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FSI(국가취약지수) 남수단이 가장 취약 북한은 다소 개선 South Sudan Bumps Somalia As Most Fragile State in Ranking

 

 

A U.N. peacekeeper stands guard at the U.N. Mission in South Sudan base in Malakal, where some 19,000 people have been sheltering in this 2014 file photo, voanews

 

미국의 FP의 2014년 취약국가지수(FSI·Fragile States Index) 조사대상 178개국 중  남수단이 112.9로  가장 취약한 국가로 나타났으며 북한은 한국은 36.4로 156위, 북한은 94점으로 26위로 다소 개선되었으며 한국은 36.4점으로 156위를 기록했다. 미국은 악화되고 이란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kcontents

 

 

[Link]

The World’s Ten Most Fragile States in 2014

http://library.fundforpeace.org/fsi14-fragile10

 

Somalia: South Sudan Bumps Somalia As Most Fragile State in Ranking

 

By Catherine Maddux, 25 June 2014
Every year for the past 10 years, The Fund for Peace, in partnership with the Foreign Policy Magazine, has released an index of the world's most fragile states, based on the analysis of mountains of data.

 

And if there is a headline to this year's index, it is that South Sudan is now the world's most fragile nation, displacing Somalia, which has held the top spot for the last six years.

 

The two organizations have tracked South Sudan since 2012, not long after it became the African continent's newest country.

 

But in the short time since its birth, it has suffered from chronic instability, said J.J. Messner, co-director of the yearly index and Director of Sustainable Development & Security at the Fund.

 

"The reason for South Sudan's position has much to do with its increasingly fractious politics among the leadership," Messner said. "And, perhaps even more importantly, the growing ethnic element to the violence [there]."

 

Somalia, which Messner said has made some progress toward creating a functioning government, is no longer number one, but only dropped one spot.

 

In fact, six of the index's top 10 most fragile states are African countries, joined by Afghanistan, Yemen, Haiti and Pakistan.

 

North Korea

While ranked at 26 out of a total of 178 countries, index researchers found some unexpected hope in the circumstances of North Koreans. In other words, while still highly unstable, North Korea demonstrated evidence of incremental improvements.

 

"For example, there are still significant tens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ut they are perhaps not quite as intense now as they were a few years ago," said Messner.

 

But Messner warned that could change at any moment, as fragility and stability tend to be cyclical for countries that are not truly and soundly sustainable.

 

US worsens

One surprise was the appearance of the United States on the index's list of the top 10 nations whose circumstances worsened over the past year.

 

The lower score was largely based on intense political infighting between the Republican-led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the Obama administration, which led to a partial shutdown of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in October 2013 – a humiliation for the world's leading democracy and largest economy. Add to that the intense controversy swirling around the surveillance activities of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as exposed by NSA leaker Edward Snowden.

 

"Fragility is something that all nations need to be concerned about," said the Fund's Messner, adding that the ranking serves as a reminder that fragility is not exclusive to developing countries.

 

Iran improves                                                                                         

Iran, on the other hand, came in as the most improved country on the index, improving its standing over the past year. 

 

Tehran, while under fire for its stubbornly theocratic government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ook several gradual, but what the Fund called "important steps," over the past year. Among them: a rise in total health care spending, progress in emergency responses to two earthquakes in 2013 and a greater willingness to hold nuclear talks with the West.

 

All the rankings are made based on a given country's performance on 12 defining indicators, such as demographic pressures, poverty and economic decline, brain drain, conflict among leaders, and levels of foreign assistance

voanews

 

황기철 @conpa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변경결정 공시...북창 지구단위계획 외 2개지구

 

위치도 및 항공사진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도

북창 지구단위계획 변경, 서울시

 

[정보링크]

이태원로 주변 지구단위계획 변경결정

신정2택지개발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 결정

북창 지구단위계획 변경(재정비) 결정

서울시

 

황기철 @conpa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서울시, 공공기관 등 지방 이전 본격화 대응계획 마련

 

 

울산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조감도,kcontents

 

서울시 소재 공공기관 이전 현황 개요('13년 말 기준)

[이전기관 현황]

서울 소재 중앙부처․공공기관 총 127개 기관 이전 (수도권 전체의 64%)

 
서울 소재 127개 기관 중 이전 완료된 기관은 총 37개 (이전율 29%)

'13년 말 기준 중앙부처 18개(30개 중), 공공기관 19개(97개 중) 이전 완료
 '14년 중앙부처는 100%, 공공기관은 약 80% 이전 완료 전망(매각 수월 시)

 

시·도간 통행구조 변화,자료 : 김광익 외(2012)

 

서울시

 

 

영향예측 :

(단기)‘유출효과’만 고려시 인구, 고용, 생산 등 감소 전망 (장기)‘유입효과’까지

고려하면 실질적인 영향은(+)효과 가능 


대응방향 : 문화·역사·지식자원 활용한 ‘글로벌 문화·경제도시’로 기능전환
한전부지, 홍릉단지 일대 중점관리, 市 경제 정책과 연계된 이전부지의 전략적 활용

국제기구ㆍ글로벌인재ㆍ외국기업 투자 중점 유치, 마이스ㆍ창조 육성, 일자리 창출
市, “국제도시 도약 기회 되도록 창조경제, 관광 등 민선6기 핵심정책 실행”

 

[종합]

공공기관 이전은 수도 서울로서의 영향력 감소, 인구․고용 감소 등의 파급효과가 예상되나, 이는 기관이 빠져나간 후의 ‘빈 공간’이 그대로 채워지지 않았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유출’ 효과임
 

그러나, 서울의 건물이 공실로 방치될 가능성은 낮아 실질적인 영향의 규모와 질(質)은 새로이 유입되는 기능 여하에 따라 크게 좌우됨

 

공공기관 이전 후 서울, 글로벌 문화경제수도 기능전환.hwp (356864 Bytes)
서울시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서울시, 2020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으로 줄인다

 

 

서울시

 

5대 분야 11개 세부정책「교통사고사상자 줄이기 종합대책」26일 발표


사고 발생원 줄이는 맞춤형 예방대책~응급대응, 교육·홍보 강화 등 전방위

대책 수립~실행·점검 전 과정 경찰·도로교통공단 등 유관기관, 관련 업계 참여
어르신 : 최다 사망률→ 노인보호구역 매년 20개소 확대, 안전용품 지원 등
어린이 : 스쿨존 매년 50개소 신규 지정, ''교통안전 어린이 수호천사단'' 도입
보행자 : ''교차로 안전알리미'' 도입, ''이면도로 보행자우선도로'' 8개 추가 지정'

 

택시·화물차 디지털운행기록계 분석 맞춤형교육, ''우수 택시 기사'' 도입

66개 버스업체 배차실 의무화 운전자 연속운행 금지, 사고다발업체 제재 강화
신속한 응급 대응 : 골든타임확보, 1지휘·3구급·2구조대 다중출동체계로 강화
빅데이터 활용한 ''교통안전지도''작성, 개선기간 2년→6개월로 단축

회전교차로 27개소 확대, 중앙버스전용차로 시설개선, 제한속도 하향 추진
사람우선 교통문화 정착위한 생애 전반 안전교육 및 캠페인 전개
시, “전 유관기관, 관련 업체 협업, 현장 문제 제대로 파악 해법 실효성 높여”

 

교통사고사상자줄이기1.pptx (45550041 Bytes)
(기자설명회)서울시, 2020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으로 줄인다.hwp (769024 Bytes)


황기철 @conpa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한국건설신문 창립 27주년 좌담, '실적공사비' 무엇이 문제인가?

실적공사비 현실 반영 어려워 ‘피해심각’
실적공사비 계속 유지시 ‘건설산업 정상화’ 기대 어려워

 

주 최 :한국건설신문
사 회 : 김덕수 기자

토 론자 : 조달청 시설총괄과 설동완 과장
              한국토지주택공사 현장품질관리단 이오성 단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최민수 박사
              공공건설산업연구소 고상진 소장
              대한건설협회 계약제도실 최상근 실장
              대한설비건설협회 김경회 본부장
              현대건설 토목환경사업부 최효룡 부장

 

[본문링크]

http://www.conslov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654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2014년 ITTF 세계탁구 랭킹 순위(6월)

 

International Table Tennis Federation (ITTF)

 

남자 랭킹(6월)

 

여자 랭킹(6월)

 

그리드형

댓글()

최근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압축공기 추진식 철도 'Aeromovel'

 

 

브라질에서 운행 중인 압축공기 추진식 철도 'Aeromovel'

 

인도네시아는 현재 브라질에서 개발된 압축공기 추진식 철도인 Aeromovel 의 도입추진하고 있다. 

 

Bekasi과 West Java지역에 총 1600억불을 투입해 건설예정인 이 사업은 도심지에서 소음과 매연이

적어 친환경적인 사업방식으로 최근 아시아, 아프리카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Aeromovel 아에로모벨]

Aeromovel은 압축공기 추진식 철도' 혹은 '기압 철도'로 월드컵에 대비해 브라질에서 개발되었으며 현재 운행 중에 있다.

최대 속도 65 km/h인 Aeromovel앞으로 움직여 나가는데 있어 철도 위 공기압으로부터 나오는 추진력을 사용한다. 공기 팬은 전기에 의해 가동되며 낮은 에너지 경비를 제공하고 대중교통에 있어 오염을 발생하지 않는 대안을 제공해준다. 심지어 소음 공해는 방음 팬에 의해 줄일 수 있다.

경량의 샌드위치 복합재료로 100% 만들어진 차체를 제작하여 친환경적 대중교통수단에 기여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작동원리

Aeromovel company

http://www.aeromovel.com/index.htm
kcontents

 

[VIDEO]

Aeromovel

 

Mass Transport Bekasi Aeromovel Needs Rp 2 Trillion

 

JAKARTA - The rail-based mass transit project, Aeromovel, which is planned to be built in Bekasi, West Java, requires an investment of Rp 2 trillion.

 

The project, which is planned to be built through three housing estates, is considered cheaper than the monorail.

 

"Prediction of the budget for the entire project is about Rp 2 trillion," said representative of PT Cakar Bumi Integrasi (CBI), Siswanto, in an agenda presenting the aeromovel project with Deputy Mayor of Bekasi, Ahmad Syaikhu, in Bekasi, recently.

 

According to Siswanto, the projected budget amount is sufficient to build a 12km-long rail track that runs through the Kota Harapan Indah Housing Estate, Summarecon Bekasi and Kemang Pratama Housing Estate. The aeromovel rail line will encircle three sub-districts, including Medansa Tria, West Bekasi, and South Bekasi.

 

"The budget amount is also sufficient to supply 25 aeromovel sets that are capable of transporting 250,000 passengers every day," he explained.

 

Siswanto added that the aeromovel trains will be driven by wind gust, so it can be more effici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he project is also synergised with other transportation modes, such as the TransJakarta bus and Busway-Integrated Border Transport (APTB), as well as other mass transport modes.

 

"We expect people will only pay Rp 10 thousand per person to travel by aeromovel. But this depends on the upcoming study on the field," he said.

 

According to him, the project is similar to the existing railway overpass in Taman Mini Indonesia Indah (TMII). However, the mass transport to be built is now more sophisticated and efficient. In fact, this aeromovel project will be used during the World Cup soccer event in Brazil.

 

Siswanto added that, if the offer of cooperation is approved by Bekasi City Administration, the financing of its development up to the maintenance phase shall be established in collaboration with PT GCI, which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ransport infrastructure based on sharia.

 

The consortium has a number of participating companies in the project plan, consisting of PT CBI PT Public Private Partnership Indonesia, and PT GCI.

 

Meanwhile, Deputy Mayor of Bekasi, Ahmad Syaikhu, revealed that the offer to build the mass transit requires deepening in the form of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for the cooperation. "The process is still in the planning process in relevant agencies. We are measuring the utilisation of fasos [social facilities]/ fasum [public facilities] for the route that the aeromovel will service," he said, as quoted by Antara.

 

Nevertheless, he claimed that this kind of mass transport is a new type of fleets in the City of Bekasi and several other major cities. The presence of this aeromovel mass transport is a solution to parse congestion and it can be integrated with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Data from the local Office of Transportation show that there are at least 19 traffic jam location points in Bekasi City until 2014. Bekasi City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reduce the existing congestion points; one of the ways is by promoting ​​mass transport modes, such as the APTB. In addition to the APTB, Bekasi City Government has also opened the door for the entry of TransJakarta bus fleet serving the Pulogadung - Harapan Indah route from May 2014. (ean)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아랍에미레이트 '에타하드 철도 1단계' 곧 운행 예정 UAE Sulphur Railway to be Operational Soon

 

GCC Railway Network

 

Etihad Rail Network, U.A.E

 

 

아랍에미레이트의 '에티하드 철도사업' 1단계가 조만간 개통된다.

총연장 266km 구간의 이 사업은 현재 궤도부설을 마치고 수개월 동안 시험가동 중이다.

 

U.A.E는 GCC국가 중 2번째로 큰 'GCC Railway Network'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지역을

연결하는 첫 철도프로젝트로서 2단계가 곧 착수될 예정이다.

 

'GCC Railway Network'의 전체 완공은 2018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Etihad Rail Network]

총연장 1200 km

사업비: 110억불

1단계 266km Shah and Habshan sulphur fields and the port of Ruwais

잔  여  934km Saudi border, via Dubai, to Al Ain on the Omani border

 

[GCC Railway Network]

총연장 2177 km

참여국가:

쿠웨이트,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레이트, 카타르, 바레인,예멘

사업비: 594억불

*1Dh=0.27US$

 

kcontents

 

[VIDEO]

Etihad Rail Network

 

UAE Sulphur Railway to be Operational Soon 

 

By Sam Applegate on Jun 24, 2014 in Bahrain, Freight, Kuwait, Oman, Qatar, Saudi Arabia, UAE, Yemen


UAE officials have confirmed that the first phase of the Etihad Rail Network will be operational in the “near future”.

 

This includes the 266 km lines between Shah and Habshan sulphur fields and the port of Ruwais.

 

Construction is complete on the lines and testing has been underway for some months.

Meanwhile a new Federal law to regulate the UAE’s railway sector is passing through the Ministerial Council for Services.

 

The UAE will be the second country in the GCC region to have a fully operational heavy rail network, and this will be the first railway network in the UAE to link all the Emirates.

 

The next phase of the network will be between the Saudi border, via Dubai, to Al Ain on the Omani border as part of the Emirates’ commitment to the construction of the GCC Railway Network.

 

This 2177 km network will link Kuwait’s Iraqi border via Saudi Arabia, Bahrain, the UAE, Qatar and the Yemeni border of Oman.

 

It is expected to be completed sometime in 2018 when all the individual countries networks are completed.

menarailnews

 

황기철 @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2014년도 골재채취 능력평가 결과 공시

 

 

출처:http://goworld.tistory.com/301

 

예시,국토부

 

 

「골재채취법」 제22조의3(골재채취능력의 평가 및 공시)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4조의6(골재채취 능력의 공시)에 의거 2014년도 골재채취능력평가 결과를 아래와 같이 공시합니다.

 

ㅇ 공시명 : 2014년도 골재채취능력 평가 결과
ㅇ 대 상 : 골재채취 능력평가 신청업체
ㅇ 내 용 : 지역별, 업종별 골재채취능력평가 결과 각 1부

 

[골재채취 능력평가결과서 발급 안내]
골재채취허가신청시 제출하는 골재채취능력평가결과서는 한국골재협회 본회 회원관리과(☎ 02-470-0150)에서 발급하여 드립니다.


※ 2013년 골재채취 능력평가와 관련 문의사항은 한국골재협회(☎02-470-0150)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1파일 align 지역별공시.hwp

첨부파일 2파일 align 업종별공시.hwp

국토부

 

.

그리드형

댓글()

서울시 은평구 '대조 제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건축심의 통과

 

 

 

[대조 제1구역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 개요]

 

위    치 : 은평구 대조동 89번지일대 (대지면적 : 91,374㎡)
건축규모 : 지하4층/지상24층, 연면적 379,300.22㎡
               건폐율 20.77%, 용적률 237.98%
용    도 : 공동주택  2,385세대                                                                         

[조합원 및 일반분양   1,967세대]  [임대주택  418세대 ]
▲  37㎡형 169세대   ▲  45㎡형 184세대    ▲ 51㎡형 112세대    ▲  59㎡형 831세대 
▲  74㎡형 521세대   ▲  84㎡형 532세대    ▲ 114㎡형 36세대
착공예정일 : 2016. 03월
준공예정일 : 2019. 03월

서울시

 

대조 제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건축심의 통과

 

최적의 주거요건 3박자(자연경관,교통,교육환경)를 두루 갖춘 명품주거단지의 탄생
건축심의를 통해 낙후된 주거공간에서 주변지역 주민과의 소통의 공간, 열린 아파트로 탈바꿈
지역주민과 공유하는 열린 커뮤니티시설의 배치로 지역 공동체 단지 구현

 

대조제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건축심의 통과.hwp (465408 Bytes)
서울시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