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구단위계획 변경결정 공시...북창 지구단위계획 외 2개지구

 

위치도 및 항공사진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도

북창 지구단위계획 변경, 서울시

 

[정보링크]

이태원로 주변 지구단위계획 변경결정

신정2택지개발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 결정

북창 지구단위계획 변경(재정비) 결정

서울시

 

황기철 @conpa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서울시, 공공기관 등 지방 이전 본격화 대응계획 마련

 

 

울산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조감도,kcontents

 

서울시 소재 공공기관 이전 현황 개요('13년 말 기준)

[이전기관 현황]

서울 소재 중앙부처․공공기관 총 127개 기관 이전 (수도권 전체의 64%)

 
서울 소재 127개 기관 중 이전 완료된 기관은 총 37개 (이전율 29%)

'13년 말 기준 중앙부처 18개(30개 중), 공공기관 19개(97개 중) 이전 완료
 '14년 중앙부처는 100%, 공공기관은 약 80% 이전 완료 전망(매각 수월 시)

 

시·도간 통행구조 변화,자료 : 김광익 외(2012)

 

서울시

 

 

영향예측 :

(단기)‘유출효과’만 고려시 인구, 고용, 생산 등 감소 전망 (장기)‘유입효과’까지

고려하면 실질적인 영향은(+)효과 가능 


대응방향 : 문화·역사·지식자원 활용한 ‘글로벌 문화·경제도시’로 기능전환
한전부지, 홍릉단지 일대 중점관리, 市 경제 정책과 연계된 이전부지의 전략적 활용

국제기구ㆍ글로벌인재ㆍ외국기업 투자 중점 유치, 마이스ㆍ창조 육성, 일자리 창출
市, “국제도시 도약 기회 되도록 창조경제, 관광 등 민선6기 핵심정책 실행”

 

[종합]

공공기관 이전은 수도 서울로서의 영향력 감소, 인구․고용 감소 등의 파급효과가 예상되나, 이는 기관이 빠져나간 후의 ‘빈 공간’이 그대로 채워지지 않았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유출’ 효과임
 

그러나, 서울의 건물이 공실로 방치될 가능성은 낮아 실질적인 영향의 규모와 질(質)은 새로이 유입되는 기능 여하에 따라 크게 좌우됨

 

공공기관 이전 후 서울, 글로벌 문화경제수도 기능전환.hwp (356864 Bytes)
서울시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서울시, 2020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으로 줄인다

 

 

서울시

 

5대 분야 11개 세부정책「교통사고사상자 줄이기 종합대책」26일 발표


사고 발생원 줄이는 맞춤형 예방대책~응급대응, 교육·홍보 강화 등 전방위

대책 수립~실행·점검 전 과정 경찰·도로교통공단 등 유관기관, 관련 업계 참여
어르신 : 최다 사망률→ 노인보호구역 매년 20개소 확대, 안전용품 지원 등
어린이 : 스쿨존 매년 50개소 신규 지정, ''교통안전 어린이 수호천사단'' 도입
보행자 : ''교차로 안전알리미'' 도입, ''이면도로 보행자우선도로'' 8개 추가 지정'

 

택시·화물차 디지털운행기록계 분석 맞춤형교육, ''우수 택시 기사'' 도입

66개 버스업체 배차실 의무화 운전자 연속운행 금지, 사고다발업체 제재 강화
신속한 응급 대응 : 골든타임확보, 1지휘·3구급·2구조대 다중출동체계로 강화
빅데이터 활용한 ''교통안전지도''작성, 개선기간 2년→6개월로 단축

회전교차로 27개소 확대, 중앙버스전용차로 시설개선, 제한속도 하향 추진
사람우선 교통문화 정착위한 생애 전반 안전교육 및 캠페인 전개
시, “전 유관기관, 관련 업체 협업, 현장 문제 제대로 파악 해법 실효성 높여”

 

교통사고사상자줄이기1.pptx (45550041 Bytes)
(기자설명회)서울시, 2020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으로 줄인다.hwp (769024 Bytes)


황기철 @conpa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한국건설신문 창립 27주년 좌담, '실적공사비' 무엇이 문제인가?

실적공사비 현실 반영 어려워 ‘피해심각’
실적공사비 계속 유지시 ‘건설산업 정상화’ 기대 어려워

 

주 최 :한국건설신문
사 회 : 김덕수 기자

토 론자 : 조달청 시설총괄과 설동완 과장
              한국토지주택공사 현장품질관리단 이오성 단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최민수 박사
              공공건설산업연구소 고상진 소장
              대한건설협회 계약제도실 최상근 실장
              대한설비건설협회 김경회 본부장
              현대건설 토목환경사업부 최효룡 부장

 

[본문링크]

http://www.conslov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654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2014년 ITTF 세계탁구 랭킹 순위(6월)

 

International Table Tennis Federation (ITTF)

 

남자 랭킹(6월)

 

여자 랭킹(6월)

 

그리드형

댓글()

최근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압축공기 추진식 철도 'Aeromovel'

 

 

브라질에서 운행 중인 압축공기 추진식 철도 'Aeromovel'

 

인도네시아는 현재 브라질에서 개발된 압축공기 추진식 철도인 Aeromovel 의 도입추진하고 있다. 

 

Bekasi과 West Java지역에 총 1600억불을 투입해 건설예정인 이 사업은 도심지에서 소음과 매연이

적어 친환경적인 사업방식으로 최근 아시아, 아프리카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Aeromovel 아에로모벨]

Aeromovel은 압축공기 추진식 철도' 혹은 '기압 철도'로 월드컵에 대비해 브라질에서 개발되었으며 현재 운행 중에 있다.

최대 속도 65 km/h인 Aeromovel앞으로 움직여 나가는데 있어 철도 위 공기압으로부터 나오는 추진력을 사용한다. 공기 팬은 전기에 의해 가동되며 낮은 에너지 경비를 제공하고 대중교통에 있어 오염을 발생하지 않는 대안을 제공해준다. 심지어 소음 공해는 방음 팬에 의해 줄일 수 있다.

경량의 샌드위치 복합재료로 100% 만들어진 차체를 제작하여 친환경적 대중교통수단에 기여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작동원리

Aeromovel company

http://www.aeromovel.com/index.htm
kcontents

 

[VIDEO]

Aeromovel

 

Mass Transport Bekasi Aeromovel Needs Rp 2 Trillion

 

JAKARTA - The rail-based mass transit project, Aeromovel, which is planned to be built in Bekasi, West Java, requires an investment of Rp 2 trillion.

 

The project, which is planned to be built through three housing estates, is considered cheaper than the monorail.

 

"Prediction of the budget for the entire project is about Rp 2 trillion," said representative of PT Cakar Bumi Integrasi (CBI), Siswanto, in an agenda presenting the aeromovel project with Deputy Mayor of Bekasi, Ahmad Syaikhu, in Bekasi, recently.

 

According to Siswanto, the projected budget amount is sufficient to build a 12km-long rail track that runs through the Kota Harapan Indah Housing Estate, Summarecon Bekasi and Kemang Pratama Housing Estate. The aeromovel rail line will encircle three sub-districts, including Medansa Tria, West Bekasi, and South Bekasi.

 

"The budget amount is also sufficient to supply 25 aeromovel sets that are capable of transporting 250,000 passengers every day," he explained.

 

Siswanto added that the aeromovel trains will be driven by wind gust, so it can be more effici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he project is also synergised with other transportation modes, such as the TransJakarta bus and Busway-Integrated Border Transport (APTB), as well as other mass transport modes.

 

"We expect people will only pay Rp 10 thousand per person to travel by aeromovel. But this depends on the upcoming study on the field," he said.

 

According to him, the project is similar to the existing railway overpass in Taman Mini Indonesia Indah (TMII). However, the mass transport to be built is now more sophisticated and efficient. In fact, this aeromovel project will be used during the World Cup soccer event in Brazil.

 

Siswanto added that, if the offer of cooperation is approved by Bekasi City Administration, the financing of its development up to the maintenance phase shall be established in collaboration with PT GCI, which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ransport infrastructure based on sharia.

 

The consortium has a number of participating companies in the project plan, consisting of PT CBI PT Public Private Partnership Indonesia, and PT GCI.

 

Meanwhile, Deputy Mayor of Bekasi, Ahmad Syaikhu, revealed that the offer to build the mass transit requires deepening in the form of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for the cooperation. "The process is still in the planning process in relevant agencies. We are measuring the utilisation of fasos [social facilities]/ fasum [public facilities] for the route that the aeromovel will service," he said, as quoted by Antara.

 

Nevertheless, he claimed that this kind of mass transport is a new type of fleets in the City of Bekasi and several other major cities. The presence of this aeromovel mass transport is a solution to parse congestion and it can be integrated with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Data from the local Office of Transportation show that there are at least 19 traffic jam location points in Bekasi City until 2014. Bekasi City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reduce the existing congestion points; one of the ways is by promoting ​​mass transport modes, such as the APTB. In addition to the APTB, Bekasi City Government has also opened the door for the entry of TransJakarta bus fleet serving the Pulogadung - Harapan Indah route from May 2014. (ean)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아랍에미레이트 '에타하드 철도 1단계' 곧 운행 예정 UAE Sulphur Railway to be Operational Soon

 

GCC Railway Network

 

Etihad Rail Network, U.A.E

 

 

아랍에미레이트의 '에티하드 철도사업' 1단계가 조만간 개통된다.

총연장 266km 구간의 이 사업은 현재 궤도부설을 마치고 수개월 동안 시험가동 중이다.

 

U.A.E는 GCC국가 중 2번째로 큰 'GCC Railway Network'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지역을

연결하는 첫 철도프로젝트로서 2단계가 곧 착수될 예정이다.

 

'GCC Railway Network'의 전체 완공은 2018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Etihad Rail Network]

총연장 1200 km

사업비: 110억불

1단계 266km Shah and Habshan sulphur fields and the port of Ruwais

잔  여  934km Saudi border, via Dubai, to Al Ain on the Omani border

 

[GCC Railway Network]

총연장 2177 km

참여국가:

쿠웨이트,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레이트, 카타르, 바레인,예멘

사업비: 594억불

*1Dh=0.27US$

 

kcontents

 

[VIDEO]

Etihad Rail Network

 

UAE Sulphur Railway to be Operational Soon 

 

By Sam Applegate on Jun 24, 2014 in Bahrain, Freight, Kuwait, Oman, Qatar, Saudi Arabia, UAE, Yemen


UAE officials have confirmed that the first phase of the Etihad Rail Network will be operational in the “near future”.

 

This includes the 266 km lines between Shah and Habshan sulphur fields and the port of Ruwais.

 

Construction is complete on the lines and testing has been underway for some months.

Meanwhile a new Federal law to regulate the UAE’s railway sector is passing through the Ministerial Council for Services.

 

The UAE will be the second country in the GCC region to have a fully operational heavy rail network, and this will be the first railway network in the UAE to link all the Emirates.

 

The next phase of the network will be between the Saudi border, via Dubai, to Al Ain on the Omani border as part of the Emirates’ commitment to the construction of the GCC Railway Network.

 

This 2177 km network will link Kuwait’s Iraqi border via Saudi Arabia, Bahrain, the UAE, Qatar and the Yemeni border of Oman.

 

It is expected to be completed sometime in 2018 when all the individual countries networks are completed.

menarailnews

 

황기철 @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2014년도 골재채취 능력평가 결과 공시

 

 

출처:http://goworld.tistory.com/301

 

예시,국토부

 

 

「골재채취법」 제22조의3(골재채취능력의 평가 및 공시)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4조의6(골재채취 능력의 공시)에 의거 2014년도 골재채취능력평가 결과를 아래와 같이 공시합니다.

 

ㅇ 공시명 : 2014년도 골재채취능력 평가 결과
ㅇ 대 상 : 골재채취 능력평가 신청업체
ㅇ 내 용 : 지역별, 업종별 골재채취능력평가 결과 각 1부

 

[골재채취 능력평가결과서 발급 안내]
골재채취허가신청시 제출하는 골재채취능력평가결과서는 한국골재협회 본회 회원관리과(☎ 02-470-0150)에서 발급하여 드립니다.


※ 2013년 골재채취 능력평가와 관련 문의사항은 한국골재협회(☎02-470-0150)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1파일 align 지역별공시.hwp

첨부파일 2파일 align 업종별공시.hwp

국토부

 

.

그리드형

댓글()

서울시 은평구 '대조 제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건축심의 통과

 

 

 

[대조 제1구역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 개요]

 

위    치 : 은평구 대조동 89번지일대 (대지면적 : 91,374㎡)
건축규모 : 지하4층/지상24층, 연면적 379,300.22㎡
               건폐율 20.77%, 용적률 237.98%
용    도 : 공동주택  2,385세대                                                                         

[조합원 및 일반분양   1,967세대]  [임대주택  418세대 ]
▲  37㎡형 169세대   ▲  45㎡형 184세대    ▲ 51㎡형 112세대    ▲  59㎡형 831세대 
▲  74㎡형 521세대   ▲  84㎡형 532세대    ▲ 114㎡형 36세대
착공예정일 : 2016. 03월
준공예정일 : 2019. 03월

서울시

 

대조 제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건축심의 통과

 

최적의 주거요건 3박자(자연경관,교통,교육환경)를 두루 갖춘 명품주거단지의 탄생
건축심의를 통해 낙후된 주거공간에서 주변지역 주민과의 소통의 공간, 열린 아파트로 탈바꿈
지역주민과 공유하는 열린 커뮤니티시설의 배치로 지역 공동체 단지 구현

 

대조제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건축심의 통과.hwp (465408 Bytes)
서울시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2014년 6월 25일 중동 플랜트사업 동향 - 오만 타카물투자사의 살랄라 암모니아 플랜트 프로젝트 외

1.  오만 타카물투자사의 살랄라 암모니아 플랜트 프로젝트

 

오만 국영석유공사(OOC: Oman Oil Co.)의 자회사인 타카물투자사가 발주하는 살랄라 암모니아 플랜트 프로젝트의 FEED를 독일의 린데(Linde)가 지난 6 22일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1,000톤의 암모니아 플랜트를 살랄라 자유지대에 건설하는 7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필요한 원료는 살랄라 메타놀 플랜트에서 공급받으며, EPC입찰은 2014년 12월에 실시될 예정이다.

 

2.  오만 OOCIPIC의 두쿰 정유공장 프로젝트

 

오만 국영석유회사(OOC)와 아부다비의 IPIC가 발주하는 두쿰(Duqm) 정유공장 프로젝트의 EPC PQ작업이 오는 9월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23만 배럴 규모의 정유공장을 두쿰특별경제구역에 건설하는 6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포스터휠러가 FEED, 테크닙이 PMC를 맡고 있다. 발주처인 OOC IPIC는 이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해 50 50 합작으로 DRPI(Duqm Refinery & Petrochemical Industries)를 현지법인을 설립한 바 있다.   

 

3.  오만 ORPIC의 리와 플라스틱 프로젝트

 

오만 정유 및 석유화학국영회사(ORPIC)는 리와(Liwa) 플라스틱 프로젝트(LPP)EPC에 참여를 원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정보요청서를 보냈으며 제출 마감일은 6 29일이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80만 톤 규모의 스팀크래커30만 톤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50만 톤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1 5천 톤의 폴리프로필렌4만 톤의 MTBE, 45천 톤의 부탄-1 등이 포함된 석유화학 콤플렉스를 소하르에 건설하는 36억 불 규모의 대형 사업으로 CB&I FEED, 인도의 EILPMC를 맡고 있다.

 

4.  오만 OGC의 두쿰 가스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오만 가스회사(OGC)가 발주하는 두쿰 가스파이프라인 프로젝트의 EPC입찰서가 발급되었으며 입찰 마감일은 8 18일이다. 이 프로젝트는 오만 중부의 사이 니하이다(Saih Nihayda) 가스전으로부터 두쿰 경제특별지역까지 230킬로미터의 가스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2.1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2017년 중순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5.  오만 OPWP MIS 민자 발전소 프로젝트

 

오만의 수전력구매공사인 OPWP가 발주하는 MIS 민자 발전소 프로젝트의 PQ가 발급되었으며 제출 마감일은 8 3일이다. 이 프로젝트는 2,600MW급 민자 발전소를 중앙전력망(MIS: Main Interconnected System) 내에 추가로 건설하는 13억 불 규모의 사업이다.

 

6.  사우디 움 알쿠라시멘트의 타이프 발전소 프로젝트

 

사우디의 움 알쿠라시멘트(Umm Al-Qura Cement Co.)가 발주하는 타이프 발전소 프로젝트를 바르질라(Wartsila)가 지난 6 18일에 턴키방식으로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시멘트공장용으로 생산할 47MW급 발전소를 타이프시의 산사막 지대에 건설하는 사업이며 2015 10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바르질라는 자체에서 사막용으로 개발한 32TS엔진 5기와 2단계 터보형 기기로 구성된 발전소를 패스트트랙 방식으로 2015 2월까지 현지에 공급할 예정이다.  

 

7.  사우디 마덴의 와드 알샤말 수처리 및 하수처리플랜트 프로젝트

 

사우디의 국영광업사인 마덴이 발주하는 와드 알샤말 수처리 및 하수처리플랜트 프로젝트의 FEED620에 완료된 가운데 EPC입찰서가 오는 7월 초에 발급된다. 이 프로젝트는 수처리와 하수처리 플랜트를 와드 알샤말 광물산업도시에 건설하는 2.4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2014 11월 말에 착공하여 2016 6월에 준공될 계획이다.

 

8.  사우디 걸프튜빙의 라스 알카이르 심리스 파이프 플랜트 프로젝트

 

사우디의 걸프튜빙(Gulf Tubing Co.)은 독일, 체코 및 인도의 투자자들과 공동으로 중동 최초의 무계목강관(Seamless Pipe) 플랜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지난 6 21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60만 톤의 심리스파이프 생산공장을 라스 알카이르에 건설하는 1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2015년 초에 착공, 2017년 초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동에서는 최초로 건설되는 이 공장에서는 직경 19mm에서 137mm까지의 심리스 파이프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보일러, 퍼니스 등도 생산할 계획이다.  

 

9.  카타르 수전력공사의 송전시스템 확장 프로젝트
<!--[if !supportLineBreakNewLine]-->
<!--[endif]-->

카타르 수전력공사(Kahramaa)가 발주하는 송전시스템 확장 프로젝트를 이탈리아 전선회사인 프리즈미안(Prysmian)이 지난 6 18 1.08억 불에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카타르 전력네트워크 강화 11단계 사업 중 220kV의 지하 고압케이블 173킬로미터를 EPC로 건설하는 공사로 2016 6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10. 이라크 카이완그룹의 바지안 정유공장 3단계 확장 프로젝트


 

카이완그룹이 발주하는 바지안(Bazian) 정유공장 3단계 확장 프로젝트의 EPC입찰서가 발급되었으며 입찰 마감일은 7 14일이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34,000배럴 규모의 기존 바지안 정유공장을 84,000배럴로 확장하는 15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테크닙이 FEED를 완료하였다. 이번 3단계 정유공장에는 증류시설(50,000 B/D), 납사수첨탈유(33,500 B/D), CCR(22,500 B/D), 이서머라이제이션(10,500 B/D), 케로신수첨탈유(13,500 B/D) 아민재생산, 유황회수, 폐수처리, 간접 및 동력 시설 등이 들어서며, EPC계약은 12월에 체결될 예정이다.

 

11. GE, 알스톰 인수 성공


 

프랑스의 알스톰사를 인수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에서 미국의 GE가 지멘스/미쓰비시중공업의 컨소시엄을 꺾고 승리한 것으로 지난 6 23일 알려졌다. GE가 알스톰의 스팀터빈, 재생에너지 및 송배전사업부문을 인수키로 한 가운데, 프랑스 정부는 알스톰 대주주인 부이그가 보유한 지분 20%를 매입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프랑스 정부는 알스톰의 새로운 최대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GE 인수될 알스톰은 동등한 파트너 자격으로 일련의 합작사를 설립해 프랑스에서 수천 명의 인력을 고용하고, 원자력 발전소용 터빈과 같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기술을 개발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알스톰은 1,200명의 인원과 연간 5억 불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GE의 철도 신호사업부문을 8.25억 불에 인수할 예정이다.

 

12. 사우디의 네스마, 아르헨티나의 테크나와 JV설립

 

사우디의 대형건설업체인 네스마(Nesma)는 아르헨티나의 테크나(Tecna) JV를 설립하여 석유와 가스분야의 대형 EPC입찰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지난 6 20일 밝혔다. 1974년에 설립된 테크나는 페트로바스와 토탈 등의 발주처로부터 중남미에서 다수의 석유 및 가스플랜트 프로젝트를 수행한 EPC업체로 알려지고 있다.

 

(입력: 2014 6 25)

조성환의 쿠웨이트 이야기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