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현대건설, 7억3000만달러 '말레이지아 석탄화력발전소 EPC' 수주 'Hyundai consortium wins 2,000MW Coal-fired Power Project in Malaysia'

 

 

 

Jimah Power plant

 

Coal-fired power generation project in Mukim Jimah in Negri Sembilan, Malaysia

 

[말레이지아 2000MW 석탄화력발전소 프로젝트]

본 프로젝트는 일본의 미쓰이사가 말레이지아로부터 수주한 2x1000MW 석탄화력발전소 사업이다.

미쓰이의 재원도 함께 제공되는 이 프로젝트는 말레이지아의 외국자본으로 건설되는 최초의 화력발전소사업으로 BOO(Construction, Own and Operation of Power Plant)방식으로 시행된다.

Mukim Jimah와 n Negri Sembilan에 각 1기씩 건설하게 되며 2018년 11월에 첫 상업운전을 시작하게 된다.

전체 사업비는 약 33억불로  이번에 수주한 한국업체는 EPC 및 부대설비를 담당하게 된다.

이번 입찰에는 일본의 도시바 컨소시엄, 이시가와 컨소시업 그리고 한국의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참여했다. 주요 설비들은 일본업체들이 공급하게 되며 에디터 황기철

kcontents

 

 

현대엔지니어링이 지난달 29일 말레이시아 '지마 이스트파워(Jimah East Power)'사로부터 7억3000만달러짜리 석탄화력발전소 EPC(설계, 구매, 시공 및 시운전) 프로젝트를 따내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지마 이스트파워는 말레이시아 국영투자회사(1MDB)와 일본 미쓰이사가 공동출자한 특수목적법인(SPC)이다.

 

이 프로젝트는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남쪽으로 약 60km 떨어진 포트딕슨(Port Dickson)에 1000메가와트(MW)급 석탄화력발전소 2기를 건설하는 것으로 공사기간은 착공후 55개월이다.

 

전체 사업규모는 23억달러 규모로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건설은 7억3000만달러 규모의 EPC공사 및 부대설비 등을 담당하게 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1000MW 규모 초(超)초임계압 기술이 적용돼 발전 효율 향상은 물론,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는 등 친환경에너지 정책에 부합하는 고효율친환경 발전소로 시공될 예정이다.

 

이번 공사 수주로 현대엔지니어링은 말레이시아 발전시장에 첫 발을 딛게 됐다.


한편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번 사업을 포함해 올해에만 44억달러 규모의 해외공사를 수주했으며, 이는 올해 해외 수주 목표액인 61억달러의 72%에 해당한다.

 

하종현 현대엔지니어링 전력플랜트사업본부 상무는 "세계경제 리스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등 시장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통해 동남아 발전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내실있는 성장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http://www.asiae.co.kr/news/view.htm?sec=real99&idxno=2014090211035976428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국토부, '맞춤형 행복주택 건설기준' 본격 시행...'공공주택업무처리지침' 개정안

 

 

공공주택업무처리지침 개정내용 요약
행복주택건설기준

 

행복주택 인구계획기준


* 쉐어형은 쉐어하는 인원에 따라 산정
* 산업단지형 행복주택의 공급대상 중 ‘독신자’는 대학생․사회초년생 기준을 준용

 

공공주택지구내 분양주택용지 공급가격 기준

국토부

KCONTENTS

 

 

「공공주택업무처리지침」 개정안 시행

 

행복주택의 특성을 고려한 주차장 및 공원·녹지 설치기준 마련

 

이달부터, 철도·유수지 등 공공시설용지에 건설하는 행복주택의 주차장을 가구당 0.35~0.7대 확보하도록 설치기준이 구체화되고 공공택지지구의 분양주택용지는 감정가 등 시장가격으로 공급이 가능해졌다.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행복주택의 입지와 입주자 특성을 고려한 주차장, 공원·녹지기준을 정하고, 공공택지지구(구 보금자리지구)의 분양주택용지 공급가격을 현 시장여건에 맞게 조정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공공주택업무처리지침」개정안을 9월 3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침 개정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부지특성을 고려한 행복주택 건설기준 마련

(주차장 및 공원·녹지) 행복주택을 건설하는 부지중 도심지·대중교통 접근성이 용이한 철도, 유수지 등 공공시설부지에 건설하는 경우에는 주차장 및 공원·녹지를 주택건설기준 등 관계법령*에서 정한 기준의 50/100 범위내에서 규모 등을 고려한 설치기준을 마련하였다.
* 주차장 1세대당: 30㎡이상: 0.7대, 30㎡미만: 0.5대, 대학생용 20㎡미만: 0.35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기준 : 60㎡이하 : 0.7대)
* 공원·녹지 : 도시공원 또는 녹지 등에 관한 법률상 설치기준의 1/2

 

다만, 공공시설부지외의 용지에 건설하는 행복주택은 관계법령에서 정한 기준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인구계획) 상하수도·전기 등 기반시설 수요산출의 기초가 되는 세대당 인구계획기준을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대학생 등 1~2인 가구특성을 반영하여 산출하도록 하였다.
* 대학생·사회초년생(1~2인/호), 신혼부부(2.65인/호), 노인(1.75인/호), 취약계층(1.7인/호)

 

② 공공주택지구내 분양주택용지 공급가격 기준조정 등

그간 저렴한 택지공급을 위해 공공주택지구 내 전용면적 60㎡초과 85㎡이하 용지는 조성원가 기준으로 공급했으나, 주택시장의 안정 등으로 조성원가가 시세보다 높아 미분양의 원인이 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해왔다.

 

이에 따라, 85㎡초과 용지와 같이 감정가격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시장여건을 반영하되, 과도한 가격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공공분양택지 경우에는 감정가격이 조성원가의 110%가 넘지 않도록 하였다.

 

이번 개정안의 세부내용은 국토교통부 누리집(http://www.molit. 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글문서 src 140903(조간) 맞춤형 행복주택 건설기준 본격 시행(공공주택총괄과).hwp

파일 align 140903(조간) 맞춤형 행복주택 건설기준 본격 시행(공공주택총괄과).pdf

국토부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호남고속철도 복마전', MB정부 실세 개입 의혹

 

 

호남고속철도 <사진=뉴시스>

 

 

지난달 26일 새누리당 송광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요구서가 국회에 제출됐다. 송 의원은 2년(2010∼2012년)간 철도부품 제작업체로부터 수천만원 상당의 뒷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억대 뇌물수수 혐의를 받은 같은 당 조현룡 의원에 이어 송 의원은 구속수사를 앞두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호남고속철도 공사에 개입해 업체로부터 로비를 받았다는 것에 있다. 호남고속철도 사업은 이미 수차례 '철피아' 비리의 온상으로 지목된 바 있다.


모 전문건설사 대표 A씨와 지난 정권 실세와의 유착 의혹이 불거졌다. 취재 과정에서 기자는 건설업계 전문가를 만나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 "호남고속철도요? 문제 많죠. 자금 압박을 받았는지 원가를 절감한다고 여기저기서 부실이 일어난 걸로 알고 있어요. 교량이나 이런 부분들. 설계도 꽤 많이 바꿨더라고요. 발주처가 민간 기업이었다면 이렇게 하진 않았을 거예요."

 

비리 투성이
호남고속철도

당시 기자가 입수한 문건에는 모두 5개 공구(호남고속철도 1-1, 2-3 등)의 원도급사와 도급금액, 공사기간, 설계변경내역 등이 명시돼 있었다.

 

5개 원도급사가 수주한 금액은 약 1조3200억원. 토공·철콘(철근과 콘크리트), 노반 공사 등을 포함한 호남고속철도 전체 공사비용은 지난해 말 기준 13조원으로 파악됐다. 이 엄청난 공사로 득을 봤던 사람은 과연 누구일까.

 

A씨는 이미 회사를 부도내고 고향으로 내려가 있었다. 공사를 따내기 위해 무리한 저가입찰을 수년간 지속한 게 원인이었다. 전문건설협회 한 관계자는 "호남고속철도 공사에 참여했던 많은 중소·전문건설사들이 중간에 엎어졌다(부도를 맞았다)"고 말했다.

 

호남고속철도 사업은 길이 249.1km의 철도를 '오송∼익산∼광주송정'에 이어 목포까지 연결하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이 중 2006년부터 시작된 KTX 1단계 사업(오송∼광주송정 구간)은 올해 말 완공을 앞두고 있다. 착공 당시엔 이름 있는 건설사들이 군침을 흘렸던 사업이지만 지금은 서로가 슬그머니 발을 빼려 하는 분위기라고 전해진다.

 

지난 7월27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호남고속철도 공사 입찰 과정에서 담합한 28개 건설사에 대해 과징금 4355억원을 부과했다. 이는 건설업계 단일 담합 사건으로는 역대 가장 많은 액수다. 담합을 주도한 건설사 법인과 주요 임원들은 검찰에 고발된 상황이다.

 

공정위가 적발한 입찰 담합 규모는 3조5980억원이다. 1단계 사업으로 책정된 사업비가 8조3500억원인 것을 고려하면 공사비의 절반 가까이를 담합한 셈이다.

 

공정위는 담합을 주도한 대형 건설사 7곳을 특정했다. 건설업계에서 이른바 '빅7'으로 불리는 대림산업·대우건설·삼성물산·SK건설·GS건설·현대건설·현대산업개발이 지목됐다.

 

이들은 2009년 6월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발주한 2조2000억원대의 호남고속철도 노반공사 수주 과정에서 서로 공사를 '나눠먹기'로 공모했다. 13개 공구의 입찰이 진행되자 각 공구별로 낙찰예정업체가 선정됐다. 나머지 업체는 들러리로 세웠다. 두산중공업·포스코건설·한신공영 등 7개 건설사가 무늬만 경쟁입찰의 들러리가 돼 주기로 했다.

 

다른 공사구간 입찰도 사전 추첨으로 투찰률이 조작됐다. 가령 턴키방식으로 발주된 차량기지 공사를 희망했던 대림산업·대우건설·삼성물산은 서울 광화문 한 카페에 모여 '사다리 타기'로 업체를 추첨했다.

 

이른바 '짬짜미'로 불리는 대기업건설사들의 입찰담합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런데 한 가지 특이할 만한 점은 유독 정부가 발주한 대형 건설·토목공사가 많았던 지난 정권에서 이 같은 폐해가 도드라졌다는 것이다.

 

대기업 주도
정부가 묵인

 

실제로 지난해에는 이명박정부 당시 건설사 간 담합 과정에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일었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정권 실세가 뒤를 봐준 것 아니냐'는 소문이 끊이지 않았다.

 

새정치민주연합 이미경 의원실에서 나온 문건과 관계자의 설명을 종합하면 한국철도시설공단은 호남고속철도 공사 입찰 과정에서 몇몇 건설본부에 특정 건설사를 선정하도록 한 것으로 의심된다.

 

먼저 한국철도시설공단 고위 관계자는 하급부서에 특정업체를 선정하라고 지시했다. 지시를 내려 받은 담당 부서는 각 건설사에 이 같은 사실을 통보했다. 연락을 받은 건설사 임직원들은 대전 소재 한 호텔에 모여 일부 공구 낙찰률을 78.5%로 정하는 등 담합했다. 담합에 가담한 건설사는 모두 8곳으로 이들이 따낸 공사비는 1조5697억원으로 파악됐다.

 

그런데 8개 건설사가 담합한 78.5%의 낙찰률과 관련해 일각에선 비자금 조성 의혹을 제기했다. MB정부의 실세가 개입해 '커미션'을 챙긴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호남고속철도 공사 입찰 집계결과 모든 공구의 평균 낙찰률은 73.01%였다. 그러나 8개 건설사가 담합한 구간은 낙찰률이 78.52%로 평균보다 높았다.

 

이 사건을 취재했던 한 국회출입기자는 "높은 낙찰률 때문에 상당한 공사비가 이익으로 남았을 테고, 남은 돈 중 일부가 정치권으로 흘러들어갔다는 소문이 파다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담합의 배후로 지목된 당사자들은 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호남고속철도 공사는 지난 이명박정부의 4대강 공사만큼이나 뒷탈이 많은 사업으로 꼽힌다. 이명박정부 임기 말 '몰아치기 공사'로 안전성에 '노란불'이 켜졌던 건 물론이고,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김후곤)가 벌이고 있는 '철피아' 수사에서도 '호남고속철도'란 단어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속된 말로 '해 먹을 것이 많았던 사업'이란 얘기다.

 

각종 비리 징후는 뚜렷했다.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은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한국철도시설공단이 특정업체에게 4600여억원에 달하는 사업을 몰아줬다"고 주장했다.

 

당시 심 의원은 "호남고속철도를 비롯해 국내 레일체결장치를 사실상 독점 공급하고 있는 AVT사가 제출한 탄성패드를 분석한 결과, 샘플 10개 가운데 5개가 하자보증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탄성패드는 고속철도의 충격을 흡수해 주는 레일체결장치의 핵심 부품이며, 문제가 있을 시 열차탈선 등의 대형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13조 대형관급공사…대기업 무더기 담합 과징금
낙찰률 높여 비자금 조성?…누가 커미션 챙겼나
국회의원 등 줄줄이 구속 "진짜 몸통은 따로 있다"

 

지난 7월28일에는 350억원 상당의 호남고속철도 전력선 입찰 담합을 한 8개 전선회사들이 경찰에 적발됐다. 이들은 호남고속철도 전력선 입찰 과정에서 낙찰사, 들러리업체로 역할을 분담해 투찰가를 담합한 혐의를 받고 있다. 적발된 담합업체는 일진전기·LS전선·넥상스코리아·대한전선·호명케이블·TCT·KTC·가온전선 등이다.

 

이 중 일신전기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모두 6차례에 걸쳐 135억원 규모의 중국산 조가선(주 전력선 지탱 및 전력 공급 보조역할)을 수입해 자사 제품으로 속여 납품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기준 미달인 중국산 저가제품이 호남고속철도 공사에 사용된 것을 의미했다.

 

또 철도궤도 시공업체인 삼표이앤씨는 안정성에 일부 결함이 있는 사전제작형 콘크리트 궤도(PST) 공법을 호남고속철도(익산∼정읍, 7.8㎞) 구간에 적용토록 했다. PST는 철로 레일 아래 자갈 대신 미리 만든 콘크리트 패널을 까는 공법이다. 하지만 PST 공법은 열차 하중 및 고온에 약해 레일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콘크리트가 휘어지는 등 고속철도에 적합하지 않은 공법으로 알려져 있다.

 

검은돈 천국
줄줄이 구속

 

그런데 문제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이 PST 공법을 승인한 사실에 있다. 이 과정에서 검은돈이 오갔음은 말할 나위 없다.

 

한국철도시설공단 전 검사 성모씨는 삼표이앤씨로부터 PST 공법의 안정성 문제 등을 덮어달라는 청탁과 함께 수천만원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성씨는 감사원에서 건설·환경감사국장과 공직감찰본부장을 지낸 고위 공무원 출신이다.

 


새누리당 조현룡 의원(사진 왼쪽·구속 기소), 사전구속영장 청구 중인 송광호 의원

 

또 최근 AVT사로부터 납품 청탁과 함께 3억8000만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소된 권영모 전 새누리당 수석부대변인도 호남고속철도 비리에 연루돼 있다.

 

그는 AVT사가 호남고속철도 레일체결장치 독점납품 계약을 맺자 AVT사를 대신해 김광재(사망) 전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에게 3000만원을 전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뇌물수수 의혹을 받았던 김 전 이사장은 한강에 투신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지난달 13일에는 한국철도시설공단 호남본부 궤도부장 이모씨와 철도건설 용역업체 KRTC 감리단장 김모씨가 구속됐다. 이들은 한 철도시설업체로부터 호남고속철도 공구 설계 변경 등 편의를 봐주는 대신 수천만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문제의 시설업체는 공사 지연에 따른 비용부담이 가중되자 콘크리트 타설 방법을 변경해 비용 감축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호남고속철도 비리와 관련한 구속 릴레이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지난달 27일에는 성능 미달인 AVT사 부품의 시험성적서를 위조해 적격 심사를 통과하게 해준 혐의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책임연구원 박모씨가 구속됐다.

 

앞서 AVT사는 KRRI 측에 의뢰한 성능시험에서 부품 변형 등의 이유로 불합격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재심사 과정에서 박씨가 만든 위조성적서로 적격 심사를 통과했고, 호남고속철도 독점납품 계약을 맺을 수 있었다. 수주액은 450억원 규모로 전해졌다.

 

불량 레일에
위조성적서까지

 

이런 까닭에 호남고속철도의 안전성에 의문을 표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담합으로 얼룩진 기초공사와 불량 레일, 성능미달의 부품까지 '제2의 세월호'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지난 7월 철도노조 호남지방본부는 "2017년 개통 예정인 호남고속철도가 건설 과정에서 담합과 부정, 비리, 부실시공으로 열차 안전을 담보할 수 없게 됐다"며 "국토해양부는 비리와 부실 혐의를 철저히 밝혀내고 부실 시공된 불량자재들을 전면 교체하는 등 실효성 있는 안전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시속 300㎞로 달리는 고속열차는 조그만 결함이나 문제로도 대형 참사를 불러올 수 있다. 하지만 대기업들은 원가절감을 이유로 하도급업체들을 괴롭혔고, 끝내는 도산시켰다.

 

국고로 지출된 공사비는 담합으로 뻥튀기됐으며, 현직 국회의원마저 철도비리에 연루돼 구치소에 갇혔다. 정치권에 흘러간 정체불명의 자금은 출처조차 불분명한 상황이다. 불행히도 '철피아'가 시작한 돈 먹는 레이스이자 국민의 안전을 담보로 한 '위험한 머니게임'은 그 실체가 규명되지 않고 있다.

 

[일요시사=사회팀]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http://www.ilyosi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073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정부, 노후 교량 등 취약 시설물 1천550곳 '긴급 및 정밀 안전점검' 실시

 

안전관리업무 흐름도

 

kcontents

 

 

1차 안전점검 후속 조치

 

정부가 대형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노후한 다리나 급경사지 등 위험시설 1천550곳에 대한 정밀 안전점검에 나선다.

 

정부는 2일 국무회의에서 노후 저수지와 취약 교량, 붕괴 위험 급경사지 등 주요 안전취약 시설에 대한 긴급 정밀안전점검을 실시하고자 예비비 197억원을 지원하기로 의결했다.

 

이번 점검은 지난 4~5월 중 진행한 1차 안전점검에 따른 후속 조치로 안전진단 전문기관이 콘크리트 강도시험기나 철근 탐사기 등 장비를 활용해 정밀 진단에 나선다.

 

대상 시설은 노후 저수지 250여개를 비롯해 어항·항만 등 해양시설 220여개, 도로·철도 교량시설 800개,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280여개 등 총 1천550여개 안전취약 시설이다

.

저수지는 집중호우시 붕괴 가능성, 해양시설은 지진·태풍 등 자연재해에 대비한 내진 성능과 내구성, 교량은 붕괴 등 안전사고, 급경사지는 집중호우 등 산사태 가능성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점검 결과 조속한 개선이 필요한 시설은 올해 안에 보수·보강 공사를 시작하고 여타 시설은 내년 예산을 활용해 보수하기로 했다.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speed@yna.co.kr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14/09/02/0301000000AKR20140902037400002.HTML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리조트월드 제주' 건축허가 신청 자진 취하?...카지노 포함 수순?

 

 

 

제주도, 숙박수요 재산정·카지노 유무 제시 요구 따라 원점 재검토

다음 달 재신청 전망

감사원,사업 전반에 대한 감사 돌입

 

'궤도 이탈', 카지노 논란 등으로 지역 현안으로 떠오른 제주신화역사공원 내 복합리조트 조성사업과 관련해 람정제주개발㈜이 건축허가 신청을 자진 취하할 것으로 알려졌다.,

 

원희룡 도정이 숙박수요를 다시 산정하고, 카지노 유·무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하라는 요구에 따라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절차로 해석된다.

 

제주도에 따르면 람정제주개발㈜은 제주도의 숙박수요 재산정 및 카지노 계획 유무에 대한 제시를 요구받음에 따라 당초 건축계획에 대해 대폭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아래 사업계획을 재검토해 다시 건축허가를 신청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제주도는 지난 6월20일 람정제주개발㈜이 신청한 신화역사공원의 A지구와 R지구에 대한 건축허가 건에 대해 건축허가 신청면적이 개발사업승인 고시면적과 일부 다른 것을 확인, 8월 29일까지 보완하도록 통보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람정제주개발은 1차 보완요구 마감일인 29일까지 설계변경 작업을 마무리하지 못하면서 건축허가 신청을 자진 취하한 것으로 알려졌다.

 

람정제주개발은 특히 원희룡 지사가 카지노 도입 여부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요구하면서 설계도면 등에 카지노 시설을 포함시킬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제주도는 람정제주개발이 건축허가를 재신청할 경우 기관 및 관계부서 협의를 거쳐 허가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람정제주개발은 신화역사공원의 A·R·H지구 251만9627㎡에 2018년까지 2조5600억원을 투자해 유니버설스튜디오형 월드테마파크를 비롯해 특급호텔, 컨벤션센터, 휴양형콘도미니엄 등이 갖춰진 ‘리조트월드 제주’를 조성할 계획이다.

 

하지만 사업 변경 과정에서 대규모 숙박시설 계획이 포함되고, 카지노 시설 의혹이 제기돼 논란을 일으켰다.


한편 감사원은 제주참여환경연대가 용역발주방식, 토지매각 및 조성계획 변경, 환매권 등과 관련해 감사청구를 함에 따라 최근 사업 전반에 대한 감사에 돌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제주의소리 (http://www.jejusori.net
좌용철 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부동산시장 규제완화 방안] 택지개발 촉진법 폐지..."대규모 신도시건설 시대 끝나"

 

출처 중앙일보

 

 

2017년까지 택지 공급 중단

LH 공급 과잉물량 일부 후분양
착공 의무기간 3년→5년 연장


이번 ‘부동산 시장 규제 완화 방안’에는 택지개발촉진법을 폐지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 법을 기초로 한 대규모 신도시 건설 사업은 노무현 정부 이후 거의 자취를 감췄지만, 문제 많았던 신도시 건설 정책에 마침표를 찍는다는 상징적 의미를 띠고 있다.

 

1일 정부는 이번 방안에서 대규모 택지 공급 시스템인 ‘택지개발촉진법’을 폐지하고 이 법의 폐지 뒤 공공주택법과 도시개발법을 바탕으로 중·소형 택지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주택 공급 사업도 속도를 늦춘다. 먼저 2017년까지 3년 동안 토주공의 대규모 공공 택지 지정을 중단하고, 토주공의 토지은행에 2만채(2조원) 규모의 택지를 당장 개발하지 않고 묶어두기로 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 외곽, 혁신도시 등 공급 과잉이 우려되는 지역에 대한 토주공의 주택 공급 일부를 후분양으로 돌리기로 했다.

 

2014년엔 세종시 등에서 2000채를 공정률 40%에서 후분양하고, 2015년엔 3000채에 대해 공정률 60%에서 후분양할 계획이다. 이밖에 사업계획 승인 뒤 착공 의무 기간도 현재의 3년에서 5년으로 늘리기로 했다.

 

택촉법 폐지는 그동안 주택난을 단기간에 해결하기 위해 도시 외곽에 대규모로 택지를 공급하던 방식을 중단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이번에 정부가 이 법을 폐지하려는 것은 기존에 공급·확보한 택지가 충분하다는 것이 현실적인 이유다.

 

권혁진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과장은 “2011년 이후에만 파주 금능 등 전국 6곳에서 택지개발지구의 지정이 해제·취소됐다. 이 법에 따른 개발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밖에도 택촉법에 따른 신도시 건설의 문제점은 많았다. 이를테면 신도시 건설을 위해서는 대규모의 강제적 토지 수용이 필수적이어서 도시 주변 지역 주민들의 삶을 파괴한다는 비판이 끊이질 않았다. 또 신도시 건설로 기존 도심의 인구가 빠져나가 역사적 도심이 공동화하는 문제점도 뒤따랐다. 변창

 

흠 세종대 교수는 “택촉법의 폐지는 대규모 주택 개발 시대가 끝났다는 선언과도 같다”고 평가했다.

한겨레

 

세종/김규원 기자

http://www.hani.co.kr/arti/economy/property/653755.html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당진~천안 고속도로' 건설 본격적인 추진 가시화

 

 

'당진~천안 고속도로' 노선도, 당진신문

 

 

새누리 지원 약속,

충남도 내년 사업비 50억 요청키로 사업 발목잡던 제2서해안 고속道 노선문제도 해결조짐

 

충남 당진~천안 고속도로 건설의 본격적인 추진이 가시화 되고 있다.

 

여당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에서도 당진~천안 고속도로의 시급성을 인지하고 측면지원을 약속한 상태여서 사업의 본궤도 진입은 시간문제다.

 

1일 충남도에 따르면 2일 열릴 예정인 새누리당 예산·정책협의회에서 당진~천안 고속도로(43.9㎞)의 내년 사업추진 예산 반영을 건의한다.

 

충남 서북부 산업지대와 내륙을 연결하는 물류수송망 확충이 시급하다고 판단해 추진하는 당진~천안 고속도로 건설은 현재 아산~천안구간(20.95㎞) 설계만 완료된 상태다.

 

제2서해안(평택~부여~익산) 고속도로의 노선이 미확정돼 사업 착수에 조절이 필요하다는 정부의 의견이 당진~천안 고속도로 건설사업의 발목을 잡았었다.

 

하지만 최근 사업추진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

정부가 지난달 제2서해안 고속도로 건설의 조기추진 의사를 밝힌 것.

 

사업추진 조절의 명분이었던 노선 또한 오는 10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진행하게 될 민자적격성조사를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이어서 본격 사업추진에 파란불이 켜졌다.

 

도는 제2서해안 고속도로와 동시 준공을 위해서는 내년도 사업착공이 절실하다는 판단아래 내년도 사업비 50억원을 요청키로 했다. 총 사업비 1조 9971억원 가운데 이미 투자된 금액 294억원에 추가 사업비를 받으면 우선적으로 아산~천안구간 사업착공의 첫삽을 뜰 수 있기 때문이다.

 

사업추진 본 궤도 진입 가능성의 이유는 또 있다.

새누리당 당 차원의 측면지원 약속이 당진~천안 고속도로 건설의 추진을 가볍게 하고 있다.

 

충청출신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홍문표 국회 예결위원장이 당진~천안 고속도로 건설의 시급성을 인지하고 있어 어느때보다 사업추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도는 2일 도청사에서 열릴 예정인 새누리당 예산·정책협의회 자리에서도 당진~천안 고속도로 건설을 위한 예산확보가 절실함을 피력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미착공된 당진~천안 고속도로 건설의 사업추진이 무르익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당진~천안 고속도로 건설의 타당성이 이미 입증된 만큼 정치권에서 힘을 모아 준다면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충청투데이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53133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데일리건설뉴스 Daily Construction News]2014년 9월 1일(월) CONPAPER

 

Daily Construction News

[데일리건설뉴스]2014년 9월  1일(월) CONPAPER

 

 

 파격적인 '2014 인천 아시안게임 개막식 피켓요원 의상' Uniforms unveiled for Incheon Asian Games

   2014

 아주 아주 재미있는 귀요미 강냥이들 동영상 Fun funny pet VIDEO

 [위클리건설리포트 Weekly Construction Report]2014년 8월 24일(일) ~ 2014년 8월 30일(토) 

   한전부지도 '승자의 저주' 되나

 9 11 테러 악몽의 자리에 세워지고 있는 '원월드무역센터' 3만장의 사진들 1 World Trade Center Time

   Lapse VIDEO

 대림산업, 7천688억원 규모 초대형 '성남 금광1구역 재개발 사업' 단독 수주

 KB투자증권, "두산중공업, 올해 수주 목표 달성 기대"

 "신은 섹스를 사랑해?" 교회 대형광고 파문 'God Loves Sex' Billboard Turns Heads On Pennsylvania

   Highway VIDEO

 ‘유라시아 구상’, 한반도~대륙 철도연결이 우선” - 시베리아 남·북·러포럼에서

 중국, 산호초(coral reef) 매립해 인공섬으로 China building artificial island in South China Sea

   VIDEO

 부산시 최초로 터널입구 상부 덮는 '수정터널 연결사업' 본격 추진한다

 분양가 상한제 '기본형 건축비', 오늘부터 1.72%오른다

 삼성그룹, 건설구조 개편 속도…이재용 체제 강화

 대우 vs 롯데, 재건축 시장 더블 헤더 1:1 무승부...대림산업은 명장 1구역 수주

 " 아파트 부실 감리시 바로 신고한다"

 2015년 '교통 혼잡비용(Traffic Congestion Costs)' 33조 예상

 인천공항, 연말부터 직접 짐 부치는 ‘셀프백드랍 서비스 도입 'Self Service-Bag Drop' VIDEO

 '서울 공공건축 6선', 세계적 권위 베를린 에데스 갤러리에 걸린다 “Seoul : towards a Meta-city”

 정부, 주택시장 활력회복 및 서민 주거안정 강화방안...'규제 합리화' 추진

 '개발도상국 공무원 초청 연수'로 도로, 철도 등 해외진출 기회 확대한다

 [조달청 금주 입찰 동향 ‘14.9.1~'14.9.5],총 54건, ‘잠진도~무의도간 연도교 건설공사 등 1,600억원 규

   모 입찰

 K-water, 필리핀 '안갓댐 수력발전소' 인수 눈앞에 ' 'Angat Hydroelectric Power Plant,Philippines'수

   력발전소

 

 

 반딧불이를 찾아서 [임철순]

 동해시, 무릉헬스토피아' 사업 탄력 

 포스코에너지, '삼척 화력발전소' 건설 본격화...잔금 납부 

 경북도, '물산업' 육성에 2018년까지 6천340억 투입  

 엔지니어링 업계, '경착륙 구조조정'에 초긴장...PQ만점자 외 모두 대상

 재건축 연한 10년 단축, 살기 불편해도 재건축 허용...주택 경기 활성화 기대

 <그래픽> 2017학년도 대학입시 주요 일정

 <그래픽> 재정비 사업 규제 완화 주요 수혜 지역

 쿠키(Cookies)란?

 주요 사업 입찰 및 수주 동향(2014. 8. 28 ~ 8. 31)

 2014년도 건축사자격시험 시험장소 공고

 민달팽이 제너레이션 - '스튜던트 푸어'에 대한 숫자 4가지

 저절로 움직이는 돌의 미스터리 풀렸다 Mystery of sliding rocks in Death Valley finally solved VIDEO

 당신의 '혈관 숫자'는

 롯데건설, 양천구 '목1구역 재건축' 수주...높은 공사비로 대우건설 제쳐

 경남기업, 428억 규모 STX조선해양 사원아파트 수주

 1164억원 규모 '경산지식산업지구 진입도로', 예비타당성조사(FS) 통과

 한국 부총리와 서울시장, 한강종합개발계획 공동 TF 구성 합의

 

 

 

Sewol 4.16 ~ "We never forget the Day!"

 

건설매거진 [콘페이퍼]2014년도 8월호

Construction Magazine

http://conpaper.tistory.com/21220

 

[디자인올 Designall]

http://designall.tistory.com

 

Construction Contents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부총리-서울시장, 한강종합개발계획 공동 TF 구성 합의

 

 

정부 경제2기팀은 산업활성화 대책을 내놓으며 한강을 선진국과 같은 관광명소로 탈바꿈 시키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과연 부동산 시장에 훈풍을 불어 넣을 수 있을지 주목되는 부분이다.    

출처 중앙뉴스

 

 

 

30년만에 한강 종합개발 계획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박원순 서울시장이 한강종합개발계획 수립을 위해 기재부와 서울시의 공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했다.

 

최 부총리와 박 시장은 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조찬 회동을 갖고 이 같이 뜻을 모았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박원순 서울시장이 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조찬 회동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최 부총리는 '경제 살리기'를 위한 조례ㆍ규칙 등 풀뿌리 규제 완화와 투자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한강 및 주변지역 관광자원화' 등에 대해 서울시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를 위해 한강종합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기재부 1차관ㆍ서울시 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공동 TF를 구성하기로 했다.

 

박 시장은 '시민 안심특별시 서울'을 만드는 데 필요한 지하철 등 안전투자와 관련해 재정적 협력을 요청했다.

 

이들은 세수여건 악화, 복지지출 증가 등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공동으로 당면한 문제와 해결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를 가졌다.

 

최 부총리와 박 시장은 이번 만남을 계기로 대화와 협력채널을 계속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문의. 기획재정부 예산실 행정예산심의관, 지방재정팀

보도자료 한글문서 보도자료 한글문서 바로보기 보도자료

기획재정부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1164억원 규모 '경산지식산업지구 진입도로', 예비타당성조사(FS) 통과

 

 

경산지식산업지구 진입도로 위치도. [사진=경상북도 제공], 아주경제

 

 

 

 

2016년 착수~ 2018년 말 개통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경산지식산업지구의 진입도로 건설사업이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1일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진입도로는 경산지식산업지구의 개발로 인한 교통 수요를 흡수하고 인근 지역에 급증하는 교통 부담을 해소코자 추진됐다.

 

진입도로는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국도4호선에서 하양읍 서사, 양지, 교리 및 대학리를 경유, 구역 북쪽 경계인 와촌면 소월리 지방도 909호선까지 7.5km 구간 4차로로 1164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예타 통과로 도로는 올해 사업초기 단계에 필요한 각종 절차를 우선 이행하고 내년부터 설계, 보상, 공사시행 등을 진행해 2018년 말 개통 예정이다.

 

현재 경산지식산업지구의 개발 사업은 1단계 구역인 하양읍 대학리 일원에 대한 보상협의와 감정 평가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국책사업 부지는 착공돼 2018년까지 1단계 사업을 완료하고 2022년까지는 2단계 구역인 와촌면 소월리 일원에 대한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예타조사 통과는 경북도와 경산시의 긴밀한 업무 공조와 수차례 관계 부처를 방문하며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의 결실로 개발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주변지역 발전에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구=뉴시스]김재욱 기자

jukim@newsis.com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