거도로 88㎞를 조성하기로 했지만 모두 전면 중단됐다.


극심한 교통 체증과 분리대 설치로 인한 안전사고 우려가 걸림돌이었다.


관련 예산도 어마어마하다. 시에 따르면 도로 다이어트를 통한 자전거 도로 구축에 드는 비용은 ㎞당 40여억원이다.


2008년과 이듬해 추진했던 대로 300여㎞에 달하는 자전거도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대비용까지 1조 2000여억원이 든다는 계산이 나온다.


시는 우선 내년에 안내표지판 설치 등 동서 간선도로 정비를 위해 21억원을 책정했다.


시는 이런 사정 때문에 이번에도 자료 분석에만 치중하고 있을 뿐 실제 자전거 간선도로 구축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시일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자전거도로 전문가인 백남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는 “자전거를 포함한 모든 교통수단은 간선도로가 필수적”이라면서 “불법 주정차로 인한 도로 정체의 악순환을 막기 위해서라도 해외 성공사례를 통해 상인과 주민들을 설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신문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한라, 1630억 규모 '현대백화점 송도아울렛 신축공사' 수주

 

 

현대백화점 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 조감도, 연합뉴스


한라(014790)는 현대백화점 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 신축공사를 수주했다고 17일 공시했다.

 

계약금액은 1630억6620만원으로 최근 매출액대비 8.16%이고 계약 종료일은 2016년

3월31일이다.

[뉴스토마토 김진양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