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건설뉴스Daily Construction News]2014년 7월 16일(수) CONPAPER

 

 

Daily Construction News

[데일리건설뉴스]2014년   7월    16일(수) CONPAPER

 

 

 월드컵 상금에 대한 궁금증, 우승국, 준우승국....그리고 한국은? FIFA World Cup –

   Prize Money

 

 카타르 헬스케어 프로젝트, PM분야 EOI(의향서) 제출 공고

 과연 월드컵 심판들은 어떻게 선정되고 얼마나 받나? World Cup Referee Salary

 ENG 상반기 해외계약, 2012년도에 '반토막'

 건설시장, 2020년엔 '유지보수' 중심으로 재편된다.- 건설산업연구원

 '소방방재 교육연구단지 건립공사' 추진현황

 한국서부발전, '원전 발전설비 부품 시험성적서' 위변조 원천 방지시스템 구축

 주택 규제 완화 기대감에 아파트 거래량 증가세

 '행복주택 사업 본궤도에 올랐다'

 22살 최연소 사회복지 공무원 합격 비결은

 국토부, '2014 스마트국토엑스포' 개최...8.25일 부터 3일간 코엑스

 한국철도시설공단,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공사(T/K) 실시설계 적격심의 위원 선정

 서울시, ‘가로주택정비사업’ 지원 강화한다

 게으름 권하는 사회? [김영환]

 한국 이민자가 미국에서 망하는 이유

 10대 몰락하는 직업들 The 10 Most Endangered Jobs

 레미콘 이송관 수명 5배 늘어난다

 [2014년 7월 15일 중동 플랜트사업 동향] 쿠웨이트 수전력부의 도하 담수공장 1단계 프

   로젝트 외

 <그래픽> 서민금융 지원체계 흐름도

 캘리포니아 '6개 작은주' 분할안 Billionaire in push to carve up California into six

   states

 

 

4.16 ~ "We never forget the Day!"

 

건설매거진 [콘페이퍼]2014년도 7월호

Construction Magazine

 

 

[디자인올 Designall]

http://designall.tistory.com

 

Construction Contents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캘리포니아 '6개 작은주' 분할안 Billionaire in push to carve up California into six states

 

 

 

 

청원에 130만명 서명해 투표요건 획득

실현 가능성은 낮아

 

미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캘리포니아주를 6개의 작은 주로 분할하자는 안이 오는 2016년 말 투표에 부쳐질 전망이다.

 

캘리포니아 분할안을 주장하는 민간단체 '6 캘리포니아'는 130만 명의 주민 서명을 모아 분할에 대한 주민투표 요건을 충족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주민투표에 필요한 최소 서명 인원은 80만8천명이다.

 

이 단체는 지난 2월부터 서명을 모았으며 일부를 이날 주도 새크라멘토가 속한 새크라멘토 카운티에 제출했다.

 

이 서명들의 진위가 확인될 경우 캘리포니아주 분할 주민투표는 2016년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와 함께 치러지게 된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이 단체가 캘리포니아 분할을 주장하는 것은 캘리포니아 인구가 3천830만 명까지 이르면서 주 정부가 각 지역의 행정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들이 제시한 6개의 분할된 주는

 

▲ 실리콘 밸리

▲ 웨스트 캘리포니아

▲ 사우스 캘리포니아

▲센트럴 캘리포니아

▲ 노스 캘리포니아

▲ 제퍼슨 등이다.

 

(서울=연합뉴스) 방현덕 기자

 

 

Divided they stand?

Billionaire in push to carve up California into six states

A billionaire tech investor says he has enough backing to put on the ballot a plan to split California into six states.

 

Timothy Draper, a venture capitalist founder of a Silicon Valley-based venture capital firm that has invested in such tech companies as Twitter, HotMail, Skype and Tesla, told Reuters he has the 808,000 signatures needed on a petition to force the measure onto a public referendum in November 2016. Under the far-fetched plan, one state would be called "Silicon Valley" and would include the tech mecca, as well as San Francisco.

 

"California needs a reboot," Draper, who has spent $4.9 million of his own money on the effort, said in a press release. "Six Californias is our opportunity to solve the many problems we face today. ... Six states that are more representative and accountable. Six states that embrace innovation and strive to improve the lives of residents."


"California needs a reboot."
- Timothy Draper, billionaire behind "Six Californias"


Draper's group plans to submit the signatures today, according to a Tweet.

 

A state dubbed "Jefferson" would include the northernmost portion; "South California" would be comprised of San Diego and eastern Los Angeles while the rest of L.A. would be called "West California." A province called "North California" would be built around Sacramento, and "Central California" would be made up of the central valley farm region, including Tulare and Fresno counties.

 

Silicon Valley would become the nation's richest state, while Central California would become its poorest, according to the nonpartisan Legislative Analyst's Office.

 

Critics call the plan kooky and note that such ideas have been floated in the past and never gone anywhere. According to FOX40, there have been about 220 efforts to divide California. All have failed.

"This is a colossal and divisive waste of time, energy and money that will hurt the California brand,” said Steven Maviglio, a Democratic political strategist who formed the group OneCalifornia to fight Draper’s plan. "It has zero chance of passage. But what it does is scare investment away... at a time when the governor is leading us to an economic comeback.”

 

Draper and other supporters plan to file the signatures with California Secretary of State Debra Bowen on Tuesday.

 

"It’s important because it will help us create a more responsive, more innovative and more local government, and that ultimately will end up being better for all of Californians," said Roger Salazar, a spokesman for the campaign. "The idea ... is to create six states with responsive local governments -- states that are more representative and accountable to their constituents."

 

Draper's group says the division would create a more business-friendly environment, solve the state’s water issues and ease traffic congestion.

 

Earlier this year, Bowen gave the go-ahead for activists to start gathering signatures for the initiative. Their deadline for submitting them was July 18.

 

Perhaps the biggest obstacle facing Draper's six-state scheme is that even if approved, it would be subject to passage by Congress.

 

"He's got a pretty high bar to pass," Corey Cook, director of the University of San Francisco's Leo T. McCarthy Center for Public Service and the Common Good, told the San Jose Mercury News. "There'll be a general skepticism of how dividing the state would improve it."

 

[MAIN PAGE LINK]

http://www.foxnews.com/politics/2014/07/15/california-billionaire-claims-juice-to-put-scheme-to-carve-out-six-states-on/

 

foxnews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그래픽> 서민금융 지원체계 흐름도

 

 

 

 

그리드형

댓글()

[2014년 7월 15일 중동 플랜트사업 동향] 쿠웨이트 수전력부의 도하 담수공장 1단계 프로젝트 외

 

1.  쿠웨이트 KOC 로우어 파스 중유 생산처리시설 1단계 프로젝트


 

KOC가 발주하는 로우어 파스(Lower Fars) 중유 생산처리시설 1단계 프로젝트의 EPC입찰이 7 15일에 마감되었으며 정보원에 의하면 페트로팩CCC의 컨소시엄이 43.3억 불의 최저가로 응찰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하루 6만 배럴의 중유를 생산하기 위한 원유생산시설(CPF), 스팀주입시설, 지원시설(PSC), 저장탱크, 파이프라인 등을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에이멕이 FEED PMC를 맡고 있다. 비공식 입찰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찰결과: 1위 페트로팩과 CCC의 컨소시엄 43.3억 불(KD 1,221Mill.), 2SK건설과 대림산업의 컨소시엄 46.7억 불(KD 1,315Mill.), 3위 사이펨과 현대중공업의 컨소시엄 62.2억 불(KD 1,751Mill.), 4GS건설, 현대건설 및 도쌀의 컨소시엄 65.1억 불(KD 1,834Mill.)

 

2.  쿠웨이트 수전력부의 도하 담수공장 1단계 프로젝트

 

쿠웨이트의 수전력부(MEW)가 발주하는 도하 담수공장 1단계 프로젝트의 EPC PQ결과가 지난 7 13일에 발표되었다. 24개 팀이 PQ를 제출한 가운데 ▷두산중공업▷아베인사(스페인), ▷하이플럭스(싱가포르), GS이니마(스페인)/KCC(쿠웨이트) 컨소시엄, ▷미쯔비시중공업(일본)/도요엔지니어링(일본)/카라피 내쇼날(쿠웨이트)의 컨소시엄, OTV프랑스/알가님(쿠웨이트)의 컨소시엄, ▷카다구와(스페인)/M.A. 카라피(쿠웨이트)의 조인트벤처, ▷악시오나(스페인)/히타치조선(일본)의 컨소시엄, ▷드그레몽(프랑스)/현대건설 컨소시엄 등의 9개팀이 통과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5천만 갤론의 RO방식 담수공장을 도하에 건설하는 5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오는 7월 중으로 입찰서가 발급된다. 아울러, 2단계 담수공장 프로젝트의 입찰은 2015 6월에 실시될 예정이다

 

3.  UAE 아드마옵코의 나스르 해상유전개발 2단계 프로젝트 중 패키지 1


 

아드마옵코가 발주하는 나스르(Nasr) 해상유전개발 2단계 프로젝트 중 패키지 1번을 NPCC가 맥더모트, 현대중공업, 페트로팩, 사이펨 등의 경쟁을 제치고 7 159억 불의 수주에 성공하였다. 당초에는 맥더모트가 최저가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전력 시스템 가격을 적용하면서 NPCC가 최저가 업체로 바뀌었다.  패키지는 유정 플랫폼 7기와 해저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고, 다스 섬까지의 수출용 파이프라인을 보수하는 EPC사업으로 20196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4.  사우디 아람코의 셰일가스전 개발 프로젝트

 

아람코가 발주하는 셰일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의 FEED입찰에서 초기에는 월리파슨스의 수주가 유력하였으나, 이를 뒤엎고 지난 7 14포스터휠러가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사우디 아라비아 내 엠티 쿼터 사막, 동부의 남부 가와르(Ghawar), 북부의 자푸라(Jafurah) 사막의 3개 지역에서 셰일가스처리시설과 간접 및 동력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FEED 계약기간은 5년이며 약 100만 맨아워가 소요될 예정이다.

 

5.  오만 ORPIC의 리와 플라스틱 프로젝트

 

오만 정유 및 석유화학국영회사(ORPIC)는 리와(Liwa) 플라스틱 프로젝트(LPP)의 기술 도입과 관련, 아래의 5개 라이센서와 8천만 불 규모의 계약을 지난 7 14일에 체결하였다.

 

NGL추출: 랜달(Randall), 파이가스(PyGas) 공정: 악센스(Axens), MTBE: CB&I, 폴리에틸렌: 유니베이션(Univation), 폴리프로필렌: 바셀(Basell)

 

이 프로젝트는 에틸렌 계열의 석유화학 콤플렉스를 소하르에 건설하는 36억 불 규모의 대형 사업으로 CB&IFEED, 인도의 EIL PMC를 맡고 있으며 EPC입찰은 2015년 초에 실시될 예정이다.

 

6.  오만 샤르키야의 수르 담수공장 확장 프로젝트

 

오만의 샤르키야(Sharqiyah) 담수회사는 수르 담수공장을 일산 8만 입방미터로 확장하기 위한 물공급 변경 계약을 지난 7 14일 OPWP와체결하였다. 이로써 베올리아가 리더인 샤르키야 담수회사는 일산 5만 입방미터의 담수공장을 BOO방식으로 수행하게 된다.

 

(입력: 2014 7 15)

조성환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레미콘 이송관 수명 5배 늘어난다

 

 

저탄소강 코팅기술을 응용한 콘크리트 펌프차  재료연구소 제공

 

 

재료硏 연구팀, 콘크리트 이송관 수명연장 기술 개발

 

공사 현장에서 건물의 필수 재료인 콘크리트를 쏘아 올리는 펌프차. 이 차량에 들어가는 콘크리트 이송관을 국내 연구진이 새롭게 개발했다.

 

콘크리트 이송관의 국내 시장은 350억 원 규모이며, 세계적으로는 7억 달러(약 7200억 원) 이상이다.

 

남기석 재료연구소 표면기술연구본부 연구원팀은 수명은 5배 이상 늘이고 무게는 4분의 1로 줄인 신개념 콘크리트 이송관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용접이 쉬운 저탄소강 파이프 내면에 마모에 잘 견딜 수 있는 금속분말을 녹여 코팅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이송용 파이프를 만들었다. 이렇게 개발한 파이프는 강도가 높고, 무게도 기존 파이프보다 25% 이상 가벼워졌다.

 

남기석 박사는 “주로 수입에 의존하던 이송관의 수입 대체효과는 물론 해외 수출도 기대된다”며 “콘크리트 이송관 이외에도 다양한 펌프 및 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재료연은 이 기술을 국내 기업인 케이엠티에 이전했으며, 펌프카 제조사인 에버다임이 이 기술을 상용화 할 계획이다.

 

과학동아 전승민 기자 enhanced@donga.com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10대 몰락하는 직업들 The 10 Most Endangered Jobs

 

 

 

 

Endangered species
A new report today from CareerCast suggests paper is not where you want to be.

It’s a U.S. study, and Canada is different in many respects, of course, but here are the group’s 10 “most endangered” American jobs, based partly on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findings:

 

미국 캐리어캐스트가 2012~2022년까지의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를 대상으로 조사한 사항으로 여건이

다른 나라와는 다소 괴리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직업의 장기적인 추세는 알 수가 있다.

 

감소율이 큰 직업군은 무선네트워크, 인터넷 통신의 발달이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다.

 

.

 

1. Mail carrier:

우체부

2022년까지 22% 감소가 예상됨

인터넷 통신의 발달이 가장 큰 원인

The hiring outlook for this group suggests a 28-per-cent decline by 2022.

(We’re already seeing some of this in Canada with the phased-in end of door-to-door delivery.)

 

2. Farmer:

농부

2022년까지 19% 감소

Not a paper-based profession, but a 19-per-cent drop in the hiring outlook, nonetheless, given the change in technology.

 

3. Meter reader:

검침원

2022년까지 19% 감소

Again, no paper here, but technology suggests a decline of 19 per cent.

 

 

4. Newspaper reporter:

신문기자

2022년까지 13% 감소, 이제는 무선네트워크시대

The 13-per-cent drop in the hiring outlook obviously isn’t tops on my list, but I’ve added the italics for emphasis. And, anyway, you’re reading this on a PC or wireless device.

 

5. Travel agent:

여행사

2022년까지 12% 감소

Well, if you’re a mail carrier, farmer, meter reader or newspaper reporter, you’re probably not heading off anywhere expensive, and, thus, the projected 12-per-cent decline.

 

6. Lumberjack:

벌목공

2022년까지 9% 감소

This is Canada, and we’re hewers of wood. So, too, are the Americans, but the hiring outlook suggests a dip of 9 per cent.

 

 

7. Flight attendant:

비행기 승무원

2022년까지 7% 감소

저가 항공이 승무원의 고용에 큰 영향을 준다

See “travel agent,” and you’ll get the 7-per-cent dip.

 

8. Drill-press operator:

천공기사

2022년까지 6% 감소

The “press” part doesn’t mean paper, but expect a 6-per-cent decline anyway.

 

9. Printing worker:

인쇄공

2022년까지 5% 감소

See “mail carrier,” “newspaper reporter” and “lumberjack.” The hiring outlook calls for a decline of 5 per cent.

 

10. Tax examiner and collector:

세무 조사원

2022년까지 4% 감소

This is Canada, the land of milk and taxes, so the projected 4-per-cent drop couldn’t possibly apply here.

 

theglobeandmail

 

Arts & Culture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한국 이민자가 미국에서 망하는 이유

 

 

legalregulationreview

 

 

행동경제학으로 노벨상을 받은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은 저서 [생각에 관한 생각](Thinking, Fast and Slow) 에서, 큰 결정을 내리기 전, 사전검시(死前檢屍, pre-mortem)를 해보라고 조언합니다.

 

즉, “결단을 내린 지 1년 후 이 결단은 실패로 끝나고 만다.

 

왜, 어떤 경과로 실패했는지 구체적으로 적으시오”라는 예시를 풀어, 미리 실패하는 상상을 해보는 것이죠. 인간은 희망적으로 생각하려는 경향이 큽니다. 그래서 구체적으로 실패하는 그림을 그려보지 않으면 위험과 보상을 현실적으로 반영하는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기 힘듭니다.

 

미국에 살다 보니 이민을 생각하시는 분들의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카너먼이 들려준 조언은 이민같이 인생 전체를 뒤바꾸는 큰 결정에 특히 적합해 보입니다.

 

하지만 아직 걸어보지 않은 길이 어떻게 꼬이는지 구체적으로 상상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먼저 이민생활을 해왔고, 또 주변에 많은 이민자를 봐온 경험을 통해 미국 이민이 망하는 구체적인 모양새를 몇 가지 그려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체류 신분 때문에 망합니다

놀라울 정도로 허술한 법적 절차를 통해 미국에 이민을 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테면 단기 취업비자로 가족을 전부 데리고 오신 후에 막연히 ‘어떻게 연결이 되겠지’ 하시다가 순식간에 불법체류자가 된다거나, 학생비자로 일단 건너온 다음에 최대한 연장해서 계시다 결국 반강제로 귀국하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하다못해 ‘참 확실하다!’ 보이는 이민도 사기인 것이 들통 나 체류신분이 불분명해지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이런 상황은 법적으로도 매우 위험하고, 이민목적 달성도 순식간에 파탄 나는 최악의 결과입니다. 체류 신분을 확실하게 하는 것은 이민의 기본 중 기본입니다. 법적인 분야에서는 절대 돈을 아끼려고 하시면 안 됩니다. 확실한 평판이 있는 이민 변호사를 고용하고, 모든 과정은 기록해놓고, 또 앞서 이민 오신 분들께 이렇게 이민 온 전례가 있는가 확인해야 합니다.

 

둘째: 돈 때문에 망합니다

아주 시골로 가지 않는 이상 미국 물가는 한국보다 비쌉니다. 소위 ‘억대 연봉’도 미국에선 고작 1년에 9만 달러를 버는 보통 중산층에 불과합니다.

 

미국의 한인 사회는 아주 작아서, 한인 사회만을 상대로 하는 사업의 확장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주류 미국회사에서 일할 수 있는 능력과 영어 실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미국에서 먹고 살 거리를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미국에서 사업하다 망할 확률은, 한국에서 편의점이나 치킨집을 냈다가 망할 확률과 별반 다를 게 없고, 그 결과가 참혹한 것도 똑같습니다.

 

게다가 이민자의 비즈니스란 대개 주인의 노동력을 땔감 삼아 돌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본인뿐 아니라 배우자, 자녀들까지 나서서 계산대를 붙들고, 식탁을 치우고, 짐을 나르고, 손님과 실랑이를 해야 합니다. 운 좋게 사업이 성공하더라도 고된 삶은 거의 불가피합니다.

 

이 때문에 한국을 떠나시기 전, 무엇으로 먹고살 것이고, 벌이는 얼마나 될 것이며, 이것을 얼마나 지속할 것이고, 주요 지출을 얼마나 할 것이며, 얼마간 육체노동을 견딜 수 있는가 등에 대한 청사진을 구체적으로 구상하시고 오셔야 합니다.

 

셋째: 미국 사회 자체의 모순 때문에 망합니다

인간 사회 어디나 마찬가지로 미국은 장단점이 혼재하며, 미국사회의 단점은 어마어마합니다. 양극화가 심화하여 중산층은 붕괴하여가고, 공교육은 파멸한 지 오래이며, 빈약한 총기규제 때문에 강력범죄가 만연하고, 사회보장 서비스는 거의 없습니다.

 

미국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들도 ‘이 나라에 희망은 있는가’라는, 한국인들이 흔히 하는 질문을 자문하는 중입니다. 이민자들에게 미국사회의 이러한 단점은 가일층 증폭된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면, 한국의 교육에 실망이 너무 큰 나머지 미국 공교육이 얼마나 바닥을 쳤는가에 대한 인식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균 미국 고등학생은 한국의 중2 과정도 소화하지 못하며, 대다수의 미국 대학은 신입생들에게 고등학교 과정을 재수강시킬 정도입니다.

 

게다가 대학 등록금은 눈물이 쑥 나오도록 비싸며, 대학 혹은 심지어 대학원을 나와도 최근에 경제위기를 겪은 미국에서 취직은 쉽지 않아, 엄청난 학자금 대부를 끌어안고 전전해야 합니다.

 

이민 오시기 전, 이러한 미국사회의 크나큰 단점들을 하나씩 생생하게 직시하셔야 합니다. 미국이란 사회는 어떤 곳이며, 본인 같은 사람은 그 사회의 어떠한 계층에 들어가는가, 그 계층은 미국의 단점에 어떻게 노출되어 있으며, 앞으로 전망은 어떠한가에 대한 고찰이 있어야합니다.

 

넷째: 이민자라서 망합니다

세계 대부분 나라에 비하면 미국은 이민자에 환영하는 편이고, 차별도 적습니다. 그러나 이건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이야기입니다.

 

그 나라의 언어에 미숙하고 문화적으로 동화가 안 되는 사람들의 사회적 위치가 어떤지는 자명합니다. 인종차별은 아직도 암암리에 현존하고, 이민자들은 언제나 각종 범죄의 목표가 되며, 법의 구제는 언어장벽이나 비싼 변호사 비용에 막혀버립니다. 대형 사기 한 번에 망할 수도 있고, 자잘한 차별 때문에 멀쩡히 풀려야 할 일도 실패할 수 있습니다.

 

설령 성공적인 이민이라 해도 그 성공의 최대치는 높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민 1세대는 언어와 문화 장벽 때문에 아무리 잘 풀려도 소시민 이상을 넘볼 수 없습니다.

 

사업 혹은 직장에서 돈을 벌어 조금 더 널찍한 환경에서 조금 더 좋은 자동차를 굴리는 수준이 삶의 전부일 수 있습니다. 각종 사회단체 참여, 기고 혹은 시민 정치활동을 통해 본인이 사는 사회의 방향을 정하는데 참여할 방도는 많지 않습니다.

 

이렇게 살면서 인생의 시야는 아주 좁아져, 직장과 교회만 왔다갔다하면서 자신이 사는 사회와는 정신적으로 유리됩니다. 자신의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미국 소식을 보고 들을 능력은 없고, 이제 살고 있지도 않는 한국 소식만 붙들고 늘어지게 됩니다. 이런 삶도 괜찮은지 깊이 생각하셔야 합니다.

 

다섯째: 가정생활이 망합니다

위에 예시한 모든 문제는 크건 작건 모든 이민 가정이 한 번쯤은 겪는 일들입니다. 이런 문제는 한 번 터질 때마다 가족의 가장 약한 연결고리를 파고듭니다.

 

타지에 살면 속을 터놓을 만한 친지나 친구도 주변에 많지 않아, 한국에서라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었던 갈등도 곪아들다가 결국 터지기도 합니다.

 

부부가 매일 심하게 싸울 수도 있고, 자녀가 탈선할 수도 있습니다. 어지간히 결속력이 강한 가족도 이민생활의 스트레스를 갈등 없이 넘기는 경우는 없다시피 하고, 많은 수의 가정은 결국 견디지 못하고 무너져 내립니다.

 

본인의 가정이 이런 풍파를 견딜 수 있는지, 가족 구성원 사이에 나중에 쪼개져 버릴 수 있는 작은 금이 가 있지는 않은지 살펴보셔야 합니다.

 

심지어 성공한 이민생활에서도 가정은 해체될 수 있습니다. 이민이란 다른 나라에서 다른 언어로 다른 문화에 동화되어 사는 것이란 사실을 잊으면 안 됩니다.

 

이민 1세대는 어느 정도 본국의 언어와 문화에 교감을 유지하지만, 2세대에서 그 교감은 아주 옅어지며 3세대 이후에는 거의 남지 않습니다. 2세대로만 내려가도, 설령 한인 교포 2세끼리 가정을 꾸린 경우에도 그들의 가정생활은 한국 음식을 자주 먹는 보통 미국 가정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런 식으로 자녀들은 점점 부모들과 멀어집니다.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유년을 보낸 자녀들은 부모를 한국문화에 갇혀버린 고루한 사람들이라 치부할 수도 있고, 설령 부모와 속 깊은 얘기를 하려 해도 그만한 한국어 실력를 유지하지 못합니다.

 

미국은 땅덩이도 넓어서, 예를 들어 부모는 동부, 자식이 서부에 사는 경우 1년에 두 번 얼굴 보면 자주 보는 경우입니다. 교류가 뜸해지면서 자식과 남이 될 확률은 꽤 높고, 손주와 의사소통도 못 할 확률은 거의 100퍼센트입니다.

 

여기까지 읽으시면 좀 암울한 느낌이 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카너먼의 조언대로, 이민을 생각하셨다면 장밋빛 미래를 그리면서 시작하지, 망하는 시나리오를 상상하며 시작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민은 인생의 모든 것을 뒤바꾸는, 삶의 가장 큰 결정 중 하나입니다. 성공한 이민도 많지만 망하는 이민이 많은 것이 엄연한 현실입니다. 이 글이 그런 현실을 차분히 고려하시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출처 : http://slownews.kr/15083

 

Arts & Culture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게으름 권하는 사회? [김영환]

 

www.freecolumn.co.kr

게으름 권하는 사회?

2014.07.16


10년도 더 전부터 ‘느림의 미학’이라는 말이 유행했습니다. 정신없이 돌아가는 세상에서 심신을 재충전할 수 있게 좀 천천히 살자는 세태를 반영한 듯합니다. 그것이 진화하여 요즘에는 여기저기서 ‘힐링’, ‘슬로시티’가 식상할 정도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비행기나 차를 오래 타고 떼를 지어 찾아가는 슬로시티는 탄소 마일리지를 높여 환경 파괴에 일조하는 일이니 별로 권장할 일이 아니라고 봅니다, 멀리 갈 것 없이 주말에 경인운하 아라뱃길(정동진로)을 자동차로 달리다 보면 한가로운 편도 1차선 10여 킬로미터의 운하 옆 잔디에 군데군데 울긋불긋한 텐트를 치고 아라벳길을 정원 삼아 야영하는 풍경이 부쩍 늘어난 게 드러납니다. 부럽기도 해서 아내에게 “나도 텐트 하나 살까”하면 펄쩍 뛰며 “캠핑카는 못 사지?”하며 비꼽니다. 최근 아파트에 캠핑카 한 대가 서 있는 게 꽤나 부러운 모양입니다. 안을 들여다보고 빌려도 주느냐고 물었더니 “자가용”이라고 했답니다.

슬로시티를 찾는 게 팔자 좋은 사람들만의 여유는 아니지만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늘 부지런한 ‘패스트시티 주민’들의 덕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동대문이나 남대문시장의 상인들은 별을 보고 움직이니 전국에서 물건을 떼러 상인들이 밀려옵니다. 입에 냄새가 나고 발에 불이 붙도록 이리 뛰고 저리 뛰며 밤 새워 일하는 여러 종합병원 응급실의 의료진들도 마찬가지죠.

며칠 전에 대형 할인점 ‘코스트코’에 갔습니다. 8시부터 영업하는 줄 알았는데 4월부터 10시로 늦춰졌다는 안내였습니다. 이 회사는 2012년 가을 초대형마트(SSM)의 영업제한 조례에 맞서 규제할 법이 없다며 영업을 강행하며 맞서다가 결국 법과 조례가 바뀌면서 정기 휴무를 도입하고 개점시간도 늦추게 되었습니다.

SSM규제는 영세상과 상생 발전을 도모한다는 취지지만 먹이를 일찍 찾아야 하는 ‘얼리 버드’들은 어떻게 하라는 건지 대책이 안 보입니다. 더욱이 ‘코스트코’는 최종 소비자 고객만이 아니라 코스트코에서 파는 물건을 뗴러 오는 상인들도 기업회원이 되어 많이 찾죠.

얼마 전 서울역을 지나다가 16만8,000원 가격이 붙은 구두를 대폭 할인한 7만6,000원인가에 한 켤레 샀습니다, 굽이 바깥쪽으로 너무 닳아 발목을 접질릴 것 같아 한 6년 신은 구두를 벗어 던진 것이죠.  마트 본점의 문은 닫혀 있었는데 밖에서 구두를 팔고 있었습니다.  여행에는 신발이 중요하니까요. 놀랍게도 마트 개점시간은 오전 11시라니 해가 중천에 떠야 열린다는 이야기입니다 새벽부터 각종 열차를 타고 길 떠나는 사람들이 편리할 까닭이 없죠. 이런 최고의 상권에서 누가 11시부터 영업하고 싶겠습니까?

사회는 언제나 굴러가야 하니 장을 일찍 볼 사람은 서두를 수 있게 해줘야 합니다. 어떤 사람이 새벽에 어떤 물건이 화급한지를 박원순 서울시장이 알겠습니까, 요즘 살인교사 혐의로 경악의 초점인 김형식 서울시 시의원이 알겠습니까? 대형점이 개점 시간을 늦춘다고 영세상들이 가게 문을 일찍 여는 것도 아니고 대형점이 늦게 열면 기다려서 산다는 사람도 있는 판에 굳이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지, ‘영업시간 단축으로 일요일은 생지옥’이라는 아우성이 일고 있는데 규제 실적을 자랑하고 싶은 행정편의주의 발상이 아닌가 비난하고 싶은 사람도 많을 것입니다.  아니라면 영업시간 단축으로 인한 구매자의 불편을 딛고 골목상권이 얼마나 살아났는지 매출액 증가를 수치로 제시해야 할 것입니다.

악평등이라고 볼 수 있는 기계적인 사고가 한국경제를 질척거리게 하고 발전을 가로막는 원인의 하나가 아닌지 걱정됩니다. 입으로는 서민경제를 되뇌고 민생을 외치지만 그 해법과는 거리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24시간을 목표로 잘 돌아가는 사회는 교대할 인력이 더 필요해 직원을 더 뽑아 실업률을 떨어트리는 효과가 있죠. 영업시간은 억지로 짜맞출 게 아니라 영세 상인들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도와줘야죠.

마치 엘레나 이신바예바 같은 정상급 장대높이뛰기 선수에게 '너는 너무 높이 뛰니까 연습장에 일찍 오면 안돼'라고 강요하는 꼴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떠오릅니다. 고객이 구입한 물건에 불만이면 무조건 환불해주는 이 코스트코는 직전 회계연도 매출이 2.5조원을 넘었고 1년 순익이 1,000억원을 넘은 지는 여러 해가 될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잘 나가는 회사는 조금이라도 ‘배 아파할 게’ 아니라 철저히 ‘벤치마킹’해야죠. 우리나라 기업도 그렇게 글로벌 유통 기업으로 키울 생각을 해야지 억누른다고 낙후한 우리 유통업이 해결될 리는 없습니다.

그날도 경인고속도로 끝에서 영등포구 양평동 매장으로 이동하는데 20분 가까이 걸렸습니다.  돈을 갖다 바치려고 꼬리에 꼬리를 물며 차량들이 늘 줄을 길게 서는 것이죠. ‘얼마라도 싸니까.’ 모이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날 우리 부부는 호주산 쇠고기를 좀 많이 사는 바람에 39만원을 썼습니다. '재화와 용역의 공급 속도를 높여라.' 대형 병원의 MRI 같은 초고가 기계건, 혹은 상품이건, 사람의 생각이건, 유통 속도를 높이는 것이 경제발전의 지름길이 아닐까? 마트를 나오면서 생각했습니다.

필자소개

김영환

한국일보, 서울경제 근무. 동유럽 민주화 혁명기에 파리특파원. 과학부, 뉴미디어부, 인터넷부 부장등 역임. 우리사회의 개량이 글쓰기의 큰 목표. 편역서 '순교자의 꽃들.현 자유기고가.

박대문의 야생초사랑

왜솜다리 (국화과) Leontopodium japonicum

한여름 삼복더위에 비 오듯 땀을 흘리며 설악의 귀때기청봉 너덜길을 지나 대승령 오르는 바위길 목에서 만난 왜솜다리입니다. 한국 자생 에델바이스(Edelweiss)라고도 합니다. 한계령 삼거리에서 대청봉 반대방향인 이 길은 칼날 같은 바윗돌이 제멋대로 들쭉날쭉 솟아올라 등산로도 이어지지 않아 밧줄로 방향을 표시할 수밖에 없는 지루한 귀때기청봉 너덜길을 지나야 합니다.

필자소개

박대문

환경부에서 공직생활을 하는 동안 과장, 국장, 청와대 환경비서관을 역임했다.
우리꽃 자생지 탐사와 사진 촬영을 취미로 삼고 있으며,
시집 『꽃벌판 저 너머로』, 『꽃 사진 한 장』, 『꽃 따라 구름 따라』가 있다.

Copyright ⓒ 2006 자유칼럼그룹.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freecolumn.co.kr

 

그리드형

댓글()

서울시, ‘가로주택정비사업’ 지원 강화한다

 

 

[가로주택정비사업]

대규모 정비방식에서 소규모 정비방식으로, 자본중심에서 주민주도의 정비사업으로 주거지 정비정책을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는 그동안 가구형 정비사업, 블록형 정비사업 등으로 제안되었던 방식으로 기존의 단독주택재건축사업 대상지였던 구획정리사업지역이나 다가구·다세대 밀집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다. 가로주택 정비사업은 이미 고밀화된 단독주택지에서 개발밀도를 확보하면서도 기존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그 잠재력이 부각되고 있다

 

재개발 가로주택정비사업 비교표

http://blog.daum.net/ljk0803/7207487

kcontents

 

 

‘12년 뉴타운·재개발 대안사업으로 도입된 ‘가로주택정비사업’ 획기적 지원방안
 주민 스스로 추정분담금 산정 어렵고 주택 미분양 우려로 사업추진 부진
 ① 기존 공공관리제도 소규모 가로주택정비사업에 맞게 준용해 적용
  → 자치구청장이 개략계획수립, 분담금 등 산정·제공해 조합설립 지원
  → 전문성 있는 건설업자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시 조합설립 후 바로 시공자 선정
  → 조합 운영자금(최대 20억, 4.5%)+ 건축공사비 최대 30억, 2% 저리 융자 지원
 ② 전용 85㎡이하 미분양 주택 공공 임대주택으로 매입...사업 불확실성 해소
 ③ 사업관리 및 공동시행자로 SH공사 참여 추진...자금조달 능력·전문성 보완
 ④ 25개 자치구 업무 전담부서 지정 및 업무처리 매뉴얼 길라잡이 배포
 시, “가로주택정비사업 행·재정적 지원으로 소규모 정비사업 확산 기대”

 

서울시가 대규모로 철거하지 않고도 노후주택을 정비하는 뉴타운·재개발 대안사업 중 하나인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활성화하는 내용의 획기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기존 저층주거지의 도시 조직 및 가로망은 유지하면서 노후불량주거지에 최고 7층까지 공동주택을 신축할 수 있는 소규모 정비사업이다. ‘12년 2월「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개정과 함께 도입됐다.

 

사업대상 지역은 도시계획시설 도로로 둘러싸인 면적 1만㎡ 이하의 가로구역 중 노후․불량건축물의 수가 전체 건축물의 3분의 2이상이고 해당 구역에 있는 주택의 수가 20세대 이상이면 가능하다.

 

예컨대, 주민 스스로 계획수립 및 추정분담금 산정 등이 어렵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토지등소유자 10% 이상의 요청이 있을 경우 자치구청장이 개략적인 계획수립과 사업비 및 추정 분담금을 산정·제공해 주민들이 사업추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기존 조합 운영자금(최대 20억, 4.5%) 융자 지원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건축공사비도 전체 40%이내 범위에서 최대 30억까지 2% 저리로 새롭게 융자 지원한다.

 

건립된 주택 중 미분양된 전용 85㎡ 이하 주택은 시가 매입해 공공 임대주택으로 활용, 미분양 우려를 해소한다.

 

서울시는 소규모 정비사업 추진 전반에 걸쳐 공공이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4대 공공지원책을 시행, 사업추진 실적이 부진한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활성화 하겠다고 16일(수) 밝혔다.


4대 공공지원책은 ▴조합설립·융자지원 등 공공관리제도 적용 ▴미분양주택 공공 임대주택 매입 ▴사업관리 및 공동시행자로 SH공사 참여 추진 ▴25개 자치구 업무 전담부서 지정 및 업무처리 매뉴얼 배포다.


 

<공공관리제도 적용, 자치구청장이 분담금 등 산정·제공해 조합설립 지원>
첫째, 기존 뉴타운·재개발 정비사업에 적용하는 공공관리제도를 소규모 정비사업인 가로주택정비사업에 맞게 준용한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기존에도 공공관리제도 적용 대상이었지만, 대부분 대규모 정비사업에 맞춰져 있어 실제 적용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추진위원회 구성없이 바로 조합설립인가 절차가 진행되는 점을 고려해, 기존 추진위 구성에서 지원하는 내용을 조합설립 구성에서 지원한다.

 

토지등소유자 10% 이상의 요청이 있을 경우 자치구청장이 개략적인 계획수립과 사업비 및 추정 분담금을 산정·제공, 주민들이 이를 토대로 사업추진 여부를 결정해 조합을 설립하는 방식이다. 

 

<전문성 있는 건설업자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시 조합설립 후 바로 시공자 선정>
또, 대부분 조합원(토지등소유자)이 100명 이하인 점을 감안해 시작단계부터 전문성이 있는 건설업자 등이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할 경우, 조합설립 후 바로 시공자를 선정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 공공관리제도는 사업시행인가 이후에 경쟁입찰로 시공자를 선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가로주택정비사업은 규모가 작아 현실성에 맞는 예외 사항을 두는 것이다.

 

이때, 시공자 선정 방식은 정관에 따라 경쟁입찰이나 지명경쟁, 수의계약 등 조합원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시는 조합의 부족한 전문성과 건설회사의 책임성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도정법 >
제11조(시공자의 선정 등) ① 조합은 제16조에 따른 조합설립인가를 받은 후 조합총회에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경쟁입찰의 방법으로 건설업자 또는 등록사업자를 시공자로 선정하여야 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하의 정비사업의 경우에는 조합총회에서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선정할 수 있다.


< 도정법시행령 >
제19조의2(시공자의 선정) ① 법 제11조제1항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하의 정비사업"이란 조합원이 100명 이하인 정비사업을 말한다.


또, 기존의 공공관리제도에서 조합에 운영자금을 융자하던 대로 지원하고, 건축공사비는 전체 공사 40%이내 범위에서 최대 30억 2% 저리로 융자한다.

 

<② 전용 85㎡이하 미분양 주택 시가 공공 임대주택으로 매입...사업 불확실성 해소>
둘째, 서울시는 가로주택정비사업으로 건립된 주택 중 전용 85㎡이하 주택이 미분양될 경우, 이를 매입해 공공 임대주택으로 활용한다.
 

서울시는 그 동안『공공주택 건설 등에 관한 특별법』제43조(시행자의 기존주택 매입)에 따라 다가구·다세대, 아파트를 제외한 전용 85㎡ 이하 공동주택을 매입해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정 및 저소득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공급해 왔으나, 아파트 중 가로주택정비사업으로 건립되는 전용 85㎡ 이하의 공동주택을 포함해 매입키로 했다.

 

서울시는 지속적인 임대주택 물량 확보가 가능하고, 사업시행자는 미분양에 따른 사업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어 사업추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③ 사업관리 및 공동시행자로 SH공사 참여 추진...자금조달 능력·전문성 보완>
셋째, 서울시는 자금조달 능력과 전문성 부족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가로주택정비사업에 SH공사를 사업관리나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시키는 방안도 추진한다.

 

<④ 25개 자치구 업무 전담부서 지정 및 업무처리 매뉴얼 길라잡이 배포>
넷째, 서울시는 원활한 가로주택정비사업의 행정적 지원을 위해 25개 자치구에 전담부서를 지정하고, 업무처리의 혼선을 막기 위해 ‘가로주택정비사업 길라잡이’를 마련해 자치구에 배포했다.

 

진희선 서울시 주거재생정책관은 “가로주택정비사업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방안 마련으로 시민들의 이해를 돕고 소규모 정비사업의 확산 및 안정적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주민, 전문가 등 관련자 의견을 수렴해 뉴타운 대안사업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소규모 정비사업 활성화 4대 공공지원책.hwp (32256 Bytes)
서울시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한국철도시설공단,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공사(T/K) 실시설계 적격심의 위원 선정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공사(T/K) 노선도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공사]

국내 최초의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공사를 놓고 GS건설과 대림산업이 맞붙는다
추정금액이 2221억원이며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로 설계 대가격비중이 7대 3인 가중치기준 방
식으로 실시설계 적격자를 선정한다. 철도공단은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사업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되도록 지역업체와 중소기업 참여입찰자에 대한 가점제를 적용한다. goodmorningcc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공사(T/K) 실시설계 적격심의 위원 명단

한국철도시설공단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공사(T/K) 실시설계 적격심의 위원을 첨부와 같이 선정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심의위원_선정(공개).hwp

한국철도시설공단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