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마이핀(My-PIN) 서비스 개요
Hong Kong property sales have plunged 60% over the past year. Analysts say property prices have fallen
2%-3% since January. edition.cnn.
홍콩 정부가 과열된 부동산 시장 식히기에 나서면서 부동산 매매 활동이 주춤하지만 유독 초소형 아파트만큼은 인기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고 미 경제 방송 CNBC가 5일 보도했다.
[기사본문]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
Philippe Lopez | AFP | Getty Images
Shoeboxes support Hong Kong’s property sales
Leslie Shaffer | Writer for CNBC.com Even as property sales in Hong Kong, one of the world's most expensive housing markets, have stalled amid a slew of cooling measures, one segment is taking off: the microflat.
"On the selling day, we sold out close to 80 percent of our units for the first batch, so the small units are really popular," David Fong, managing director at property developer Hip Shing Hong, told CNBC. "We had close to 10,000 visitors to our projects over the last week."
Hong Kong's property market is the world's least affordable, according to a Demographia International Housing Affordability Survey, published in January. The survey found average home prices were 14.9 times gross annual median household income, the highest level ever recorded in the survey's 10-year history.
The developer is offering mainly 274-434 square foot apartments at the 98-unit Le Riviera, with some units running as large as 527 square feet. Twenty-two units were sold just over the weekend, according to data from BNP Paribas.
"Millennials are now demanding less. They have a different lifestyle. They are marrying later. They are having fewer children," Fong said. "To maintain their kind of lifestyle, smaller units with that kind of affordability will work for them."
The strong response for Le Riviera's shoebox apartments follows another microflat development's recent well-received launch, the Mont Vert from Cheung Kong Holdings, which featured flats as small as 180 square feet.
The units may be small, but the demand for them appears likely to hold up.
"It's easier to buy once you have the down payment," Patrick Wong, an analyst at BNP Paribas, said in a phone interview. "When considering whether to buy or rent, you'd usually prefer to buy because the rent is very expensive."
Wong also expects the shoebox units will attract investment demand, even if end-user demand flags.
[Main page] http://www.cnbc.com/id/101890650 By CNBC.Com's Leslie Shaffer; Follow her on Twitter @LeslieShaffer1 |
Construction News
CONPAPER
James Reason, University of
Manchester, UK
[관련자료]
원서
http://www.ashgate.com/isbn/9781840141047
kcontents
원전 안전관리 분야 바이블로 통하는 제임스 리즌의 ‘Managing the risks of organizational accidents’가 번역·발간됐다.
![]()
우리나라에서는 ‘인재(人災)는 이제 그만’이란 서명으로 출판됐으며 원전 설계 엔지니어인 백주현 한전기술 박사가 번역했다.
책은 원전 사고를 스위스 치즈모델에 비유해 설명했다. 아무리 방어수단을 겹겹으로 쌓아도 스위스 치즈 구멍처럼 사고를 낼 수 있는 결함이 도사린다는 것이다.
결함이 한 줄로 정렬될 때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고 책은 설명한다.
http://community.the-hospitalist.org/2012/06/12/on-swiss-cheese-and-patient-safety/ kcontents
백 박사는 “극히 드물지만 엄청난 피해를 가져오는 원전, 해양 운송 등의 조직유발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번역을 시작했다”며 “안전한 원전 설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사본문] http://www.etnews.com/20140804000172 전자신문 유창선기자 | yuda@etnews.com 기자 |
Construction News
CONPAPER
[인증제도 현황]
認證이란 제품․서비스 등이 규정된 요건에 적합함을 평가․증명
* 인증, 형식승인, 검정, 지정, 허가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
보건․안전, 환경보호, 산업육성 등 다양한 정책 목적 달성 수단
法定인증제도는 강제성 유무에 따라 의무인증*과 임의인증**으로 구분
* 의무인증 : 안전․보건 등과 관련으로 법에 의해 강제적으로 반드시 받아야 하는 인증
** 임의인증 : 품질향상 등을 촉진시키기 위한 인증으로 인센티브(우선구매 등) 부여
現 209개 법정인증제도(의무 70개, 임의 139개) 운영 중 (25개 부처, 124개 법령)
부처별 인증제도 현황
산업통상자원부
관계부처 합동‘범부처 인증제도 개선방안’확정
정부는 ‘14.8.5(화) 제330차 규제개혁위원회(국무총리 주재, 정부세종청사 대회의실)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범부처 인증제도 개선방안’을 확정·발표하였음 *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미래창조과학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25개 인증제도 운영 부처
이를 위해, 25개 부처에서 운영하고 있는 139개의 임의인증을 원점에서 검토하여 유사한 인증은 통합*하고 타 제도로 대체 가능하거나 도입취지가 퇴색된 인증은 폐지**하여 총 41개(약 30%) 인증을 2017년까지 감축
* 부처내 및 부처간 통합 사례 증”으로 통합하여 1개 인증 감축
** 폐지 사례
동시에 인증기준의 국가표준(KS) 일치화와 상호인정을 추진*하고, 인증심사절차를 간소화**하며, 인증품목과 조달시장 인증 진입장벽을 최소화*** 할 계획임
* 전기용품과 공산품 837개 인증기준의 KS일치화 추진(‘14.6월 개정안 마련)으로 472개 품목에 대한 상호인정 가능(‘14.12월) ** 농림부의 농산물 우수관리(GAP)인증의 경우, 기존에 ‘이력추적관리제도등록’, ‘농산물 우수관리시설 신청’, ‘인증심사’의 3단계로 처리하던 인증심사절차를 “인증 심사”만 실시하는 1단계로 간소화하여, 소요기간을 126일에서 42일로 84일 단축 *** 조달청은 조달 업체 선정시 인증서 대신 서험성적서로 대체가 가능하도록 입찰조건을 완화하고, 인증의 평가 배점을 15점에서 10점으로 축소하는 등 납품선정 평가시스템을 개선
또한, 무분별한 인증 증가를 제한하기 위하여 모든 인증 도입 시 기술규제영향평가를 의무화하고 규제개혁위원회 심사도 대폭 강화하기로 함
한국산업표준(KS)인증과 같이 사후관리시 제품심사가 폐지되는 등 제도가 개선되는 10여개 인증과 관련된 기업에게는 직접적 비용 경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
산업통상자원부 |
황기철 @conpaper
CONPAPER
5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석촌역 인근 도로에서 이날 12시 20분께 생긴 싱크홀 복구작업이 한창이다.경찰
은 안전사고 우려 때문에 인근 도로의 교통을 전면 통제했으며, 송파구청과 동부도로사업소 등이 현장에
출동해 도로 복구작업을 벌이고 있다. ⓒ 연합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20554
오마이뉴스
5일 낮 12시1분께 서울 송파구 석촌역 인근 도로에서 가로 1m, 세로 1.5m, 깊이 3m 크기의 싱크홀이 생겼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49891.html
한겨레신문
Construction News
CONPAPER
국토부
착공면적은 4.4%, 준공면적은 1.1% 증가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14년 상반기 건축 허가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63,666천㎡, 동수는 5.9% 증가한 116,814동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다만, ’12년 상반기에 비해 건축 허가면적은 5.2%(△3,171천㎡), 동수는 4.5%(△5,560동) 감소하였다.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25,243천㎡(1,965천㎡, 8.4%↑), 지방 38,423천㎡(4,675천㎡, 13.9%↑)로 나타났다.
착공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한 51,861천㎡, 동수는 6.0% 증가한 97,637동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8,608천㎡(△1,589천㎡, 7.9%↓), 지방 33,252천㎡(3,752천㎡, 12.7%↑)로 나타났다.
또한, 준공면적은 1.1% 증가한 60,443천㎡, 동수는 6.9% 증가한 87,931동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25,360천㎡(△1,362천㎡, 5.1%↓), 지방 35,083천㎡(2,022천㎡ , 6.1%↑)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 면적은 건축허가 면적은 주거용 25,616천㎡, 상업용 17,264천㎡, 공업용은 7,955천㎡로서 각각 24.3%, 8.4%, 5.2% 증가한 반면, 문교사회용은 3,816천㎡로서 23.8% 감소하였다.
착공 면적은 주거용 20,783천㎡, 상업용 13,495천㎡, 공업용은 7,205천㎡로서 각각 9.8%, 11.4%, 1.8% 증가한 반면, 문교사회용은 2,844천㎡로서 21.7% 감소하였다.
또한, 준공 면적은 주거용 21,777천㎡, 상업용 12,898천㎡, 문교사회용은 6,374천㎡로서 각각 8.5%, 5.9%, 0.1% 증가한 반면, 공업용은 11,324천㎡로서 13.4% 감소하였다.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2014년 상반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24.3%), 착공(9.8%) 및 준공(8.5%) 면적이 모두 증가하였다.
특히, 건축허가의 경우 수도권(23.6%), 지방(24.7%) 모두 증가하였으며, 아파트(수도권 27.7%, 지방 45.5%)의 증가율이 높았다.
둘째,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8.4%), 착공(11.4%) 및 준공(5.9%) 면적이 모두 증가하였다. 특히, 건축허가의 경우 수도권(1.6%), 지방(14.7%) 모두 증가하였으나, 업무시설(수도권 -9.5%, 지방 -18.6%)은 모두 감소하였다. [상업용 건축물 분류(통계용)]
셋째, 전년 동기 대비 오피스텔의 허가(-7.8%) 면적은 감소한 반면, 착공(25.7) 및 준공(38.8%) 면적은 모두 증가하였다.
특히, 허가면적의 경우 수도권(36.5%)은 증가한 반면, 지방(-39.1%)은 감소하였으며, 부산광역시의 감소(동수 -36.0%, 면적 -49.1%)가 두드러졌다.
규모별 변동 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5.2%인 52,854동, 100~200㎡ 건축물이 21,722동(18.6%), 300~500㎡ 건축물이 16,196동(13.9%)이고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43,896동으로 전체의 45.0%, 100~200㎡ 건축물이 17,292동(17.7%), 300~500㎡ 건축물이 14,562동(14.9%)이며,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34,185동으로 전체의 38.9%, 100~200㎡ 건축물이 16,306동(18.5%), 300~500㎡ 건축물이 13,576동(15.4%)이다.
소유주체별 건축허가 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6.5%인 29,613천㎡, 개인 21,399천㎡(33.6%), 국․공유 2,474천㎡(3.9%)이고, 착공 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0.9%인 26,377천㎡, 개인 17,869천㎡(34.5%), 국․공유 2,809(5.4%)이며, 준공 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4.0%인 32,652천㎡, 개인 16,535천㎡(27.4%), 국․공유 5,604천㎡(9.3%)이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2,795천㎡(22,419동), 1,578천㎡(5,134동), 523천㎡(686동), 260천㎡(315동) 멸실되었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61.8%인 1,727천㎡(19,536동), 다가구주택 409천㎡(1,927동), 아파트 354천㎡(122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37.5%인 592천㎡(2,295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565천㎡(2,198동), 업무시설 85천㎡(55동)으로 나타났다.
※ 이들 통계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 (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상기에 제시된 허가, 착공 및 준공 통계는 인허가 취소 등의 반영 여부에 따라 기존 보도 자료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
황기철 @conpaper
CONPAPER
출처 http://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1/28/2007112800025.html
경기도가 수도권 직행좌석형 광역버스 입석금지 조치에 따른 문제해결을 위해 서울시와 환승터미널 건설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환승터미널을 이용하면 경기도 버스가 서울시내까지 진입하지 않아도 돼 서울시내 교통체증을 가중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사본문] http://www.ytn.co.kr/_ln/0103_201408051825244730 YTN |
Construction News
CONPAPER
Suez Canal
The Suez Canal shortens sea voyages
[VIDOE]
Suez Canal, Egypt - Southbound passage through the Suez Canal HD (2013)
이집트 정부는 수에즈운하로 년 50억불을 벌어들이는데 2011년 이후로 외국인 투자와 관광객들이 감소한 상황에서 하나의 큰 재원의 역활을 해왔다.
제2수에즈 운하는 수에즈항과 선적시설 등을 확장하는 대형국가프로젝트로 국가적 면모를 일신하고 주요 무역허브역활을 위해서 추진되었으며 100만명이상의 일자리 창출 등 경제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있다.
최근에 취임한 전 국방장관인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대통령은 군대에 의한 철저한 보안경비와 자국의 20개 이집트건설사와 관련회사들은 군인들의 감독아래 안전하게 건설될 것이라 말했다.
선거 후에도 무슬림형제단과 대선에 불참운동을 벌였던 무르시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군부 정권 반대 시위를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혀 건설공사의 안전문제를 보장하기 위해 취해진 조치이다.
비공개로 입찰이 진행된 제2수에즈사업은 올 1월에 14개의 컨소시엄을 초청하여 세계적 건설사인 달알 한다사와 이집트 육군을 포함한 컨소시엄을 시공자로 선정했다.
하지만 어려운 나라 살림에 재정 마련을 어떻게 할지 이슈가 주목되고 있다.
황기철 @conpaper |
A fisherman travels on a boat with his family across the Suez canal near Ismailia port city,
northeast of Cairo May 1, 2014. Credit: Reuters/Amr Abdallah Dalsh
By Oliver Holmes and Stephen Kalin CAIRO Tue Aug 5, 2014 6:45am EDT
(Reuters) - Egypt plans to build a new Suez Canal alongside the existing 145-year-old historic waterway in a multi-billion dollar project aimed at expanding trade along the fastest shipping route between Europe and Asia.
The Suez Canal earns Egypt about $5 billion a year in revenues, a vital source of hard currency for a country that has suffered a slump in tourism and foreign investment since its 2011 uprising.
The new channel, part of a larger project to expand Suez port and shipping facilities, aims to raise Egypt's international profile and establish it as a major trade hub.
He said the total estimated cost of drilling the new channel would be about $4 billion and be completed in five years, though Egypt will strive to finish it within a more ambitious three-year deadline.
The original canal, which links the Mediterranean and Red Seas, took 10 years of intense and generally poorly-paid work by Egyptians, who according to the Canal Authority, were drafted at the rate of 20,000 every 10 months from "the peasantry".
It took weeks if not months off journeys between Europe and Asia, otherwise necessitating a trip round the tip of Africa.
Egyptian President Adel Fattah al-Sisi, a former army chief, said the armed forces would be in charge of the new project for security reasons. Up to 20 Egyptian firms could be involved in the project but would work under military supervision, he said.
Last year, Sisi orchestrated the ouster of elected Islamist President Mohamed Mursi and oversaw a massive crackdown on Mursi's Muslim Brotherhood.
This was followed by a rise in violence from Islamist militants based in the Sinai peninsula, which has stoked some concern about the security of the nearby Suez Canal. The government has since been fighting militants in an ongoing military campaign in which hundreds have died on both sides.
Any disruption to shipping along the canal tends to have a serious impact on trade and oil prices.
“Sinai to a large degree has a sensitive status. The army is responsible to Egypt for this,” said Sisi, who has previously said he would not hesitate to award major projects to help revive Egypt's battered economy to the army.
In 1956, Nasser nationalized the Suez Canal, leading to a failed invasion by Britain, which controlled the channel, as well as France and Israel. Nasser was praised by Egyptians for pursuing several big projects during his 14 years as president.
Pro-government Egyptian media did not hesitate to compare the Suez expansion plans to Nasser's own state-led infrastructure projects that were a source of national pride.
Egypt has planned for years to develop 76,000 square kilometers (29,000 square miles) around the canal to attract more ships and generate more income.
Sisi said the new canal was an unannounced part of that project, which Egypt invited 14 consortia to bid for in January.
Reuters reported on Sunday that Egypt had chosen a consortium including global engineering firm Dar al-Handasah, as well as the Egyptian army, to develop the area.
A promotional video played at the launch event suggested the project would cut waiting times for vessels and allow ships to pass each other on the canal.
Mamish, the chairman, said the project would involve 35 kilometers (22 miles) of "dry digging" and 37 kilometers (23 miles) would be "expansion and deepening", indicating the current Suez Canal, which is 163 km (101 miles) long, could be widened as part of the project. Among the bidders, according to Egypt's Al Mal newspaper, were a group including state-run Arab Contractors and James Cubitt and Partners, an international consultancy firm. Another included the McKinsey & Co global management consulting firm. Gulf allies Saudi Arabia,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Kuwait donated more than $12 billion in cash and petroleum products to Egypt after the army overthrew Mursi. But Egypt remains in dire need of longer-term investments.
[Main page] http://www.reuters.com/article/2014/08/05/us-egypt-suezcanal-project-idUSKBN0G50OH20140805 Reuters |
Construction News
CONPAPER
Seoul Urban Metro Transit System
[서울지하철시스템 Seoul Urban Metro Transit System]
서울 지하철은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가 관리하는 도시 철도 노선, 즉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서울9호선운영이 운영하는 구간만을 일컫는 것으로, 일부에서는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과천선 · 분당선 · 일산선 등도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각종 통계에서는 한국철도공사 구간은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가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포함하지 않는다. 참고로 서울 지하철 총 길이를 말할 때 흔히 사용되는 327.2km는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가 관리하는 노선만의 길이이다 서울 지하철에서 가장 긴 노선은 총 영업거리 60.2km의 서울 지하철 2호선이고, 가장 짧은 노선은 7.8km의 서울 지하철 1호선이다. wiki |
UITP조사 세계에는 148개의 도시철도 교통시스템이 있으며 매일 540개의 노선 9000개의 역에서 1억5천만명의 승객을 실어나르고 있다.
100년의 역사를 가진 도시철도는 그간 눈부신 발전으로 해왔으면 역내 스크린도어 경우 1960년대 미국 피츠버그와 러시아 모스크바 도시철도에 최초로 설치되었다.
냉방 스크린도어는 1987년 싱가포르 지하철에 처음 사용되었는데 열대기후지역이기 때문이었다.
과거의 낮은 천정과 좁은 통로 그리고 인력 개찰시스템에서 현대의 도시철도시스템은 점차 승객 편의주의를 지향하는 안락함과 완전 자동화시스템으로 개선되어가고 있다.
한 예로 이제는 지하철에서도 와이파이와 스마트폰 사용이 가능하며 리얼타임으로 도착시간 등을 정확히 알 수 있다. 하지만 심도가 싶은 터널에서는 아직 기술적으로 미흡한 부분들이 있다.
현재 여러나라에서 무인 운행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며 영국 런던 빅토리아 노선에 처음으로 채택되었다.
2020년에 개통예정인 카타르 도하 도시철도시스템과 하와이 호노룰루노선은 완전 자동 및 무인운전으로 운영되며 90초 내지는 2분 간격으로 차량이 운행될 예정이다.
현재 세계의 도시철도시스템 중 한국은 총연장 940km로 타국에 비하여 월등한 차이로 1위에 랭크되어 있다.
construction contents kcontents |
Metro systems are vital circulatory systems for moving large numbers of residents, commuters and tourists around large cities.
Metros are mass-transit systems that are generally heavy rail lines that operate on their own rights-of-way, whether underground, at grade or on elevated viaducts. They are distinct from light-rail and commuter rail network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ublic Transport (UITP), the world's 148 metro systems carry, every day, more than 150 million passengers on 540 lines over 11,000 kilometers to and from 9,000 stations.
Since the earliest metro systems were built more than 100 years ago, there have been many advances in their design.
We will briefly recap a few of them. In the 1960s, the St. Petersburg, Russia, subway was the first to introduce platform doors—that, is sliding glass doors at the edge of station platforms.
Since platform doors allow subway stations to be air-conditioned, they played a more crucial role in the Singapore metro, which opened in 1987.
"Singapore could not have an effective subway without platform doors" because of the city-state's tropical climate, says John Swanson, rail vehicle manager, central and western U.S. regions, Parsons Brinckerhoff Rail & Transit.
"Some cities are retrofitting platform doors, such as Copenhagen," explains Swanson. "The first London line with them, the Jubilee Line, opened in 1997.
They are now really a standard in the industry [for new metros]." The Honolulu rapid transit system, which will open in 2017, also will have them.
The older subways have a much different feel, with lower ceilings and narrower entryways.
"Recently built metros improve passenger flow by widening the ticket inspection areas and eliminating long passenger queues," adds Stuart Brunton, technical director of Parsons Brinckerhoff Rail & Transit. ' "Newer stations have a more human feel—advertising, color, materials and finishes.
They have much more of an architectural flavor, with materials and lighting. And the new swipe card technology is opening things up a lot."
Passenger information systems also have come a long way.
Today's transit traveller "wants real-time information, such as when is the next train coming, why is a train delayed, where are we or what is nearby," says Swanson. Current systems have features such as active passenger information displays inside the cars and external destination displays on the outside of the cars, he notes.
One less common innovation is automatic train operations, or driverless trains. This feature was first introduced on the London Underground's Victoria Line in 1967.
"A number of Paris Metro lines are being converted to driverless operation, and conversion of the Nuremburg system is being done by Siemens," explains Brunton.
"We have recently been working on Qatar's Doha system, [which] will come on line in 2020.
It will be driverless. Trains will run at 90-second or two-minute intervals. Honolulu will be fully automated. It's the wave of the future. It gives you much more capacity."
In the U.S., a number of cities are engaged in major transit expansion projects. "I think the U.S. transit market is very good," says Michael Cobelli, chief operating officer of Skanska USA Civil. "The four leading cities are New York, Los Angeles, San Francisco and Baltimore."
enr.construction |
Construction News
CONPAPER
인천국제공항 3단계 정보통신 관로선로공사 노선도, 인천국제공항공사
1.사업개요 인천공항 3단계 제2여객터미널(T2), T2전면 및 정보통신동, 제2공항청사 외 37개동 부대건물의 신축에 따라 동 지역과 기 구축된 정보통신망과의 연계를 통한 인천공항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통신 기반시설로서 정보통신 관로선로 공사를 시행하기 위함.
사업비 : 30,467백만원
공사규모
2.낙찰자 선정 방법 및 입찰일정 입찰일정 2014.8.04 ~ 2014. 9.15
http://ebid.airport.kr/UserMain.dc 인천국제공항공사 |
황기철 @conpaper
CON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