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 달맞이언덕 땅', 중국인들 싹쓸이 소문은?

 

 

해운대 해수욕장 동백섬에서 바라본 해무낀 달맞이 언덕

출처 http://oneseek.tistory.com/351

kcontents

 

 

'부산 해운대 달맞이언덕 주변 땅을 중국인들이 싹쓸이하고 있다.'

'해운대 고급 아파트의 실제 주인들은 알고 보면 중국인이 많다.'

최근 중국인 부호들이 해운대 일대 부동산을 대거 구입, 다량의 해운대 땅을 소유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해운대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다.

 

해운대구, 현황 조사 결과
중국인·법인 소유 부동산 4년 전의 절반 수준 그쳐
일본인이 최대 땅 부자


하지만 이는 소문일 뿐 실제론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인 등 외국인이 소유한 해운대 부동산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해운대구청은 최근 '외국인 부동산 취득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현재 해운대 내 외국인과 외국법인이 소유한 부동산 면적은 2010년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으며, 중국인 및 중국법인의 보유 부동산도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고 4일 밝혔다.

 

2010년 하반기에 외국인 및 외국법인이 소유한 해운대 부동산 면적은 총 61만 4천977㎡로, 공시지가는 3천889억 500만 원 상당이었다. 

 

하지만 올 상반기 면적은 24만 3천914㎡로, 공시지가는 2천365억 2천400만 원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중국인과 중국법인이 소유한 해운대 부동산 면적 역시 1만 8천213㎡에서 8천675㎡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금액도 159억 8천400만 원에서 113억 1천700만 원으로 감소했다.

 

중국인들이 해운대에 많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는 소문은 최근 중국의 대규모 부동산 투자로 논란이 된 제주도 사례 때문에 확산된 추측성의 얘기가 근원으로 지목된다.

 

제주도의 경우 지난 10여 년간 중국인 소유 부동산이 350배가량 늘어났다.

 

또 해운대에 투자이민제가 시행됐고, 101층 해운대관광리조트(엘시티)가 중국 부호들을 겨냥해 분양계획을 세웠기 때문에 해운대의 중국인 부동산 관련 소문은 더욱 그럴싸하게 포장돼 퍼지고 있다는 평가다.

 

반면 해운대의 투자이민제는 아직 별다른 효과가 없으며 엘시티 분양도 본격화되지 않았다. 오히려 최근 수년간 부동산 경기 침체로 외국인의 투자는 감소하고 중국인들도 비슷한 경향을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해운대구청 관계자는 "해운대·기장 지역 대형 개발사업들에 중국인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지만, 아직 현실화되진 않았다"며 "소문과 현실은 괴리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올 상반기 기준으로 해운대에 가장 많은 부동산을 가진 외국인 국적은 일본으로 7만 8천776㎡(공시지가 622억 7천700만 원) 규모이다. 

 

부산일보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41004000035

 

 

 

Construction News, Seoul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설악 단오문화권 특정지역 개발사업' 추진동향...해안관광도로 개설공사 외 1건

 

설악단오문화권 특정지역사업’ 청호동 해안도로개설사업 위치도, 강원신문

kcontents

 

 

[속초 관광지 연계 해안관광도로 개설공사]

해안도로 중 유일하게 미 개설된 해안관광도로 개설 및 설악~금강대교를 연계한 해양관광 인프라 확충
국토교통부 설악․단오문화권 특정지역 개발사업으로 추진

 

사업개요
위    치 : 청호동 청호초교 ~ 설악대교 일원(속초해변 연결)
사 업 량 : 도로개설 L=1.04km, B=9.0~15.0m
사 업 비 : 12,214백만 원(국비 9,900 / 시비 2,314)
사업기간 : 2013.07.08. ~ 2020.04.23.(장기계속사업)
2014년도 1차분 : 2014.05.26. ~ 2015.05.20.

 

추진상황(총 공정율 10%)
도로개설 L=80m, 임시도로개설 L=180m 완료(2013년 1단계 사업으로 추진)
전체분 착공 : 2014.05.26.
현장사무실 설치 완료 및 T.T.P. / 근고블럭 제작중

 

국토교통부 연도별 투자계획

(단위:백만 원)

 

향후계획
2014년 T.T.P. 및 근고블럭 제작 완료 
⇒ 국토교통부 국비 지원 계획상 2017년 사업 완료 예정

 

 

 

[떡밭재 도로개설공사]

조양동과 도문동을 연결하고 관광성수기 교통체증 해소를 위한 7번국도 우회도로 개설로 낙후된 도문동지역 개발 활성화 및 오랜 숙원사업 해결
국토교통부 설악․단오문화권 특정지역 개발사업으로 추진

 

사업개요
위    치 : 조양동 논산리 ~ 대포동 설악산로
사 업 량 : 도로개설 L=1.57km, B=20.0m
사 업 비 : 12,024백만 원(국비 8,100 / 시비 3,924)
사업기간 : 2008.09.04. ~ 2018.12.30.(장기계속사업)
2014년도 6차분 : 2014.04.30. ~ 2014.10.26.

 

추진상황(총 공정율 38%)
산마루측구 L=400m, 용수개거 L=719m, 수로암거 L=86m
V형측구 L=37m, L-2옹벽 L=240m 시공
절토부 법면 보호릉 위한 가시설공 추진
비탈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법면안정 및 보호공법 변경 검토중

 

향후계획
2014년 속초방면 배수구조물 90% 완료 후 2015년 1개 차선 아스콘기층포장
※ 국토교통부 국비 지원 계획상 2017년 사업 완료 예정

 

국토교통부 연도별 투자계획
(단위:백만 원)

속초시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국토교통부, '제로에너지 빌딩 활성화 시범사업' 공모

10.6.~11.24. 공모 접수,

신재생에너지 설치보조금 등 포괄적 지원

 

 

[시범사업 추진방안]
사업모델별로 단계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성공모델을 창출하여 상용화를 유도
공모를 통해 저층형

은 ‘14년, 고층형은 ’15년, 타운형은 ‘16년 시범사업 대상을 선정*

* 에너지절감, 홍보효과, 적용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결정

 

제로에너지빌딩 관련 R&D 추진현황

국토부, kcontents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제로에너지빌딩*을 조기에 활성화하고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하여 제로에너지빌딩(Nearly Zero-Energy Building)* 시범사업을 공모를 통하여 선정한다고 밝혔다.

 

제로에너지빌딩의 개념

외피단열, 외부창호 등 단열성능 극대화 및 지열,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활용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건축물


이번 시범사업*은 7층 이하 저층형 건물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건축주가 추가 공사비 부담 없이 건축할 수 있도록 사업성 및 경제성 검증 등을 통하여 시장 선도형 성공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

제로에너지빌딩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높이고, 앞으로 상용화를 위한 효과적인 적용·실행방안이 포함된 방침을 마련하기 위해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에 따라 시행하는 사업

 

국토교통부는 성공적인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건축기준 완화(용적률 15% 이내 완화 등), 신재생에너지 설치보조금 우선지원*, BEMS 설치보조금 지원**, 세제감면*** 등 포괄적인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며, 제로에너지빌딩 지원센터(건설기술연구원, 에너지관리공단)를 통해 설계검토, 컨설팅, 기술지원, 모니터링 등 체계적 관리·지원을 추진한다.
*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 설치보조금 고시 지원단가에 따라 30~50% 보조금을 지원하며, 해당년도 건물이 준공되고 최종적으로 설치 확인 시 지원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 추진중인「녹색건축물 에너지통합관리시스템 기반구축 및 실증 R&D」연구용역과 연계, ‘16년 BEMS 설치보조금 50% 지원 예정
*** 취득세 15%, 재산세 5년간 15% 감면 추진

 

본 공모는 7층 이하의 주거·비주거 건물을 신축하거나 재건축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국민·기업·지자체 등이 신청가능하며, 10월 6일부터 11월 24일까지 국토교통부 누리집*에서 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성한 후 우편 또는 이메일로 접수**하면 된다.


* (신청서 작성요령) www.molit.go.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
** (우편 접수) 339-012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11 국토교통부 6-2동 녹색건축과 (044-201-3769, 3774)(이메일 접수):
jcheey@korea.kr
※ 참고 누리집: 그린투게더 (
www.greentogether.or.kr)

 

시범사업 대상은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선정기준*에 따라 종합평가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선정할 계획이며, 선정된 사업에 대해서는 사업종료 후 최소 3년간 에너지사용량 등을 모니터링 하여 사업효과를 검증하게 된다.
* (선정기준) 에너지효율등급, 홍보효과, 디자인 우수성, 적용기술 등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제로에너지빌딩은 건축물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건물이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제로에너지빌딩 조기 활성화를 위한 초석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글문서 src 141006(조간)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 공모(녹색건축과).hwp

파일 align 141006(조간)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 공모(녹색건축과).pdf

국토교통부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국토부, '교통안전 정보산업 민관협력' 조성에 나서

민간과 공조 대국민 교통정보 서비스 개선

지능형교통체계(ITS) 투자효율화

 

[협력 사항]

에스케이플래닛은 T map이 보유한 교통소통정보, 팅크웨어는 아이나비 교통패턴정보를 제공하며,

국토교통부는 국가 ITS 정보와 교통안전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

국토부, kcontents

 

 

국내 대표적 교통정보 서비스업체인 SK플래닛(대표이사 : 서진우)과 팅크웨어(대표이사 : 이홍복)가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와 함께 교통안전정보 산업의 민관협력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정부와 이들 업체는 6일(월) 국토교통부 국가교통정보센터에서 교통정보 공유 및 활용에 대한 협약식*을 개최한다.
* (참석) 국토교통부 2차관, SK planet㈜ 대표이사, Thinkware㈜ 대표이사 등

 

협약의 주요내용은 민관이 공동으로 지능형교통체계(ITS) 투자효율화를 도모하고 대국민 교통정보 서비스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통정보의 품질 개선, 교통정보와 연계한 스마트 안전 및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구축 등 미래성장동력인 교통정보산업 분야에서도 상호 협업할 계획이다.

 

정부는 민간에서 생성 중인 전국 소통정보를 활용하게 되어 막대한 인프라 구축비용을 절감하는 대신, 실시간 교통안전정보 수집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집중한다.

 

이렇게 안전장비의 확대설치를 통해 사고예방을 도모하고 사고 시 대응능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국가에서 수집한 정보와 민간서비스의 접목으로 새로운 교통정보 서비스 창출 등 정보 제공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것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가 교통정보 투자효율화 및 대국민 교통정보 서비스 개선은 물론 국가와 민간이 협력하는 교통안전정보 생태계가 조성됨으로써 관련 산업의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SK플래닛(대표이사 서진우)은 “SK T맵은 양질의 실시간 교통소통정보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난 13년간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며 “국토부와의 이번 협업이 미래 교통관련 산업의 발전과 국민들의 교통안전 강화를 동시에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팅크웨어(대표이사 이흥복)는 “내비게이션 아이나비로 지난 17년 동안 수집한 교통소통정보와 업계 최초 국토교통부의 CCTV 정보를 활용한 ‘실시간 영상 교통정보’시대 개막 등 교통소통정보 분야의 시장을 선도해왔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통한 국토교통부와의 협력으로 대국민 교통정보 플랫폼을 적극 구축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글문서 src 141006(조간) 스마트폰-내비게이션 교통정보 공유 활용 협약식(첨단도로환경과).hwp

파일 align 141006(조간) 스마트폰-내비게이션 교통정보 공유 활용 협약식(첨단도로환경과).pdf

국토부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847억 규모 춘천 '레고랜드 진입교량', 이달 발주

도, 조달청에 의뢰,

현대건설 참여 확정, 대림산업 참여 고민

총사업비 30억 이상 삭감, 경합률 낮을 듯

 

 

춘천 '레고랜드 및  진입교량'  조감도 출처 ATN뉴스

 

 

춘천 레고랜드 진입교량 건설공사가 이르면 이달 중순쯤 발주될 것으로 보여 본격적인 수주전이 예상된다.

 

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강원도는 최근 기획재정부와의 레고랜드 진입교량 건설공사에 필요한 총사업비를 확정짓고 조달청에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방식으로 계약요청을 의뢰했다.

 

조달청은 현재 교량가설에 대한 기술검토에 착수했으며 특별한 조율이 필요하지 않는 한 이달 중순쯤 공고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공사는 춘천 근화동에서 레고랜드가 들어서는 중도일원까지 935m 규모의 교량을 포함한 총연장 1055m의 진입도로를 건설하는 것이다. 공사예정금액은 847억원이다.

 

이 공사는 그 동안 정부와 도, 춘천시, 시행사 등과의 이견으로 지연됐으나 레고랜드 코리아 조성 부지 내 유적에 대한 처리방안이 승인돼 사업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도 본격적인 수주를 준비하고 있다.

 

현대건설이 사실상 참여를 확정한 가운데 대림산업 등이 참여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총사업비 협의 과정에서 30억원 이상 삭감되는 등 적정 실행률 확보가 어렵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 실제 참여 건설사는 많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도내 건설업계 관계자는 “공사비 삭감 여파로 3파전 이상의 경쟁은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원도민일보 박현철 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동양건설산업, 2개의 건설사 보유 '(주)라인'에 인수

네 번의 매각시도 실패 끝에 새 주인 찾아

 

 

 

라인건설과 이지건설을 거느린 (주)라인이 아파트 브랜드 ‘파라곤’으로 알려진 동양건설산업을 인수한다. 동양건설산업은 2011년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한 후 3년에 걸쳐 네 번의 매각시도 실패 끝에 새 주인 찾기에 성공했다.

 

3일 채권단에 따르면 동양건설산업은 이날 서울중앙지방법원 파산부에 라인건설과 이지건설로 구성된 (주)라인 컨소시엄에 매각하게 해달라고 허가신청서를 냈다. 법원은 이 허가를 받아들여 곧 본계약이 체결될 예정이다. 인수가격은 150억원으로 알려졌다.


라인은 토목건축 조경 주택 등에 강점을 가진 시공능력 평가 순위 60위권의 중견 건설사다. 이지건설, 이지개발, 디앤씨라인, 이지하우징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고 작년 매출 1259억원(연결 기준), 순익 110억원을 올렸다. 채권단 관계자는 “인수후보들이 재건축 규제 완화로 동양건설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고 인수전에 나선 것”이라고 평가했다.

 

동양건설산업은 도급 순위 49위의 중견 건설사다. 동양건설산업이 매각에 성공하면서 수차례 매각에 실패해온 LIG건설과 남광토건 등 다른 법정관리 건설사 매각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현재 매각이 추진 중인 건설사는 쌍용건설, 극동건설, LIG건설, 남광토건 등이다.

 

한국경제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4천억짜리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애물단지..." 언론보도, 국토부 입장

 

인천공항에서 시범운영이 완료된 자기부상열차 <사진 News1심영석 기자>

 

 

< 보도내용 (MBC뉴스 10.3일) >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개통을 6번 연기하고 있음
정부는 2007년 (대전ㆍ대구가 아닌) 인천공항으로 입지를 선정하였는데 주변개발이 대부분 무산되어 수요가 부족
4,200억원(국고 2,900억원) 들인 사업이 애물단지로 전락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는 일본에 이어 세계 2번째로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를 위한 시범사업’으로추진된 것으로서, ‘06.12월 실용화 사업단 발족에 이어 ‘12.9월 시험운행 착수한 이후 ’14.9.2 영업시운전까지 완료하였으며, 현재 시운전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중임

 

국토부는 자기부상열차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많지 않은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개발되는 점을 감안, 보다 완벽한 상태로 개통하기 위한 시스템 보완을 위해 운영주체(인천시와 인천공항공사)의 건의를 받아 3차례 개통을 연기한 바 있으며, 공항 주변개발이 당초 계획대로 되지 않아 개통압력 또한 크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개통을 서두르지 않고 나타난 시행착오를 착실히 보완중에 있음
* (개통연기) 당초 ‘13.8월 → ’13.12월 → ‘14.6월 → ’14.12월
** 일본의 경우도 개발 착수(‘74년) 후 보완과정을 거쳐 31년 만에 개통(’05년)

 

2007.6월 입지선정 당시 인천공항, 대전, 대구 등이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을 유치하기 위해 경쟁한 바 있는데,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당시 건설교통기술평가원)은 16명의 민간전문가로 ‘시범노선선정추진위’를 구성하여 다양한 측면(사업목적 적합성, 사업추진 의지, 재원조달 등)을 고려하여 평가하였음

 

이 과정에서 자기부상열차는 해외수출이 유망하므로 인천공항이 개발된 기술을 대외적으로 홍보하는데 타 지역보다 유리하다는 점 등이 고려되어 최종 입지로 결정됨

 

자기부상열차 상용화 사업에는 총 4,149억원(국고 2,880억)이 투입되었는데, 사업목적은 ① 일본에 이어 세계 2번째로 도시형 자기부상열차를 상용화하여 국내외 시장 개척에 기여하고, ② R&D 상용화를 위해 필요한 시범노선을 인천공항 주변 교통수단으로 활용한다는 것임

 

현재 대전 2호선에 자기부상열차 도입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입대체 효과(1,175억원)가 크고, 중국, 러시아, 인도네시아 등 해외진출 협의가 추진중이며, 인천공항 주변 개발도 지속 추진중이므로 향후 수출유망분야와 주요 교통수단으로 기능할 잠재력이 충분함

 

한글문서 src 141003(참고)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애물단지로 보도 관련(광역도시철도과).hwp

파일 align 141003(참고)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애물단지로 보도 관련(광역도시철도과).pdf
국토부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토종’ 미세먼지 정화기술, 국내 도로터널에 첫 적용

도로터널용 전기집진기 국내 첫 상용화
KC코트렐, 매연·미세먼지 등 정화 환기시스템 개발
국내 상용화로 연간 100~200억 수입대체 효과 기대

 

터널용 전기집진기

 

 

5년 전인 2009년 8월. 서울시는 “도심지하에 지하 대동맥을 뚫는다”는 의미심장한 제목의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서울 남북 간 3개 축과 도서 간 3개 축의 총 6개 노선(149km)으로 구성된 지하도로를 건설하겠다는 것. 소요비용은 약 11조 2000억 원.


이 야심찬 계획은 막대한 비용발생 등의 이유로 현재는 유보된 상태. 하지만 지금 세계적인 트랜드는 지하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지상의 도로교통 수요를 지하로 전환하는 추세다. 
반면 오염물질이 가득 찬 도심 터널은 운전자의 시야를 흐리게 할 뿐만 아니라 터널 주변 거주민의 건강과 생활을 위협하고 있다. 더구나 도로터널의 수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앞으로 급격히 증가할 수밖에 없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도로터널용 전기집진기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도로터널용 전기집진기란 도로터널의 미세먼지와 공기를 깨끗이 정화할 수 있는 환기시스템을 말한다. 


매연과 미세먼지가 뒤섞여 있는 터널 안의 공기가 집진기를 통과하면 음극을 띄는 방전극에 의해 (-)로 대전된 후 양극을 띄는 집진판으로 부착돼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장치다. 


부착된 매연 및 미세먼지는 집진기 비가동 시 세정수 공급장치를 통해 물 세척으로 집진기 내부를 청소한 뒤 오수처리시설에서 처리된다. 


국내 최초로 개발된 이 기술이 앞으로 상용화된다. 그동안 우리나라에 보급된 도로터널용 전기집진기는 일본과 유럽제품이 전량 수입돼 가격이 높고 납기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국내 기술이 상용화되면 연간 100~200억 원의 수입대체효과를 얻을 수 있다.


KC코트렐이 국내기술 처음으로 지난 7월 강남순환도로 7-2공구 전기집진기 시스템 납품 및 관련 설치공사 프로젝트를 대림 I&S(주)로부터 수주하면서 첫 물꼬를 텄다. 준공은 2016년 5월.


국산화한 터널용 집진기는 1단 하전방식이다. 기존 국외기술에서 대전부와 집진부가 분리된 2단 하전방식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동일 공간에서 집진과 방전이 동시에 일어난다.
이에 따라 13m/s 유속에서도 80% 이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 1단 하전방식을 채택할 경우 한 가지 종류의 하전장치(고전압발생기)만을 사용할 수 있고, 컴팩트한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톱날형 방전극을 장착한 전기집진기로 컴팩트한 구조적 장점을 이용해 대용량의 분진 포함가스 또는 공기를 처리하기가 쉽다.  


KC코트렐은 이번에 수주한 강남순환고속도로 7-2 공구를 시작으로 국내의 터널 집진기 시장에서 유일한 국내 기술로 경쟁력 있는 시장 점유를 예상하고 있다.
더불어 터널 집진기와 유사한 도시철도용(지하철) 집진기도 개발을 완료하고 시장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길동순 KC코트렐 플랜트사업부 과장은 “국내 개발 제품과 수입제품과의 성능차이는 없다”며 “국내기술로 처음 도로터널용 전기집진기를 상용화했다는 큰 의미와 함께 수입제품과 달리 문제발생 시 즉각적인 조처를 할 수 있는 장점 등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에너지경제] 양세훈 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위클리건설리포트 Weekly Construction Report]2014년 9월 28일(일) ~ 2014년 10월 4일(토)

 

 

Weekly Construction Report

[위클리건설리포트]2014년   9월   28일(일)  ~  2014년  10월    4일(토)

 

 

 [데일리건설뉴스 Daily Construction News]2014년 10월 2일(목) CONPAPER

 [데일리건설뉴스 Daily Construction News]2014년 10월 1일(수) CONPAPER

 [데일리건설뉴스 Daily Construction News]2014년 9월 30일(화) CONPAPER

 [데일리건설뉴스 Daily Construction News]2014년 9월 29일(월) CONPAPER

 

 Carl Orff(칼 오르프) - Cantata 'Carmina Burana' O Fortuna(칸타타 '카르미나 부라나' 중 오 행운이여!)

 부(富)의 세습 VS 권력(權力)의 세습 [박상도]

 세계의 모스크(I) The world's famous mosques(I)

 세계의 모스크(II) The world's famous mosques(II)

 평생 못 타볼 2천만원짜리 '스위트 클래스' Dream!,$23,000 'Sweetclass' photoes

 홍콩 시위는 왜 하나? 'Hong Kong's Pro-Democracy Movement' VIDEO

 실내수영장, 보트장 갖춘 60m 초대형 요트 An indoor pool, an aquarium and...:On board a 196ft mega

   yacht VIDEO

 아스팔트 구덩이에 빠져 돌덩이로 변한 강아지 The dog that turned into a rock: Rescuers take two

   days..VIDEO

 서울에 국내 최초 '조립식(모듈러) 아파트' 짓는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개발형 사업'에 최초 지분투자 결정...인니 발전사업

 

 

 

 

Sewol 4.16 ~ "We never forget the Day!"

 

건설매거진 [콘페이퍼]2014년도 9월호

Construction Magazine

http://conpaper.tistory.com/22025

 

디자인올 Designall

http://designall.tistory.com

 

 

Construction Contents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데일리건설뉴스 Daily Construction News]2014년 10월 2일(목) CONPAPER

 

Daily Construction News

[데일리건설뉴스]2014년  10월   2일(목) CONPAPER

 

 

 포스코ICT 자회사 '포뉴텍', UAE 바라카 원전 건설사업 참여

 서울 개포동 대청아파트 리모델링 시공자 선정, 2파전 전개

 고려개발, 920억원 규모 '김해 봉황동 부봉지구 A1-2 블럭 아파트 신축공사' 수주

 '2014 한국건축문화대상' 대통령상 수상 - 건축가 민현준

 'MB표' 자전거 도로사업 대폭축소…"내년 조기종료된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 제대로 된 예측이 필요하다" - 김기홍 광주경실련

 “국립 철도박물관을 잡아라.” '대전'이 최적지로 꼽혀

교량전문업체 '인터컨스텍', KTB 프라이빗에쿼티(PE)에 인수된다

일본, 노후 교량 터널 유지보수 기술자 5000명 양성

경남 거제 '동서간 연결도로' 내년 2월 착공 

상하이 자유무역구(FTZ), 고속철 등 27개 업종 외국인 투자제한 해제

한-베트남, 12조 교통인프라 건설 금융지원 양해각서(MOU) 체결

철도시설공단, 공항철도 영종역사 건설 본격 추진...주민설명회 개최

키 크는 음식과 칼슘보다 중요한 것은? - 이인재원장 코비한의원

美 미사일방어(MD) 체계와 사드(THAAD) 개요 - 그래픽 동영상 

뷔페에서 글쓰기(3) [김창식]

광명 철산주공8·9단지 재건축, '시공자 지분방식' 놓고 맞대결... 4일 합동설명회

"리모델링 시장 비상", 재건축 연한 단축으로 추진단지 직격탄

"고속도로 과적 화물차로 유지보수비용 증가" - 민홍철 의원

해양수산부, '연안 정비사업'에 2019년까지 1조9800억원 투입

경기도 시흥시 배곧신도시

파나마 메트로 2호선 설계 및 건설 입찰 공고

UAE 두바이 메트로 노선 확장계획 Dubai metro expansion plans

산업통상자원부, '친환경 전지융합 실증화단지 구축사업 지원계획' 공고

10월 4일(토) 서울 세계 불꽃축제...13시~21시까지 여의도한강공원

서울시, 서초구 '방배 제13주택재건축' 정비구역 지정

대우건설, 2230억원 규모 안산 고잔동 '중앙주공2단지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수주

이테크건설, 2150억원 규모 천연가스발전소 설치공사 수주

태영건설, 576억원 규모 '영등포 오피스텔 신축공사' 수주

우연의 일치인가? 리분희 교통사고 중상...현정화는 음주 교통사고?

인천교통공사, 도시철도 최초 '역사통합안내시스템' 개발... 안전사고 예방

‘카레의 강황 성분’, 알츠하이머병(치매) 예방해준다 Common Curry Ingredient Could Help The Brain

   Battle The Affects Of Alzheimer’s

국가 암검진, 일정 연령 달하는 모든 국민에게 시행

환경부, ‘4대강 수질 악화...녹조제거에 4,000억 헛돈’ 언론보도 설명

도로에 서있는 차량 거대 포트홀에 빠져버려 Lada 4x4 falls down giant pothole after road collapses

한국원자력연구원, 가속기 핵심 기술 ‘방사선 발생장치’ 신기술 독자적 개발

치과 진료 미뤘는데.. '뇌졸중?'

'만만회' 들먹이며 대기업 사기 취업 성공한 50대..."나 청와대 비서관..."

 

 

 

Sewol 4.16 ~ "We never forget the Day!"

 

건설매거진 [콘페이퍼]2014년도 9월호

Construction Magazine

http://conpaper.tistory.com/22025

 

디자인올 Designall

http://designall.tistory.com

 

 

 

 

Construction Contents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