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상장 EPC업체 실적, 다시 하향국면으로 접어들어

영업이익률 전기대비 15.2% 급락
7社 평균 영업이익률 3.5%,

실질적 정체 또는 적자 수준

국내 및 해외  수주량 유지 못해

 

 

 
 

 

 

상장 EPC사들의 3분기 실적에 기적은 일어나지 않았다.

 

3일 본지가 GS건설, 대림산업, 대우건설, 두산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삼성물산, 현대건설 등 상장 EPC 7개사의 3분기 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액 18조5,134억원, 영업이익 6,461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로 볼 때 매출액은 6.2%가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의 경우 흑자로 전환된 실적이다.

그러나 2분기와 비교할 경우 실적 개선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2분기 대비 매출액은 3.0%, 영업이익의 경우 15.2%가 감소하며 다시 하향국면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수익률 지표라 할 수 있는 영업이익률의 경우 평균 3.5%에 머물고 있어 실질적인 수익률은 이미 3분기에 적자에 근접한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업계에서는 3분기 이후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에서의 수주량마저 유지되지 못함에 따라 수주량과 실적 모두 부진을 면치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4분기 역시 실적 개선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다.

 

해외 중대형 프로젝트들이 경기침체를 이유로 내년 상반기 이후로 연기 또는 잠정 취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국내 EPC사들이 수익성을 창출해 낼 수 있는 시장 범위가 점차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영업외 실적으로 볼 수 있는 당기순이익의 경우 전체 기업에서 적자 또는 대규모 감소 양상을 나타내고 있어 관련 업체들은 2중고에 부딪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다시 한 번 2013년 말과 같은 출구 없는 실적 쇼크가 업계를 재강타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한편, 업체별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현대건설이 각각 4조2,592억원과 2,300억원을 기록하며 7개사 중 가장 높은 실적을 나타냈다.

 

그러나 현대건설의 경우 현대엔지니어링과 연계된 실적으로 발표를 이어가고 있어 이를 제외한 현대건설의 단독 실적은 발표된 내용과 다소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삼성물산의 경우 건설부문 실적이 매출액 3조5,589억원, 영업이익 1,439억원을 기록하며 현대건설에 이어 2위의 실적을 기록했다.

 

삼성물산은 플랜트 분야의 경우 전년 동기대비 26.6%가 급감했으나 토목 및 주택 분야가 선방함에 따라 전체 실적이 상승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밖에 3위는 매출액 2조5,844억원, 영업이익 973억원을 기록한 대우건설이 올랐으며 그 뒤를 GS건설, 삼성엔지니어링 등의 순으로 실적 순위를 기록했다.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lmj@engdaily.com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평택에코센터 조성사업, 내년도 예산 미 확보로 '표류'

고덕국제신도시에 들어서는 평택 에코센터 조감도

kcontents

 

 

평택과 안성지역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 등을 처리할 평택에코센터 조성사업이 내년도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답보상태에 놓였다.


국비가 확보됐는데도 경기도가 도비 지원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인데, 2017년 준공이 미뤄지면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2016년 이후 예정)와 맞물려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는 실정이다.


6일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김철인(새·평택2) 의원 등에 따르면 평택시는 내년부터 3년간 3천258억원을 투입해 평택 고덕국제화계획지구 5만8천66㎡에 생활폐기물과 생활자원, 하수찌꺼기 등을 처리하는 에코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지난 2012년 환경부의 "폐기물처리시설 최적화 권역"에 따라 현 위치를 선정했고 예산중 60%는 민자사업자가, 나머지 40%는 국·도비와 고덕국제화계획지구 부담금 등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하지만 사업 첫해인 내년에 필요한 예산중 국비 15억8천200만원은 확보된 상태나 도비 3억8천700만원은 한 푼도 확보되지 않았다.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지방자치단체에 재정을 지원하도록 명시돼 있지만 도비 부담 사업이 아니라는게 도의 설명이다.


예정대로 2017년 준공하지 못하면 생활폐기물 5만3천655t 중 56%를 수도권매립지로 반입하고 있는 평택은 물론 안성 역시 쓰레기 대란이 우려된다.


김 의원은 "평택의 재정자립도가 40.1%인 점을 고려할 때 도비 지원없이는 에코센터 사업 추진이 불투명해진다"며 "환경부의 국고보조사업인 에코센터는 정상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국고를 매칭하는 사업도 지방자치단체 경비 부담의 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규정된 도비 부담사업에 한해 지원하는 것"이라면서 "하지만 평택·안성시가 광역으로 추진하는 사업임을 감안해 도비 지원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인일보 김민욱 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경기도 '어린이 전문병원' 건립, 사실상 백지화

500억원 재원 조달 어려워

 

서초구 내곡동 서울시 어린이 병원

kcontents

 

 

경기도 어린이 전문병원 건립 계획이 사실상 백지화됐다.


재정난으로 500억원에 달하는 건립 비용 마련이 쉽지 않은 데다 손꼽히는 병원의 참여를 이끌어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2012년부터 어린이 전문병원 건립을 추진했다.


당시 보건복지부가 어린이 전문병원 건립 지원을 위해 부산·강원 등 지방 5곳을 권역별로 150억원을 지원하기로 하자 ‘수도권 역차별’이라며 도 자체적으로 어린이 전문병원을 세우기로 했다.


워싱턴DC에 있는 미국아동국립의료센터가 모델이었다.


도는 2011년 11월 김문수 지사가 투자유치대표단을 이끌고 미국을 방문했을 때 미국아동국립의료센터와 ‘세계 아동의 의료복지 협력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했다.


아동의료센터 브랜드를 활용하고 인적교류를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아동전문병원으로 육성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이후 2012년 1월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진행하는 등 속도를 냈다.


용역 결과 경기 남부에 광역어린이병원 1곳, 북부에 거점 어린이병원 1곳을 설립해야 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2010년 서울대 어린이병원을 찾은 환자의 22.5%, 퇴원환자의 25.9%가 경기 지역 환자라고 지적하며 어린이 전문병원 건립이 타당하다고 제안했다.


도는 이를 토대로 이르면 2016년에 어린이병원을 개원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재정난이 발목을 잡았다.


150∼250병상 규모의 광역어린이병원 건립 비용은 400억∼500억원에 달한다.


도가 정부에 국비 지원을 요청했지만, 어린이병원이 있는 서울과 가깝다는 이유로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공무원 수당 절감 등의 방법까지 쓰며 재정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어린이병원 건립은 우선순위에서 밀렸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관련 예산을 한 푼도 반영하지 못했다.


도 관계자는 “도 재정이 넉넉지 못한 데다 국내 대형 병원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지 못해 사업을 접기로 내부 방침을 세웠다”고 말했다.
서울신문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새만금지구에 국내 첫 '항공레저센터' 들어선다

 

kcontents

 

항공기 제작 중장기 로드맵

 

 

[관련자료링크]

항공레저스포츠란

http://www.molit.go.kr/USR/policyTarget/m_24066/dtl.jsp?idx=576

국토부

 

 

새만금지구에 항공레저센터가 들어설 전망이다.


6일 전북도에 따르면 새만금지구에 항공레저산업을 선도하는 전용 센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전북도와 중부항공은 애초 김제 지역에 관련 산업을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새만금지구가 장기적으로 더 좋을 것으로 보고 방향을 전환했다


이 사업은 올 초 전북도의 대통령 업무보고에 포함됐고 지난 9월 새만금 마스터플랜 변경에도 반영됐다.


새만금지구는 부지가 넓고 바다와 산을 낀 주변 경관이 좋아 경비행장과 수상비행장을 동시에 조성할 수 있는 최적의 여건을 갖춘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우선 경비행기 이착륙에 필요한 활주로 2본을 건설하고 다목적 잔디 이착륙장을 건설한다는 구상이다.


경비행기들이 이용할 수 있는 유도로, 주기장, 격납고도 갖추게 된다.


이와 함께 패러글라이더 훈련장, 스카이다이빙 강하장, 모형 비행장, 클럽하우스, 항공박물관, 청소년 수련원, 캠프장 등 관련 레저시설도 조성할 방침이다.


새만금에 국내 유일의 항공레저센터가 들어서면 경비행기는 물론 수상 비행기를 비롯한 각종 항공레저산업을 집적화해 이 분야의 국제적 관광 명소로 육성될 전망이다.
(전주=서울신문)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인천시' 내년도 예산 규모, 7조7648억원 편성...강도 높은 구조조정 반영

2014인천아시안게임 개최로 채무 부담 커져 감액 편성

 

 

 

 

 

인천시의 내년도 예산 규모가 올해 보다 0.9%(725억원) 감소한 7조7648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번 감액 편성은 2014인천아시안게임 개최로 채무 부담이 커져 세출예산에 대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7일 시에 따르면 일반회계는 4조9777억원으로 올해 당초 예산 대비 2861억원 감소했다. 특별회계는 2조7871억원으로 2136억원 증가했다.


전체 예산 규모는 추가경정예산안과 비교하면 무려 4145억원 적은 수치다.


세입은 지방세수입 2조6665억원, 세외수입 1조2753억원, 국비 1조9500억원, 보통교부세 2923억원, 지방채 차환 7083억원 등으로 짜여져 있다.


특히 세입 가운데 과거 수천억원씩 반영됐던 재산 매각 수입은 남동구 구월농산물 도매시장 매각 918억원 등 1079억원에 불과하다. 이는 올해 5788억원 대비 81.3% 감소한 수치다.


시는 또한 둘째아 출산장려금, 인천의료원 기능보강 등 306건 711억원을 전액 삭감했다.


도로유지보수, 무상급식 지원, 셋째아 출산장려금 등 776건의 사업도 예산의 일부인 927억원이 삭감됐다.


이밖에 공무원 관련경비도 108억원 줄인다. 업무추진비 3억원, 포상금 18억원, 직원 맞춤형 복지 8억원 등이다.


이처럼 시는 재정 규모를 줄이지 않으면 세입예산은 약 5조원인데 법적ㆍ의무적 지출 경비는 5조5000억원에 이르러 매년 5000억원 규모의 적자 누적이 우려되는 상황에 이른다.


시는 아시아드주경기장 등 17개 신설 경기장 건설에 총 1조1085억원의 시비를 지방채로 충당했는데 내년부터는 원금 상환 시기가 도래한다.


도시철도 건설 사업비 등 기존 채무까지 더하면 내년 기준으로 원금과 이자를 합쳐 한해 5400억원을 갚아야 한다.


지방채 발행을 통한 재원 마련도 이젠 지방채 발행 한도에 묶여 더 이상 쉽지 않다.


시는 내년에는 신규 지방채 발행없이 법령상 강제되는 도시철도 및 지역개발 채권 등 1662억원 규모의 매출 공채만 발행할 계획이다.


그러나 사회복지 예산은 작년 1조8573억원에서 2조637억원으로 11.1% 늘렸다.


시는 복지예산이 작년 보다 30% 삭감됐다는 시민단체 주장과는 달리 복지예산에 대한 국고보조금이 늘어나 전반적으로는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예산안이 계획대로 집행될 경우 내년 말 예상 채무액은 올해 3조2378억원보다 867억원 줄어든 3조1511억원이다. 예상 채무비율은 39.1%다.
(헤럴드경제=인천) 이홍석기자
gilbert@heraldcorp.com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대구시, 2015년도 예산(안) 6조2천22억원 편성...공공 안전분야 중점

올해보다 3% 늘려,

공공안전분야 28% 증가 최고

창조경제 관련 분야 예산 17% 증가

 

 

 

 

kcontents

 

 

대구시가 2015년도 예산(안)을 6조2천22억원으로 편성했다. 이는 2014년 예산보다 1천816억원(3%)이 늘어난 것이다.


의존재원인 국고보조금 등이 증가한 때문이다.

 

내년도 예산안 중 일반회계는 4조6천950억원으로 2천 803억원(6.3%)이 증가했지만, 특별회계는 1조5천72억원으로 오히려 987억원(6.1%)이 감소했다.

 

분야별로 보면

 

보건복지 예산 2조2천139억원을 비롯해

창조경제 3천517억원,

문화체육관광 2천197억원,

교육 4천212억원,

도시환경 7천141억원,

도로교통 7천586억원,

공공안전 952억원

 

등이다. 지난해에 이어 보건복지 분야 예산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증가폭을 보면 세월호 참사 이후 강조된 공공안전분야 예산이 28.8%로 가장 많이 늘었고, 권영진 시장 취임 이후 강조해 온 일자리와 경제활성화 분야인 창조경제 관련 분야 예산이 16.9%, 보건복지분야 예산이 11.4%, 도시환경분야 2.5%, 문화체육관광분야 2.4%, 교육분야 0.8% 각각 증가했다.

 

반면 도로교통분야 예산은 도시철도 3호선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드는 등 대형사업이 줄면서 전년보다 20.3%가량 줄었다.

 

한편 대구시는 이 예산안을 대구시의회에 제출했고, 시의회는 다음 달 9일 본회의 의결을 거쳐 예산안을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영남일보 노인호기자 sun@yeongnam.com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전북도, "2030 SOC(사회간접자본) 구축계획' 수립

전북도민 300만명 대비

 

 

 

 

전북도가 오는 2030년 전북도민 300만명에 대비한 "2030 SOC 구축"계획을 수립하고, 광역권 사회간접자본시설(SOC) 구축에 나섰다.


전북도는 새만금 개발과 탄소산업 육성, 동부권 관광개발 등 지역개발 상황과 300만 도민 및 1억명 관광객 시대를 대비해 2030년을 목표로 전북지역 SOC시설을 대폭 확충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송하진 지사는 이날 "전북도 SOC 구축방안"에 대한 정책조정회의에서 "전북 발전의 밑거름이 될 SOC분야는 단순히 하드웨어적 인프라 구축이 아니라 관광산업 등 타 사업과 연계 추진하는 등 종합적 사고가 필요하다"며 "서해안시대를 대비하고 미래 비전을 담은 SOC구축이 이뤄져야 한다"고 SOC 확충을 강조했다.


이어 송 지사는 "대규모 신규 도로 건설보다는 도로와 도로를 연결하는 노선의 발굴을 통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면서 "철도망 역시 산업과 관광을 지원하는 네트워크가 필요하고, 새만금~대야 등 신규 노선이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모으라"고 지시했다.


도가 제시한 목표는

 

△중추도시 광역도로망 구축

△산업·관광 지원 철도 네트워크 구축

△글로벌 경쟁력 있는 항만건설

△새만금거점 국제공항 건설

△전주 전시컨벤션센터 건립이다.

 

중추도시 광역 도로망은 현재 남북축 도로망에 비해 동서축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점을 고려해 중추권 도심(전주권) 외곽순환도로망 조기 구축과 새만금과 연계한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특히 중추도시권 도로망(일명 "태양형" 도로망)은 전주를 중심으로 도내 1시간 생활권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중추도시권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 전주 외곽순환도로(국도대체우회도로)를 포함한 전주권 순환교통망은 오는 2019년까지, 전주∼고창 및 전주∼무주축 등 시군 네트워크 도로망은 오는 2022년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또 새만금∼전주 및 동서2축 등 새만금 내부간선 및 광역연계 도로망은 2020년까지 마무리짓는다는 계획이다.


철도망은 내년 3월께 호남고속철도 개통에 이어 오는 2018년에는 익산∼대야 및 군장산단 인입철도를 완공하고, 군산∼목포와 새만금∼대야 등 4개 신규노선을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2016∼2025년)에 반영시키기로 했다.


항만분야에서는 10월말 기준 65%의 공정률을 기록하고 있는 새만금 신항만 조성은 오는 2016년까지 방파제(3.5㎞)를 마무리하고, 오는 2020년께 1단계 부두 4선석을 완공할 계획이다.

 

처리물동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군산항은 동남아 신규항로 개설로 처리물동량을 확대하고, 국제 고군산 마리나항만은 내년 실시설계용역을 거쳐 2016년 사업착수키로 했다.


항공수요 부족으로 난항을 겪고 있는 신공항 건설은 국토부의 제5차 공항개발계획에 대응하는 전북권 항공수요조사 용역(2015년 완료) 실시 및 새만금개발청과의 공조를 통해 국가계획 반영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도는 이달중에 전북 SOC에 대한 현 상황 진단 및 장래 비전제시를 위해 SOC종합진단을 실시하고, 분야별 장기계획을 세우기로 했다.

전북일보 김준호 kimjh@jjan.kr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서울 금천구 가산 지구단위계획 구역 재정비(안) 주민열람 공고

금천구, 가산동 140~143번지 일대 지구단위계획 구역 재정비안 열람공고

지역 활성화 유도

 

가산지구구단위계획 재정비 추진 계획도 

 

 

금천구(구청장 차성수)는 가산동 140~143번지 일대 가산 지구단위계획 구역(면적 7만3757㎡) 재정비(안)을 마련, 7일부터 14일간 주민 의견 수렴을 위한 열람공고를 시행한다.

 

가산 지구단위계획구역은 2008년 지구단위계획이 결정된 이후 5년 이상 경과됐고 당시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되어 실질적인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한 지역에 대해 서울디지털산업단지를 지원하는 주거기능과 쇼핑 ·패션 · 문화기능 등 지역 활성화를 위한 합리적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재정비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이에 금천구는 올해 초부터 주민설문조사 및 관계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가산지구에 대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을 마련했다.
 
재정비(안)의 주요 내용은 개별 건축이 불가해 민원이 지속돼 온 특별계획구역에 대하여는 해제를 통해 지역개발 실현성을 높이고 지역여건을 고려, 각 구역별로 권장용도와 불허용도 계획을 마련했다.

 

또 공동개발하도록 지정돼 있던 토지는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권장 ? 자율적 공동개발로 전환함으로써 신축 등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열람공고 기간 중 주민설명회를 통해 주민들에게 관련 내용을 설명할 예정이며, 금천구 도시계획위원회의 자문 등 후행 절차를 조속히 거쳐 금년 말까지 서울시에 결정을 요청할 계획이다.

 

김형석 도시계획과장은“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이 빠른 시일 내에 결정되어 적용될 수 있도록 결정 권한을 가진 서울시와 적극적으로 협의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2014년도 건축사자격시험 합격예정자 공고

공고 제2014-1384호

국토교통부 공고 제2014- 호

 

2014년도 건축사자격시험 합격예정자 공고

「건축사법 시행령」제11조의 규정에 의하여 2014년도 건축사자격시험 합격예정자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14년 11월 7일

국 토 교 통 부 장 관

대 한 건 축 사 협 회 회 장

 

파일 align 2014년도_건축사자격시험_합격예정자_공고문.hwp

파일 align (붙임)_2014년도_건축사자격시험_합격예정자_명단.hwp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뱀장어가 상어를 통째로...The moment an eel swallows a SHARK whole VIDEO

He bit off more than he could chew! Epic shark Vs eel battle ... and the ending will surprise you

 

 

An eel comes out from rocks and grabs a small shark swimming by
Quickly the eel swallows down some of the shark
Minutes later only the tail of the shark can be seen out of the eel's mouth
The shark miraculously re-emerges from the eel's stomach and swims off

 

By John Carney For Daily Mail Australia

This eel's mother obviously never told it you should chew your food properly before you swallow it.
The apparently toothless terror wasn't able to dine out on a small shark that happened to be swimming by even though it looked like a free lunch was a certainty.
Scroll down for video

 

 

 

 

 

Arts & Culture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