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엔지니어링, 레뚜이 도화 태양광발전소 건설공사 수주/ 인창개발-현대건설 컨소시엄, 1조원대 CJ제일제당 가양동 부지 매각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도화엔지니어링, 레뚜이 도화 태양광발전소 건설공사 수주

458.2억원 규모

    12월 06일 도화엔지니어링(002150)은 수주공시를 발표했다.

도화엔지니어링(002150)은 레뚜이 도화 태양광발전소 건설공사에 관한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을 06일에 공시했다.

계약 상대방은 (유)도화그린에너지(DOHWA GREEN ENERGY Co.,Ltd)이고, 계약금액은 458.2억원 규모로 최근 도화엔지니어링 매출액 4,024.7억원 대비 약 11.39% 수준이다. 이번 계약의 기간은 2019년 12월 06일 부터 2020년 11월 30일까지로 약 11개월이다.
한국경제



CJ제일제당, 가양동 부지 매각대상자 인창개발-현대건설 컨소시엄 선정

   CJ제일제당(097950)은 서울 가양동 부지 매각 입찰에서 인창개발-현대건설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6일 공시했다. 우선협상 기간은 이행보증금 납입 일부터 12월 27일 또는 매매 계약이 체결되는 날까지다. 매각 대금은 1조원 안팎으로 전망된다.

CJ 서울 가양동 부지/헤럴드경제
edited by kcontents



CJ제일제당 가양동 부지 규모는 10만5762㎡(약 31993평)에 달하지만 준공업 지역이기 때문에 전체 면적의 약 50%만 주택을 지어 분양할 수 있다. 시공사는 현대건설로 예정됐다. 인창개발은 부동산 개발업체로 주로 경기 지역에서 사업을 펼쳤다. 지난해 매출 4800억원, 영업이익 400억원을 기록했다.
박용선 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

누구를 위한 종합부동산세 인상인가


김인만 부동산연구소 소장

    문재인 정부의 핵심 부동산규제대책인 종합부동산세 강화가 드디어 현실이 됐다. 종합부동산세 납세의무자는 59만5000명으로 작년에 비해 12만9000명(27.7%)가 늘어났고 세액은 3조3471억원으로 1조2323억원(58.3%)가 늘어났다. 도대체 종합부동산세 대상과 세액은 왜 이렇게 늘어났을까?


종합부동산세는 건물 외 토지(분리과세 토지는 과세되지 않음)와 고가주택에 대해서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산정해 12월에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다. 한번만 내는 취득세, 양도세와 달리 종합부동산세는 재산세와 함께 매년 빠짐없이 부과가 되기 때문에 매우 부담스럽고 조세저항도 큰 세금이다.



종합부동산세 계산방법은 매년 6월 1일자 기준으로 주택의 공시가격을 한산한 금액에 6억원(1세대 1주택 9억원)을 공제한 후 법령이 정한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한 금액이 과세표준이 된다. 이렇게 나온 과세표준에 종합부동산세율을 곱한 후 재산세 공제와 세액공제까지 해주면 최종 종합부동산세액이 나온다.

종합부동산세를 결정하는 변수는 공시가격과 공정시장가액비율, 종합부동산세율이다. 정부는 집값을 잡겠다는 명분으로 종합부동산세를 결정하는 변수들을 강화시켰다. 공시가격을 상향조정했고,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올해는 그나마 5%p 오른 85%이지만 내년에는 90%, 2020년에는 100%까지 오른다. 일반세율도 올렸고 3주택 이상 또는 조정대상지역 2주택은 중과세가 적용된다. 여기에 전년도 대비 1.5배인 세부담상한을 3주택 이상은 3배, 조정대상지역 2주택은 2배까지 늘려 종합부동산세 부담을 극대화 시켰다.



양도세 중과와 함께 종합부동산세 강화는 보유 주택 수를 늘리기에 부담이 커진 시장수요자들은 이른바 똘똘한 한 채 가지기로 왜곡인지를 했고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로 인한 서울 새 아파트 공급감소 우려와 맞물리면서 서울아파트 가격은 폭등하고 있다. 또 종합부동산세가 부담스러운 분들의 퇴로를 양도세를 강화로 막으니 임대사업자 등록을 통한 합산배제를 선택하면서 최대 8년의 의무보유기간 동안 매물은 잠기게 됐다.

MSN.com
edited by kcontents

외국의 사례에서도 그렇듯이 보유세를 강화하면 거래세는 낮추어 주는 것이 원칙이지만 정부는 보유세와 거래세를 강화하는 닥치고 규제를 선택했고 서울 아파트 가격은 더 오르고 있다. 상황이 이 정도되니 집값 잡기는 명분이고 세수증대가 목적 아닐까 하는 말도 안 되는 생각까지 든다. 그나마 부동산규제로 거둬들인 막대한 세금을 공공임대아파트 공급 등 부동산시장을 위해 사용해주었으면 좋겠지만 그냥 바램으로 끝날 것 같다.



집주인들은 커진 세부담을 일정부분 보증금 인상을 통해 세입자들에게 전가시키면서 버틸 것이다. 세금이 아깝지만 집값이 떨어지지 않는 한 굳이 팔 생각을 하지 않을 테니까 결국 종합부동산세 게임의 승자는 재정곳간을 채우는 정부인 것 같다.
서울파이낸스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

선글라스 색의 탁월한 선택은?



자외선 차단 효과 가장 큰 선글라스 색은 ‘갈색’

     선글라스를 구입할 때 가장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바로 렌즈의 색깔이다.

Lulus
edited by kcontents

햇빛이 강한 해변에서 분홍색 렌즈 선글라스를 끼면 눈이 자외선에 무방비로 노출된다. 자외선 차단기능이 검은색 렌즈의 30% 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이다. 해변에서는 갈색 렌즈가 좋다. 갈색은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 기능이 가장 높다.



렌즈 색의 짙기도 중요하다. 완전히 진한 색보다는 다른 사람이 바로 앞에서 봤을 때 눈동자가 보일 정도가 좋다. 짙은 색의 선글라스를 착용하면 동공이 커져 자외선을 많이 흡수하게 된다.

자료: 대구산업정보대학 안경학과 성덕용교수·ZIO 안경점

서울 이안안과 임찬영 원장은“사용목적과 얼굴형에 맞지 않는 선글라스는 심각한 눈 질환까지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 심재훈 헬스조선 기자 jhsim@chosun.com
/ 배지영 헬스조선 인턴기자 o1soleil@naver.com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

[그때 그 시절] 우리나라 최초의 황금 업종은?



우리나라 최초의 대박 업종, 건설 업종
이종우 리서치 센터장

     건설업은 우리 주식시장에서 최초 대박 산업이었다. 1970년대 중동 건설 붐이 한창일 때 종목별로 20배 넘는 상승을 기록하기도 했다.


건설은 토목, 건축, 플랜트로 나눠진다. 토목은 도로, 철도를 만드는 것이며, 건축은 아파트, 주택 등을 짓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플랜트는 유전 설비 등 화합물 설비를 만드는 것이다.

발주자에 따라 공공과 민간으로, 판매지역에 따라 국내와 해외 건설로 분류된다. 국내 건설업은 성숙기에 접어들어 해외시장 개척이 건설업 성장의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건설업은 동네에 조그만 기업에서 대형 건설사까지 6만 개 이상의 업체가 난립하고 있어 하청-재하청이 일상화되는 등 경쟁 강도가 세다.

건설은 조선과 함께 대표적인 수주산업이다. 먼저 짓고 나중에 돈을 회수하는 형태여서 그만큼 금융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사업의 규모가 클 뿐 아니라 기간도 장기여서 자금 흐름이 항상 불안해질 수 있다. 자금계획에 차질이 생길 경우 회사 존립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으므로 투자 시 기업 내용을 살펴보는 게 중요하다.


건설업은 입찰에 참여하면서 사업이 시작된다. 낙찰을 받기 위해 건설사들이 낮은 공사 가격을 제시해야 하는데 가끔 원가에도 못 미치는 가격을 써내 손실을 입기도 한다. 



일례로 2010년에 약 12만원이었던 ㅇㅇ건설사의 주가가 2013년에는 3~4만 원까지 하락할 정도로 크게 하락한 적이 있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중동에서 수주한 공사가 지나치게 저가였거나 공정에 문제가 생겨 자금 회수가 늦어진 것이 주가하락의 원인으로 풀이된다.

정부 정책이 건설업 수익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부가 도로 건설 발주를 늘릴 경우 건설사들의 사업 기회가 많아진다. 발주가 늘어날 경우 경쟁이 줄어들어 수익성 있는 공사를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민간사업 발주와 관련해서는 낙찰률과 주택 미분양률이 중요하다. 100억의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되는 공사를 110억에 낙찰받았다면 낙찰률이 110%가 된다.




낙찰률이 높을수록 수익이 커질 수 있으므로 투자 전에 해당 회사의 낙찰률을 잘 살펴봐야 한다. 주택 미분양률은 건설 중이거나 건설이 끝난 주택 중 팔리지 않은 건수가 얼마큼 되느냐로 계산한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돈을 회수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져 금융비용 등 부대비용이 늘어난다.

비용 중에서는 금리가 중요하다. 건설업 부채비율은 다른 업종의 2배 가까이 된다. 사업구조가 차입에 의존하는 만큼 금리 변화에 따른 이익 변동이 심해지는데 최근 저금리로 사업에 도움을 받고 있다.

국내 건설은 분양가 규제와 도시 정비 위주의 분양으로 수주 둔화가 예상된다. 2019년 하반기가 건설 경기의 정점이 될 가능성이 높아 이후 건설사들은 해외 수주로 활로를 찾으려 할 것이다. 



해외 부문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아직은 국내보다 작지만 시장 규모가 커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지금까지는 2010~2012년에 수주했던 저수익 공사들의 영향으로 주가가 하락했지만 이런 관행이 사라지면서 해외공사의 수익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별로는 중동지역이 해외 공사의 핵심이다. 석유화학 공장 등 많은 발주가 예상되고 있다. 해당 지역에서 저가 공사가 사라지면서 수익성이 개선됐지만 수주 성공률이 낮아지는 상반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해외공사 특히 중동 쪽 공사는 유가에 따른 변동이 심하다. 2014년 이전 고유가 시대에는 수주 규모가 600억 달러를 넘었지만, 유가가 낮아진 후에는 수주 규모가 절반으로 줄었다. 



건설업 주가는 실적보다 수주에 의해 결정된다. 수주를 따내고 시간이 지나야 그에 따른 수익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토목과 주택건설 중 주택건설의 사이클이 크다. 최근에도 2010년~2015년에 분양이 급증했다가 2016년 이후 분양이 크게 줄었다.


이를 주가와 연관 지어 보면 수주물량이 늘어나고 4~5년 후에 이익이 늘어나지만, 주가는 이익이 늘 때보다 수주가 이루어질 때 상승하므로 이익이 늘었다 해서 주가가 오르는 건 아니라는 등식이 성립한다.

과거에는 건설사가 수주를 받고 공사를 하면서 필요한 자금까지 조달하는 영업을 했지만 2008년 이후는 달라졌다. 



건설은 좋은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시공사가 맡아 하고 금융은 리츠(REITs) 및 신탁사가 담당하며, 건자재는 인테리어 시장에서 해결하는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이익이 적어질 수 있지만, 위험이 줄어든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1 boon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

문정부가 벤치마킹한 유럽 원전정책, 모두 탈원전에서 유지로 돌아서



문재인 정부가 '벤치마킹' 했던 유럽…'탈원전'서 원전 유지로 돌아섰다

유럽의회, 原電 역할 인정 결의안

文정부가 '벤치마킹' 했던 EU
"온실가스 감축 위해 원전 필요"
美는 원전수명 80년으로 늘려

     원자력발전 비중을 대폭 축소하기로 했던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원전 가동을 유지하기로 방침을 바꿨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선 원전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미국은 원전의 수명을 80년으로 연장해 원전을 더 쓸 수 있도록 했다.

유럽연합(EU)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원자력발전 비중을 낮추겠다는 기존 방침을 바꿔 유지하기로 했다. 사진은 프랑스 남동부 마르세유 인근에서 가동 중인 크뤼아 메이스 원전.   한경DB 



유럽의회는 2050년까지 유럽의 탄소 배출총량을 제로(0)로 만들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결의안을 지난달 말 채택했다. 유럽의회는 또 결의안 59조에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원전은 기후변화 목표 달성에 역할을 할 수 있고, 유럽 전력 생산의 상당량을 확보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EU가 기후변화 대응에 원전의 역할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EU 집행위원회는 이 결의안을 토대로 내년 초 기후변화 대책인 ‘그린딜’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EU는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사고에 이어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터지자 안전성을 이유로 원전을 축소하는 정책을 펴왔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탈(脫)원전 정책도 EU를 벤치마킹했다. 하지만 지난달과 이달 초 잇달아 출범한 유럽중앙은행(ECB)과 EU 집행위원회의 새 지도부는 기후변화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선 원전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인근에 있는 터키포인트 3·4호기 원전의 수명을 60년에서 80년으로 연장했다. 원전 수명이 80년으로 연장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온실가스 줄이려면 원전 필수"…EU 새 지도부 '脫원전 포기' 결단
EU, 탄소배출 감축에'원전 역할'첫 공식 인정

유럽연합(EU)이 탈(脫)원전 방침을 접고 원전 가동을 유지하기로 한 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선 원전이 필수라는 판단에서다. 전력 생산의 25%를 담당하는 원전을 섣불리 폐쇄했다가 2050년까지 ‘탄소 제로’라는 목표 달성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산업 성장이 더딘 상황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원전을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꼽은 것으로 분석된다.
문재인 정부가 '벤치마킹' 했던 유럽…'탈원전'서 원전 유지로 돌아섰다



원전 폐쇄 초안 삭제한 EU
유럽의회는 당초 기후변화 대응 결의안에 원전의 단계적 폐쇄를 담을 예정이었다.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지난달 초 내놓은 결의안 초안엔 ‘안전하지도, 환경적이지도 않은 원전을 폐쇄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유럽은 상업용 원전을 가장 먼저 개발했지만 탈원전도 앞장서서 추진해왔다. 1956년 세계 최초의 상업용 원전을 만든 나라가 영국이다. 그러나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사고 발생 이후 영국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은 잇따라 탈원전 정책을 도입했다. 원전에 반대하는 녹색당이 일찍부터 유럽 각국 의회에 진입해 목소리를 키워온 것도 탈원전 움직임을 부추겼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공포가 확산하면서 탈원전 정책은 더욱 힘을 받았다. 세계적 원전 강국인 프랑스와 독일도 원전 비중을 낮추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영국과 프랑스 등을 중심으로 탈원전 정책을 두고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원전의 공포가 조금씩 사그라들면서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이 당면 과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더욱이 유럽을 이끄는 두 축인 EU 집행위원회와 유럽중앙은행(ECB)의 새 집행부가 기후변화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기로 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미국이 기후변화협약을 지난달 공식 탈퇴한 상황에서 유럽이 기후변화 아젠다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판단도 깔려 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2030년까지의 EU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1990년 대비 40%에서 55%까지 높이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유럽의회도 이에 적극적으로 호응했다. 당초 초안에 담겨 있던 원전 폐쇄 조항을 삭제했다. 대신 ‘원전이 기후변화 목표 달성에 역할을 할 수 있고, 전력 생산의 상당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원전 가동을 유지하겠다는 뜻이다.


원전을 현실적 대안으로 선택
지난해 기준 28개 EU 회원국의 전력 생산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에너지원은 석탄·석유·가스로 45.9%였다. 이어 △원자력(25.5%) △풍력(12.2%) △수력(11.8%) △태양광(4.0%) △지열(0.2%) 등의 순이었다. 풍력과 수력, 태양광 등 통상 재생에너지로 분류되는 에너지원은 28.0% 수준이다. 2016년(25.4%)과 비교해 2.6%포인트 확대됐다.



이런 추세라면 EU가 자체적으로 설정한 2050년 탄소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엔 불가능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EU는 현 추세가 지속되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1990년 대비 30% 감소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EU의 목표치는 55%다. 전통적인 화석연료 사업 비중이 유지되고 있는 반면 재생에너지산업 비중 확대는 더디다는 것이 EU의 지적이다.

재생에너지산업이 취약한 대신 원전 비중이 높은 동유럽 국가들의 거센 반발도 고려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헝가리,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등 동유럽에선 냉전 시절 옛소련이 건설한 원전을 주력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국가가 적지 않다.

벨기에 최대 영자신문인 브뤼셀타임스는 “기후변화 대응을 과제로 내세운 EU는 현실적으로 당분간 원전과 결별할 수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런던=강경민/워싱턴=주용석 특파원 kkm1026@hankyung.com 한국경제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

신반포15차, 시공사 교체한다



'공사비 갈등’ 신반포15차, 시공사 교체하고 상한제 적용 받는다

     대우건설과 ‘공사비 갈등’을 겪던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15차(한신15차) 재건축 조합이 시공사를 교체하고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기로 했다. 조합은 주택을 지은 뒤 입주자를 구하는 ‘후분양’ 방침을 확정했다.

6일 건설업계와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신반포15차 재건축 조합은 전날 개최한 임시총회에서 시공사인 대우건설과의 계약해지 안건을 가결하고 일반 분양을 후분양 방식으로 하기로 결의했다.

신반포15차 투시도/매일경제


edited by kcontents

애초 조합은 후분양으로 사업을 추진하다가 내년 4월 29일 이전까지 분양하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자 선분양을 검토한 바 있다. 하지만 대우건설과 공사비를 놓고 갈등을 빚으면서 다시 후분양 방식으로 선회한 것이다. 이 단지는 상한제 정비사업 유예기간인 내년 4월까지 선분양이 불발되면서 상한제 적용이 확정됐다.

앞서 조합은 2017년 대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하고 고급 브랜드인 ‘푸르지오 써밋’을 도입하기로 했다. 당시 조합과 대우건설은 3.3㎡당 499만원에 도급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양측은 최근 설계변경으로 인한 공사비 증액 규모를 두고 대립했다. 대우건설은 500억원(3.3㎡당 499만원), 조합은 200억원(3.3㎡당 449만원) 증액을 주장했다. 신반포15차와 마주 보고 있는 ‘아크로리버파크’는 2016년 8월 계약 당시 공사비가 3.3㎡당 576만원이었다. 이를 비롯해 반포 주변 사업지의 메이저 시공사 공사비는 3.3㎡당 최소 570만원이라고 대우건설은 주장한다.



그러나 신반포15차 재건축 조합은 대우건설이 무상특화설계 공사비를 다 받으려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결국 후분양을 선택했다.

김종일 신반포15차 재건축조합장은 “어제 임시총회에서 3표의 근소한 차이로 후분양 방침이 확정됐다”고 전했다.

이에 대우건설은 내주 총회결의 무효 및 시공자 지위 확인 소송을 제기하기로 했다. 또 조합이 시공사 재선정 입찰을 진행하면 총회 금지 가처분 신청하고, 현장 유치권도 행사할 방침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계약서를 무시한 조합의 무리한 요구에 소송 등 강경하게 대응할 예정”이라며 “상한제가 적용되고 시공사 선정 문제로 사업이 장기 지연되면, 조합원들에게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업 계획에 따르면 지난 6월 철거가 끝난 신반포15차는 재건축을 통해 기존 5층짜리 8개 동 180가구에서 지하 4층·지상 35층, 6개 동, 총 641가구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서울신문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

고의 지연 '상암 롯데몰', 감사원, 박원순에 '조속처리' 통보



'6년 표류' 상암 롯데몰…감사원, 서울시에 "조속 처리" 통보(종합)

"서울시, 법적 근거없이 개발계획 승인 거부"…'업무 부당처리' 지적
"기업 재산권 제한·소비자 권리 침해"…감사 계기 인허가 진전 주목
서울시 "사회적 약자 고려·지역상생 발전 유도는 당연한 책무"

     서울시의 인허가를 받지 못해 6년째 표류 중인 롯데그룹의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복합쇼핑몰 개발 사업과 관련, 서울시가 부당하게 사업을 장기 지연시켰다는 감사원의 감사 결과가 나왔다.

프로젝트 블랙리스트 만들어 별도 관리
현대 GBC도 한 사례
(에스앤에스편집자주)




감사원은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이 사업의 세부개발계획 결정 업무를 "조속히 처리하라"고 통보했다.

서울시가 전통시장 상인 및 소상공인들의 반대를 이유로 롯데몰 개발계획 승인을 보류해 온 가운데 이번 감사 결과를 계기로 사업이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5일 감사원이 공개한 '지자체 주요정책 사업 등 추진상황 특별점검'에 따르면 서울시는 2011년 6월 복합쇼핑몰 유치를 위해 마포구 상암택지개발지구 3개 필지(총면적 2만644㎡)를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했다.

이후 경쟁입찰을 통해 2013년 3월 롯데쇼핑을 낙찰자로 선정하고 그해 4월 1천972억원에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

조속한 개발을 위해 개발이 지연될 경우 서울시가 롯데에 지연배상금을 부과하도록 하는 계약 조건도 달았다.



이에 롯데는 2013년 9월 세부개발계획안을 마련해 서울시에 승인을 요청했지만, 서울시는 도시계획 승인의 필수요건이 아닌데도 2015년 7월 상생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인근 전통시장과 상생 합의를 추진하라고 요구했다.

상생 태스크포스는 서울시 소속으로 관계 전문가와 서울시 유관 부서 등이 참여해 2015년 7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총 14차례 회의가 개최됐다.

롯데는 상생 TF 회의 결과와 DMC 자문회의 의견 등을 수용해 2017년 3월 판매시설 비율을 축소(82.2→67.1%)하는 방안과 인근 시장·상점가 상인번영회 사무실 리모델링·지역주민 우선채용 등의 내용을 담은 '상생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롯데의 제안이 나온 뒤 인근 17개 전통시장 중 16곳이 복합쇼핑몰 입점을 찬성했지만, 서울시는 나머지 1개 시장이 반대해 '상생 합의'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세부개발계획안 심의를 보류했다.



이에 롯데는 2017년 4월 서울시가 세부개발계획을 장기간 결정하지 않은 것이 위법이라는 내용의 '부작위 위법확인소송'을 제기했다.

상암롯데몰 부지모습/서울경제
edited by kcontents

서울시는 이 소송에서 패소가 예상되자 지난해 5월 상생 협의 결과와 관계없이 직권조정을 통해 심의 절차를 진행해 올해 상반기 중에는 세부개발계획을 결정해주기로 롯데와 약속했다.

그러나 박 시장이 지난해 8월 '나머지 1개 시장과의 상생 합의 후 세부개발계획을 승인하라'고 지시하면서 서울시는 당초 약속과 달리 올해 4월 현재까지 세부개발계획 결정을 보류했다.

감사원은 "서울시가 심의 절차를 부당하게 지연했다"며 "그 결과 행정의 신뢰성의 훼손되고, 롯데의 재산권 행사가 6년간 제한됐다.



인근 주민의 소비자 권리가 침해되고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의 기회를 상실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박 시장에게 "장기간 지체된 세부개발계획 결정 업무를 조속히 처리하라"고 통보하고, "법적 근거 없이 심의를 장기간 보류하는 등 도시계획결정 업무를 부당하게 처리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주의를 요구했다.

서울시는 감사 결과에 다소간의 아쉬움을 표하면서 절차에 따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 관계자는 "대규모 복합쇼핑몰이 지역 소상공인 생태계를 파괴하고 주변 골목상권에 막대한 폐해를 끼친다는 것이 드러난 만큼 사회적 약자를 고려하고 지역상생 발전을 유도하는 것이 시의 당연한 책무"라고 전제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상암DMC 특별계획구역 세부개발계획은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주변지역과 주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커서 다양한 이해관계와 요소들을 고려해 행정절차를 신중히 진행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롯데 측에서 현재 준비 중인 '세부개발계획안'을 마포구에 제출하면 정해진 도시계획 절차에 따라 원만하게 협의하고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한국경제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

스마트폰과 배터리 오래 쓰는 법



스마트폰 오래 쓰는 꿀팁, 배터리에 관한 오해와 진실

     앱스토리가 지난 9월 진행한 ‘스마트폰을 교체하게 되는 결정적인 이유는?’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109명 중 540명(49%)이 ‘성능 저하’를 꼽았다. 스마트폰 성능 저하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이 바로 배터리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평균적으로 1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 성능 저하를 경험한다. 그리고 2년이 되면 눈에 띄게 배터리 수명이 줄어들어 그로 인해 스마트폰을 교체하는 일이 적지 않다. 많은 이들이 스마트폰 수명을 2년으로 보는 것도 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스마트폰 배터리를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대체 뭘까? 생활 습관의 변화만으로 배터리의 성능 저하를 늦출 수는 있는 걸까? 오늘은 이러한 스마트폰 배터리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들에 대해 알아본다.




배터리 수명,
정말 2년이 최대?

스마트폰 교체 시기를 이야기할 때 흔히 ‘수명’이라는 표현을 쓴다. 스마트폰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간을 의미한다. 우리는 10년이라는 스마트폰 시대를 살면서 흔히 그 수명을 2년으로 상정해왔다. 통신사 약정 기간 역시 2년으로 잡는 경우가 가장 많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스마트폰 수명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배터리의 수명과 아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 왜 2년일까?

스마트폰 배터리에 주로 탑재되는 배터리는 리튬이온배터리다. 비교적 무게가 가볍고 용량이 크다는 장점이 있어 스마트폰 외에도 다양한 전자기기들에 쓰인다. 다만 리튬 이온은 수명이 있다. 충전 횟수가 약 500회 이상이 되면 배터리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이다. 스마트폰을 대략 하루 1회 충전한다고 하면, 1년 6개월서부터 2년 사이에 수명을 다 한다고 보면 된다. 같은 스마트폰이지만 사용자에 따라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까지 배터리 성능이 차이가 나는 것은 바로 충전 횟수의 차이 때문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리튬이온배터리의 수명은 충전 횟수로부터 나온다 (사진: 삼성SDI)

배터리 수명 늘리려면
2가지만 기억하자

스마트폰 배터리에 많이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경우 그 충전 횟수를 가지고 배터리 수명의 기준으로 삼고 있긴 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배터리를 ‘관리’하는 차원에서는 마냥 충전 횟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별로 소용이 없다고들 말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 게이지를 100%까지 충전하고, 0%까지 닳게 한 후에 충전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보면 충전 횟수를 줄일 수는 있지만 정작 배터리에는 부담을 줄 수 있다는 논리다. 실제로 리튬이온배터리에는 메모리 효과(충전식 전지를 완전 방전되지 않은 채 충전하면 본래의 구동 시간보다 구동 가능한 시간이 감소되는 현상, 컴퓨터인터넷IT용어대사전)가 없어서 배터리 잔량 게이지가 0%가 될 때까지 사용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스마트폰이 방전되는 것이 배터리 수명에 치명적이라는 설명이다.

스마트폰 방전은 배터리 수명에 결코 좋지 않다



그렇다면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은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 리튬이온배터리는 사람의 몸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에너지를 소비하고 적당한 수면과 휴식으로 적당한 몸 상태를 회복하는 것. 그런 점에서 많은 전문가들이 배터리 수명에는 스마트폰 배터리를 60~80%까지 충전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들 말한다. 이는 물론 ‘관리’ 측면의 이야기고, 실제로 긴 시간을 밖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는 배터리 ‘사용’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배터리 잔량 게이지를 60~80%까지 충전하는 것이 배터리 '관리' 측면에서 좋다

밤샘 충전도
괜찮다고?

아침에 출근 버스가 언제 도착하는지 확인하고, 오늘 해야 할 업무가 무엇인지 체크하고, 어젯밤 미처 확인하지 못한 메시지들에 일일이 답장하다 보면, 출근 전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배터리 잔량 게이지는 0%를 향해 빠르게 줄어들곤 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밤새 충전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배터리 수명을 위해 60~80%만 충전하는 것보다는 일상에서 불편함을 겪지 않기 위해 아침에 ‘100%’를 확인하는 것이 훨씬 낫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측면에서 봤을 때 스마트폰을 하루 동안 가장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것이다.

배터리 잔량 게이지를 100%까지 충전하는 것이 배터리 '사용' 측면에서 좋은 것은 당연하다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다. 스마트폰 밤샘 충전은 익히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부정적으로 인식돼왔다. 실제로 이론상 스마트폰 과충전은 배터리 수명은 물론 과열로 인한 화재로까지 번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하는 부분은 맞다. 그러나 웬만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충전기들에는 과충전을 방지하는 보호회로가 탑재돼있어 이와 같은 우려로부터 자유롭다. 여기서 말하는 스마트폰 충전기는 당연히 전압이 맞는 정품 충전기를 뜻한다. 어쨌든 과거와 달리 충전 시간과 배터리 수명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는 게 정설이다.

충전 시간보다 어떤 충전기를 사용하느냐가 배터리 수명에 더욱 영향이 있다

‘100%’가
100%가 아니라고?

충전 시간이 길면 배터리 수명이 줄어든다는 것은 우리가 배터리 수명을 ‘관리’하는 차원에서도 잘못 알고 있던 통념이지만, ‘사용’의 차원에서 봐도 틀린 말이 된다. 스마트폰 배터리 잔량 게이지가 100%까지 꽉 찼다고 해서, 실제로 배터리가 100% 충전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게이지가 100%로 된 이후에도 약 1~2시간은 더 충전해야만 완충이 가능하며, 고로 충전 시간이 ‘초과’되면 스마트폰을 기존보다 더 긴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상태에서 더 충전해도 된다

이는 리튬이온의 특성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배터리 잔량 게이지는 스마트폰에 충전되는 전압을 측정해 표시해주는 수치다. 이 수치상 100%에 도달했다 하더라도 배터리 내부의 수많은 리튬 이온에까지 전압이 도달하기까지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표면상으로는 100%지만 배터리 내부까지 100% 충전됐다고 볼 수는 없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 배터리 잔량 게이지 상으로 100% 충전이 완료된 후에, 약 2시간은 더 충전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김지연 기자 press@appstory.co.kr 앱스토리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

케냐 주민에 안전한 태양열 식수 제공한 환경단체 Kenya Develops Solar-Powered Plant That Turns Ocean Saltwater Into Clean Drinking Water

Kenya Develops Solar-Powered Plant That Turns Ocean Saltwater Into Clean Drinking Water
By Sara Barnes on December 5, 2019

You might turn on the faucet without a second thought, but clean drinking water is not a guarantee for everyone. Approximately 2.2 billion people around the world don’t have access to safe water. Kiunga, Kenya was one of those communities. A few miles from the Somalia border, the small village was forced to cook, drink, and bathe with blackish contaminated water. The nonprofit organization GivePower recognized the “disastrous impact” that the lack of clean water had on the people living there, so they decided to use clean energy to transform the residents’ lives.




케냐 주민에 안전한 태양열 식수 제공한 환경단체

 깨끗한 식수는 모두에게 보장되는 것이 아니다. 전 세계 약 22억 명의 사람들이 안전한 물을 이용할 수 없다. 케냐의 Kiunga는 그러한 공동체들 중 하나이다. 소말리아 국경에서 몇 마일 떨어진 이 작은 마을은 검게 오염된 물로 요리하고 마시고 목욕을 하도록 강요받았다. 비영리 단체인 GivePower는 깨끗한 물이 부족하여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끼친 '소멸적 영향'을 인식하고, 깨끗한 에너지를 사용하여 주민들의 삶을 변화시키기로 결정했다.

GivePower는 17개국의 2,500개 학교에 태양 전지판을 먼저 설치함으로써 어려운 지역사회에 깨끗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프로젝트의 영향과 확장성을 본 후, 그들은 다음 번 진화를 고려하기 시작했다. 전기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용도는 무엇인가? "우리는 1번이 물이라고 믿고 있습니다,"라고 GivePower의 설립자 겸 사장은 말했다.



2018년 5월 해양염수를 신선한 식수로 바꾸기 위해 초소곡수 담수화 시스템을 설치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20피트짜리 선박용 컨테이너를 가져다가 태양광 패널 어레이와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된 하루 7만5000리터짜리 시스템을 통합했다. 케냐 사라라의 지역 파트너인 조피 바스타드는 "수돗물을 틀었을 때 모든 사람들이 흥분했다"고 회상했다. "나는 그렇게 희귀한 상품으로 오랜 세월의 물을 거쳤기 때문에, 그들이 전적으로 그것을 믿는지는 확신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아무데도 가지 않고 있으며, 이제는 매일 3만 5천 명이 마실 수 있는 깨끗한 식수를 충분히 생산하고 있다.

황기철 콘페이퍼 에디터 큐레이터
Ki Chul Hwang editor curator
edited by kcontents

GivePower began its efforts in providing clean energy to struggling communities by first installing solar panels on 2,500 schools in 17 countries. After seeing the impact and scalability of the project, they began to consider their next evolution. What are the most important uses for human beings that need electricity? “We believe the number one is water,” Hayes Barnard, Founder and President of GivePower said.

In May 2018, the organization began installing its first micro-grid water desalination system in order to turn the ocean saltwater into fresh drinking water. To do this, they took a 20-foot shipping container and integrated a 75,000-liter-per-day system that was designed to work with a solar panel array. “When we turned on the tap, for this reason, everyone was pretty excited,” recalled Joffy Bastard, the Regional Partner in Sarara, Kenya. “I think having gone through so many years of water being such a scarce commodity, I’m not sure they entirely believe it.” But the system isn’t going anywhere, and it now produces enough clean drinking water for 35,000 people every day.



If you’re interested in helping GivePower in its mission to provide access to clean drinking water using solar-powered technology, a $20 dollar donation will give a person potable water for at least 20 years. You can donate through GivePower’s website.

For 2.2 billion people across the world, clean drinking water is scarce. The nonprofit organization GivePower is helping to change that with its solar desalination system, which turns salt water into potable water.

https://mymodernmet.com/givepower-solar-desalination-system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상생 캠핑카’, 건설현장에 등장한 이동식 편의 시설


건설현장에 등장한 ‘상생 캠핑카’, 근로자도 시공사도 호평
 
서울시설공단, 노후 상수도관교체 현장에 이동식 편의시설 설치

     서울시설공단이 지난 11월 한 달간 실시한 건설 공사 이동식 편의시설(캠핑카) 설치 사업이 현장에서 호평을 얻고 있다. 건설업계는 도심지 공사장 건설근로자 근무 여건 개선은 물론 건설시공사의 편의시설 설치 의무 부담을 덜어줄 해법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난달 29일에도 서울시 문래동의 노후 상수도관 교체 공사 현장에는 캠핑카 한 대가 설치됐다. 건설근로자들이 탈의실·화장실 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서울시설공단에서 마련한 것이다.



한 현장 근로자는 “추운 날씨에 작업 도중 화장실을 찾아 헤매지 않아도 되는 등 환경이 한층 좋아졌다”고 말했다. 시공사 관계자도 “건설근로자법 개정 이후 줄곧 부담이었던 편의시설 설치 의무화에 대한 해법이 될 것”이라며 확대 적용을 원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장 근로자들이 캠핑카에서 휴식을 취하며 간식을 먹고 있다.(사진=서울시설공단 제공)

한편 현행 건설근로자법은 공사금액이 1억원 이상 현장의 경우 화장실·탈의실 등 편의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 규모가 작을 때는 불편을 감수해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와 서울시설공단은 공사 현장 이동식 편의시설 설치 사업을 내년부터 확대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화장실 크기를 더 넓게 하는 등 캠핑카를 건설 현장용으로 개조해 근로자들이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예산과 관련해서는 시공사들이 손해를 보지 않도록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설공단 관계자는 “발주 시 공사금액에 포함하는 방법과 운영비를 지원하는 방안 등 건설사 자금 부담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휘호 기자] noah@kosca.or.kr
대한전문건설신문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