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제천고속도로 충주~동충주 구간' 준공, 금일 개통식

연장 18km 왕복 4차로

2007년 12월 착공

총 사업비 4,091억 원 투입

음성~충주 전 구 개통

첨단 교통유지관리 시설 설치

 

 

평택~제천고속도로 충주~동충주 구간 노선도 및 전경

kcontents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평택~제천고속도로 충주~동충주 구간을 31일(금) 17시에 개통한다.

 

이로써 작년 8월에 대소~충주 구간을 개통한데 이어 음성~충주 전 구간을 개통하게 된다.

 

금번 개통하는 충주~동충주 구간은 2007년 12월 20일 착공하여 총 사업비 4,091억 원이 투입되었으며, 연장 18km 왕복 4차로 고속도로에 나들목 1개소, 분기점 1개소가 설치된다.

 

또한, 교통량조사장비(AVC) 등 첨단 장비를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졸음쉼터, 안개 경보등, 염수 분사시설 등 안전시설을 설치하여 안전운전을 돕도록 건설되었다.

 

이 도로의 개통으로 충주에서 동충주까지 이동거리가 7km 짧아지고(국도 대비), 주행시간은 10분 정도 단축된다.

 

이에 따라 물류비는 연간 622억 원이 절감되고, 이산화탄소 등 오염물질도 연간 634톤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수도권, 평택항로부터 충주, 제천의 에코폴리스 경제자유구역, 바이오밸리, 테크노빌 등으로 접근이 쉬워져 지역개발 촉진과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그리고 충북지역의 대표적 관광지인 충주호, 월악산, 속리산을 더욱 쉽게 가볼 수 있게 되어 관광 활성화가 기대되고, 동충주영업소 택견 조형물은 택견의 본 고장인 충주를 알리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국토교통부는 이번 개통에 이어, 음성~충주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충주~제천 구간 23.9km를 2015년 6월에 개통하고, 장기적으로는 강원 태백, 삼척권까지 동서6축 간선망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글문서 src 141031(석간) 평택~제천 고속도로 충주~동충주 구간 개통(도로정책과).hwp

파일 align 141031(석간) 평택~제천 고속도로 충주~동충주 구간 개통(도로정책과).pdf

국토부

 

음성~충주 고속도로 건설공사 개요 

국토부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진흥기업, 361억원 규모 '울산 블루마시티 효성 해링턴 플레이스 신축공사' 수주

 

울산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위치: 울산광역시 북구 강동산하지구 63BL, 68BL

kcontents

 

진흥기업(002780)은 기성코퍼레이션으로부터 361억원 규모의 울산 블루마시티 효성

해링턴 플레이스 신축공사를 수주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이는 최근 매출액 대비 7.5%에 해당한다.

[뉴스토마토 원나래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GS건설 대림산업 '도시정비사업' 수주 경쟁, 내년에도 계속 이어질 듯

'서울 노량진 6구역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 수주,

양사 총력전

3000억원 규모

 

 

노량진 6구역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 조감도

 

노량진 6구역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 위치도

kcontents


 

올해의 도시정비사업 수주전에서 정면승부를 펼쳤던 GS건설과 대림산업이 내년 상반기 또다시 빅매치를 가질 예정이다.

 

31일 건설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 최대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는 노량진 6구역에 GS건설과 대림산업, SK건설 수주팀이 집결한 상태다.

 

해당 사업지는 동작구 노량진동 294-220 일대 7만4305㎡부지에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을 시행하는 사업이다. 지하철 1,7,9호선 등 대중교통 접근성이 우수한 서울 서남생활권내의 배후 주거지로 알려져 있다.

 

내년 초 시공자 선정을 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대형 건설사들이 군침을 흘리고 있는 알짜 사업지로 알려져 있다. 시공 도급액은 약 3000억원 규모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말 수도권 마지막 수주전이 전개됐던 철산주공 8·9단지에 이어지는 내년 최대 격전지로 부상 중이다. 이 사업지에 올해 하반기, 치열한 수주전을 벌여왔던 GS건설과 대림산업이 또다시 수주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GS건설과 대림산업의 올해의 악연은 지난 7월 신반포 한신6차 수주전에서 GS건설이 막판 뒤집기로 대림건설을 따돌리며 시공자로 선정되면서 시작됐다. 당시 공사비 등의 조건에서 대림산업이 유리했으나 브랜드 파워를 앞세운 GS건설의 공세에 무릎을 끓은 것.

 

이어 올해 마지막 수주전인 철산주공 8·9단지에서 대림산업은 GS건설의 수주영업부장을 영입하는 등 공을 들였으나 시공자 선정 과정에서 조합의 결정에 불만을 품고 수주전 참여를 포기했다. 해당 사업지에서는 GS건설과 포스코건설이 격돌, 근소한 차이로 GS건설이 시공자로 선정됐다.

 

GS건설과 대림산업은 또다시 노량진 6구역에 영업팀 인력을 집결, 전면전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철산주공 수주전 당시 영입됐던 GS건설 도시정비영업팀 부장이 이번 노량진 6구역 수주전을 총괄할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대림산업이 GS건설의 벽을 넘어 복수전을 성공할 수 있을지 여부에 업계 관계자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해당 사업지가 도급금액 3000억원에 달하는 사업지이기 때문에 컨소시엄 형성도 가능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SK건설이 현장에서 만만치 않은 영업력을 과시하고 있기 때문에 수주전의 조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에 따라 향후 노량진 6구역은 짝짓기 계절이 도래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뉴스투데이 편도욱 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베트남 비엣찌 하수도 건설사업’ 착공식, 수출입은행 3290만달러 EDCF 재정 지원

 

30일(현지시간) 베트남 푸토성 지역에서 열린 ‘비엣찌 하수도 건설사업’ 착공식에서 주요 인사들이 첫 삽을 뜨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Chu Ngoc Anh(추 응옥 아잉) 푸토 인민위원장, Hoang Dan Mac(호앙 전 막) 푸토성 당서기,

남기섭 한국수출입은행 수석부행장, 장해남 경남기업 대표이사. [사진=수출입은행 제공]

 


비엣찌 하수도 건설사업 위치도

kcontents

 

[관련보도링크]

경남기업, 베트남 비엣찌 하수도 건설공사 수주

kcontents

 

 

한국수출입은행은 30일(현지시간) 베트남 푸토성에서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이 지원하는 ‘비엣찌 하수도 건설사업’ 착공식이 열렸다고 31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남기섭 수은 수석부행장 및 응우엔 딘 꾹 (Nguyen Dinh Cuc) 푸토성 인민위원장, 응웬 번 붓(Nguyen Van But) 푸토상수도공사 회장 등 수은과 베트남 정부 주요 관계자 약 200여 명이 참석했다.

  

‘비엣찌 하수도 건설사업’은 푸토성 성도 비엣찌시에 오수관로와 중계펌프장 17곳, 하수처리장 2개소를 짓는 프로젝트다. 베트남 수도 하노이의 배후도시인 비엣찌市는 현재 하수처리 시설이 없어서 처리되지 않은 생활하수와 영업하수가 그대로 홍강(紅江)에 방류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은은 이번 시설에 소요되는 총 사업비 4100만 달러 중 3290만 달러를 EDCF 차관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사업은 경남기업이 시공을 맡게 돼 베트남 상하수도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시장진출기반이 더욱 탄탄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푸토성은 한국 기업의 투자액이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FDI)액의 80%에 달해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투자생산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환경 인프라 혜택도 예상된다.

 

남기섭 수은 수석부행장은 이날 착공식에 참석해 “베트남은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한 대비책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앞으로 수은은 환경보전, 기후변화 대응 등 베트남 환경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수은은 현재까지 베트남에 총 49개 사업, 19억 달러를 지원했으며 이중 환경분야 사업은 14건에 3억 2300만 달러로 약 17%를 차지하고 있다.

[이데일리 김영수 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의왕 장안지구 도시개발사업' 본격화

부지 조성공사 내년 1월 착공, 2016년 완공
고 품격 주거 도시로의 견인 역할,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의왕장안지구 도시개발사업 조감도

 

의왕장안지구 도시개발사업 위치도

kcontents

 

 

경기도가 의왕시가 제출한 의왕 장안지구 도시개발사업 계획을 승인함에 따라 의왕장안지구 개발공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도는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의왕 장안지구 도시개발사업 실시계획을 고시했다.

 

의왕장안지구는 의왕시 삼동 71번지 일원 26만 9,234㎡(약 8만평) 부지에 1,472호(공동·단독)의 주거단지와 도시지원, 상업 및 공공시설을 조성하는 개발사업이다.

 

장안지구는 의왕역과 영동고속도로(부곡IC) 등 편리한 교통 여건을 기반으로 의왕 ICD 산업단지, 철도관련 특구시설, 현대 자동차 연구소 배후 주거단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의왕시는 경기도 도시・건축 공동위원회 자문결과를 반영해 장안천 주변 수변공원과 의왕시 그린웨이(Green-Way) 핵심사업인 산들길(왕송호수 ~ 백운호수) 조성 등 장안지구를 자연친화적 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시행자는 의왕장안프로젝트금융투자(주)로 내년 1월 공사를 시작해 2016년 12월 완료를 목표로 추진될 계획이다.

 

경기도는 장안지구 개발사업이 의왕시를 철도 메카로 발돋움시키는 한편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담당과장 이종수 031-8008-3410,  팀장  배재헌 4886,  담당자 김석 3414

 

파일다운로드 src의왕 장안지구 도시개발 실시계획 인가 고시 사업본격화.hwp

경기도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서울시, 을지로에 '복합 문화 청사' 증축한다

을지로 별관 유휴 부지 활용, 복합 문화 청사 증축 “그레벵 박물관+공공청사” 
행정수요 공간 확보로 임차 청사 완전 해소, 장기적으로 예산 절감 효과 기대
분산 배치된 청사를 집중화하여 행정업무 효율성 증대 및 이용 시민 불편 해소   

서울의 지역 명소로 자리매김(2015. 7월그레벵 박물관 개관, 2018년 공공청사완공)

 

'복합 문화 청사' 조감도

 

단면 및 도입프로그램(예시)

서울시

kcontents

 

 

울시는 10월 31일 을지로 별관 유휴 부지를 활용한 “복합 문화 청사(그레벵 박물관 + 공공청사)” 증축 계획을 발표했다.
 

을지로 복합 청사 건립 사업은 2015년 실시 설계에 착수 하여 2016년 착공, 2018년 입주를 목표로 추진 중에 있으며, 현재 예산 확보(사업비 약 362억원 소요)를 위한 공유재산 심의 및 투자심사 등 행정 절차가 진행 되고 있다. 
 

을지로 별관(구 미문화원)은 도심지내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등록문화재로 지정됨에 따라 잔여 부지(약1,000㎡)에 대한 활용 계획 수립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번에 서울시에서 기존 문화재를 보호하면서 유휴부지를 활용할 수 있는 보전형 도시환경정비사업방식을 도입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서울시 행정수요 필요 공간 확보로(임차 청사 해소) 장기적으로는 예산 절감 기대, 분산 배치된 공공청사 이용에 따른 시민불편 해소 
 

을지로 복합 문화 청사는 지하 2층, 지상 16층(연면적 13,158㎡)규모로 공공업무공간과 컨벤션 시설 등의 용도로 계획 예정이며,  
 

서울시는 본관청사 신축 당시 덕수궁 및 주변 경관 보호 등을 위하여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업무공간을 이번에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업무공간 부족으로 임차하여 사용 중인 무교별관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업무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청사 임차 비용 등 예산 절감 효과가 있다고 서울시는 설명하고 있다. 
 

서울시 직원 1인당 사무공간 면적이 6.5㎡로 관련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 7㎡에 미달 되는 실정으로,
 

을지로 별관 복합 문화 청사 건립을 통해 직원 사기 진작과 분산되어 있는 직원 집중 배치를 통한 업무 효율성 증대, 대시민 서비스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복합 문화 청사와 문화공간(그레벵 박물관)과 공공청사 기능을 연계하여 서울의 지역 명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2015. 7월 그레벵 박물관 개관, 2018년 공공청사완공)
 

서울시에서는 을지로 별관 복합 문화청사의 기존 구 미문화원 건물에는 그레벵 박물관(프랑스 밀랍인형 박물관, 2015. 7월 개관 예정)을 유치하여 공공청사와 문화 기능을 연계하는 ‘복합 문화 청사“로 조성할 예정이다.

 

향후 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시설물(박물관 옥상 등) 연계를 통해 열린 시민공간으로 이용될 것이며, 을지로 별관 복합 문화 청사가 완공되는 2018년에는 공공청사와 그레벵 박물관의 문화가 공존하는 지역 명소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을지로 별관 부지현황
위    치 : 중구 을지로1가 63번지(면적 1,983.5㎡)
도시계획 : 일반상업지역, 방화지구, 도시환경정비구역(무교다동 33지구)
건물현황 : 지하1층/지상5층, 연면적 4,444.62㎡, 용적률 200%
※ 등록문화재 238호(‘06.3)


별첨 : 참고자료(예시도) 1부.  끝.


[석간]“문화가 있는 시민공간”을지로 청사 건립 추진.hwp (2640896 Bytes)
서울시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공정위, 포항영일만항 외곽시설(2-1단계) 축조공사 입찰 담합 적발·제재 조치

대림산업(주), 에스케이건설(주), (주)포스코건설,

현대건설(주), 현대산업개발(주)

과징금 총 251억 원 부과 및 검찰 고발

 

SK건설이 수주한 포항 영일만항 외곽시설(2-1단계) 축조 공사 조감도

kcontents

 

 

공정거래위원회가 포항 영일만항 외곽시설(2-1단계) 축조 공사 과정에서 입찰 담합을 한 대림산업(주), 에스케이건설(주), (주)포스코건설, 현대건설(주), 현대산업개발(주)에 시정명령, 과징금 총 251억 원을 부과하고, 검찰에 고발하기로 결정했다.

 

2009년 9월 2일 조달청(수요 기관: 포항지방해양항만청)에서 입찰 공고한‘포항영일만항 외곽시설(2-1단계) 축조공사’는 대안입찰공사(전체대안)로서 공사 추정 금액은 206,520백만 원(부가가치세 포함)이고, 낙찰자 결정 방식은 ‘가중치 기준 방식(설계 점수 60%, 가격 점수 40%)’으로 입찰이 이루어진 바 있다.

 

앞으로 공정위는 기업의 담합 행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담합이  적발될 경우 엄중하게 제재할 계획이다.

 

 

공정위 과징금 부과 및 고발 내용

 

1. 법 위반 내용

대림산업, 에스케이건설, 포스코건설,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은 포항영일만항 외곽시설(2-1단계) 축조공사 입찰에서 저가(低價) 수주를 회피하고자 투찰 가격을 사전에 합의함.

 

각 사 실무자들은 유선 통화·대면 회의 등을 통하여 대림산업은    예정 가격* 대비 93.13%, 에스케이건설은 93.17%, 포스코건설은 93.08%, 현대건설은 93.19%, 현대산업개발은 93.09%로 투찰하기로 합의함.

※ 각 사별 설계금액 대비 투찰률 : 대림산업(88.97%), 에스케이건설(89.00%), 포스코건설(88.92%), 현대건설(89.02%), 현대산업개발(88.92%)
* 이 건 공사 예정 가격은 2,065억 원임

 

93% 수준에서 투찰 가격을 정한 것은 공정위의 담합 조사를 피하고,동시에 최대한 높은 가격으로 공사를 수주하기 위한 것임.

※ 가격변별력이 있는 5개 투찰률을 빈 종이에 적어 놓은 후 추첨을 통해 각 사별 투찰률을 결정(투찰률 차이가 0.1% 범위내여서 발주기관 입장에서 담합임을 쉽게 의심할 수 있었음)

 

2009년 12월 22일 대림산업, 에스케이건설, 포스코건설,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은 상호 감시 하에 합의된 가격으로 투찰하였으며, 심의 결과 설계 점수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에스케이건설이 낙찰자로 선정됨.

 

2. 세부 조치 내용

적용 법조: 공정거래법 제19조 제1항 제8호(입찰 담합)

조치 내용: 5개 사업자에게 시정명령, 과징금 부과, 검찰 고발

시정명령: 법 위반행위 금지명령

과징금 부과: 총 251억 원

* 대림산업(55억 1,000만 원), 에스케이건설(41억 9,800만 원), 포스코건설(62억 9,700만 원), 
  현대건설(62억 9,700만 원), 현대산업개발(27억 9,800만 원)

  

담합 사건의 경우, 시정명령 및 부과 과징 금액은 감면 고시에 따른 감면이 있을 수 있으며, 관련 매출액 등은 추후 확정 과정에서 일부 조정될 수 있음.

 

검찰 고발: 대림산업, 에스케이건설, 포스코건설,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 등 5개 법인 고발

 

3. 조치 의의 및 기대 효과

이번 조치는 안전을 최우선시 해야 되는 대규모 방파제 공사에서 발생한 입찰 담합을 적발하여 조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hwp파일 src포항영일만 보도자료.hwp   pdf파일 src포항영일만 보도자료.PDF

공정거래위원회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미 뉴저지주 킹다카 롤러코스터 건설 동영상 Kingda Ka Rollercoaster Construction Time Lapsed Video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데일리건설뉴스 Daily Construction News]2014년 10월 30일(목) CONPAPER

Daily Construction News

[데일리건설뉴스]2014년  10월   30일(목) CONPAPER

 

● Blackout 과 Brownout

● 전북도, '전북권 신공항' 본격 추진한다

● '적자의 늪'에서 벗어난 건설사 3분기 실적...건설경기 회복?

● 포스코에너지, 베트남에 두번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한다...바체(Ba Che) 지역

● 삼척시, ‘원전 건설 백지화’ 요청공문 정부기관에 발송

● 국토부,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SBAS) 개발 사업 착수

● 멈춰버린 '용산', '개발 정비사업' 주민 갈등에 장기 표류

● '여수 엑스포 마리나 사업' 또다시 무산 ..."연말 재공모 추진"

● 인천시, 장기 '미조성 공원' 민간사업 추진

● K-water “필리핀 앙갓(Angat) 다목적댐 인수...운영 및 상업발전 착수!” 

● 우리는 진정으로 해방되었는가? [정달호] 

● 공들여 왔던 14억불 규모 '필리핀 한띠와디 신공항사업' 싱가포르업체가 수주 Singapore-Led Group

   Wins $1.4 Billion Myanmar Airport Deal 

● 중랑구 상봉터미널 부지, '중랑-COEX 개발사업' 등 초고층 복합개발 탄력받아 

● 페이스북은 어떻게 돈 버나? How Does Facebook Make Its Money? 

● 좀비 바이러스(Zombie Virus), "실제로 가능할까?"(1) VIDEO -심약자 열람 금지 

● 충남도, 1000척 수용 '거점형 마리나 항만 개발' 급물살 탄다 

● 건설사들, LH로부터 2년간 입찰제한 조치 받아...취소 소송 제기 

● 2014 美 메이저리그 월드시리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우승 Giants Win 2014 World Series With

   Game 7 Heroics From Madison Bumgarner VIDEO 

● 대전지방국토관리청, '품질 및 안전관리 업무 매뉴얼' 발간 

● 광명시 철산주공10·11단지 '시공자 선정' 논란...'도급제 전환' 반발 

● 대치동 쌍용2차 아파트 재건축 사업, 강남구청 추진위 승인...곧 조합 구성될 듯 

● [2014국정감사] "건설사, 조합원에 금품 향응 제공 '입찰 제한 등 제도 재정비 해야'” - 이찬열 의원 

● 1조 1600억원 규모 '소사~대곡 복선전철 사업', 내년에 착공된다 

● 고법, “도로 개설후 건립 아파트, 車 소음배상 책임 없다” 한국도로공사에 손 들어줘 

● 어프로치 완전 정복

● "대강정 프로젝트" - 좌동철 제주일보 

● '생강'의 효능 본 30대 女 어떻게...

● 한전, 세계 최초 '직류 송전급 초전도 전력설비' 준공

● 철도시설공단, 진주~광양 복선화 역사 건축공사 발주....북천외 1개 역사 외

● 세종시 대통령기록관 건설 진행 동향

● 대법원, '4대강 살리기사업 1차 턴키공사' 입찰 담합 최종 판결 

● 국토교통 10대 미래기술 - Top 메가 스트럭처편    

 

 

Sewol 4.16 ~ "We never forget the Day!"


건설매거진 [콘페이퍼]2014년도 10월호
Construction Magazine


디자인올 Designall

http://designall.tistory.com

 


 

Construction Contents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국토교통 10대 미래기술 - Top 메가 스트럭처편

 

 

 

Damoa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