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역대 1천만 관객 돌파 영화...'명량' 아바타 제쳐|

 

 

 

한국사람들은 전쟁영화나 SF 스펙터클한 영화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rts & Culture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롯데건설 하청업체' 문 닫게 한 사연

 

 

http://blog.daum.net/main-consulting/5145251

 

 

"도 넘은 '갑의 횡포'에 회사 문 닫았다"
공사지연과 추가공사로 발생한 비용 A사에 떠넘겨 결국 부도
A사 측 “롯데건설 배만 불렸다”
롯데건설 “문제 인지 못했다” “도의적인 차원서 해결 노력”
 

“롯데건설 현장서 일하다 회사가 망했다.” 롯데건설이 수주한 공사에 참여한 한 하청업체 대표의 한맺힌 목소리다.

 

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공기지연과 추가공사에 따른 기성비용을 모두 떠넘기는 통에 결국 회사가 부도에 몰렸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문제는 롯데건설의 이런 행태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라는 데 있다. 기성비용을 지급하지 않아 하청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게 한 일이 빈번했다. 업계에선 ‘단가 후려치기’ 등 롯데건설의 도 넘은 ‘갑의 횡포’가 화를 불렀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기지연으로 공사비 급증

롯데건설이 수주한 공사에 하청업체로 참여했다 부도가 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테리어 시공업체인 A사에 따르면 이 회사는 올해 초 군관공사인 서해 대청도 군사시설공사에 롯데건설 1차 하청업체인 B사의 재하청업체로 참여했다.


A사는 자사가 맡은 타일공사와 테라죠(인조대리석) 공사가 계약대로 3월25일과 4월5일 각각 완료될 수 있도록 인원 및 시공계획을 잡았다. 착공일은 1월24일이었지만 A사는 한동안 공사에 손도 대지 못했다. 롯데건설과 B사가 사전공사를 마무리 지어 주지 않아서다.

 

계속된 공기지연으로 착공일은 3월까지 지연됐다. 그마저도 A사가 맡은 공사분량의 절반도 안 되는 부분만 제공됐다. 이 때문에 A사가 준비한 인력들은 손을 놓고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 동안에도 임금과 숙식비, 교통비 등은 계속해서 지출됐다.

 

이런 가운데 B사는 4월 중순 공사에 속도를 내기 위해 추가 인원 투입을 강행했다. A사는 준비한 인력만으로도 공사를 계약한 기간 내에 완료할 수 있는 상황임에도 인력을 늘리면서 공사비는 더욱 높아졌다. 이밖에도 계약된 공사 외에 추가공사나 물량투입도 적지 않았다.

 

공사비는 어느새 계약금액을 넘어섰다. 과도하게 증가한 공사비에 A사는 문제제기를 했다. 그러자 B사는 “롯데건설과 자사의 책임을 인정하며 공사비 보전에 대한 각서를 써주겠다”고 A사를 회유했다. 그러나 공사가 완료되자 B사는 얼굴을 고쳤다.

 

이 때문에 A사는 이득은커녕 수천만원에 달하는 손실을 고스란히 떠안게 됐다. A사는 롯데건설과 B사에 공사비 보전 청구서를 발송하는 등 재차 문제를 제기했다. 하지만 B사는 책임을 회피하기에 급급했고, 롯데건설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롯데건설과 B사가 문제를 방치한 사이 유동성위기에 몰린 A사는 결국 부도를 맞게 됐다. 그러나 A사는 보상 요구에 사실상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막대한 소송비용도 감당할 수 없거니와, 소규모회사가 대기업을 상대로 이길 수 없으리란 판단에서다.

 

다른 업체들도 비슷한 상황

문제는 이런 일이 비단 A사만의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A사 대표는 “해당 사업에 참여한 하청업체 중에 피해를 보지 않은 회사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라며 “적자에 허덕이고 인건비마저 지불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고 말했다.

 

A사 측은 롯데건설의 ‘갑의 횡포’가 도를 넘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A사 대표는 “다른 대형 건설사 하청으로도 일해 봤지만 롯데건설의 갑의 횡포는 유독 심하다”며 “하청업체들을 죽이면서 롯데건설의 배만 불리는 꼴”이라고 말했다.

 

롯데건설은 A사를 B사가 관리하고 있어 해당 문제에 대해 전혀 몰랐다는 입장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A사에 대한 관리는 롯데건설이 계약을 맺은 B사가 전담하고 있다”며 “해당 현장에서 문제가 있었다는 점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B사에게 1차 계약에 대한 공사비 전부를 지급했고 추가 발생한 금액에 대한 검토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A사측의 주장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도의적인 차원에서 문제를 최대 시정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청 고통 배경 ‘단가 후려치기’?

그간 하청업체에 대한 롯데건설의 횡포는 적지 않았다. 롯데건설은 당장 제2롯데월드 수족관 인테리어 시공을 맡은 하청업체 C사에 공사대금 25억원을 지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C사는 공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추가 주문을 받았지만 이에 대한 정산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제2롯데월드뿐만 아니라 롯데건설이 제주에서 진행하는 ‘제주 롯데시티호텔’ 신축공사 관련 대금 12억1,200만원도 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롯데건설이 수주한 현대제철 일관제철소 화성공장 건설공사 프로젝트 하청업체로 참여한 D사도 비슷한 경우다. D사는 공사 진행하면서 발생한 추가공사에 대한 정식계약이 없었다는 점을 문제 삼아 추가공사대금 94억원 상당의 지급을 거절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지난해엔 롯데건설이 맡은 영도대교 재개통 공사의 하청업체가 도산하면서 재하청으로 참여했던 60여개 업체에 인건비와 장비대여료 등 공사대금 10억원이 미지급된 일도 있었다. 당시 업체 대표들은 미지급금을 해결해 달라며 현장사무소를 항의 방문하기도 했다.

 

업계에선 롯데건설 하청업체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 배경을 롯데건설의 인색한 공사비 책정 기준과 연관짓는 시선이 많다. 롯데건설의 이익 극대화를 위한 ‘단가 후려치기’에 대한 여파가 1차 하청업체들은 물론 재하청업체까지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롯데건설은 정산 시 ‘3년 이내 현장의 최저단가’라는 자체기준을 적용해 단가를 막무가내로 삭감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며 “1차 하청업체인 B사도 생존을 위해 손해를 A사에 전가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데일리한국

송응철기자 sec@hankooki.com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건설매거진 [콘페이퍼]2014년 8월호

 

 

건설매거진 [콘페이퍼]2014년 8월호

SECTION I  건설동향 

SECTION II 기술동향

SECTION III 문화예술

Total 144p

 

첨부 목차 참조

 

[구독료]3000원

1년    구독료 30,000원

6개월 구독료 15,000원

 

[입금계좌]

 

신한은행   110-379-780012 황기철

 

 

 

 

010-8289-0929로 [아이디/입금액/이메일]을

보내주시면 확인후 즉시 송부해드립니다.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아프리카 리베리아 에볼라바이러스 참상 포토 Families torn apart by Ebola: VIDEO

 

 

 

A woman stands over her husband with her head in her hands, after he staggered and fell, knocking him unconscious in an Ebola ward in Liberia 한 여인이 에볼라바이러스로 쓰러진 남편을 보고 어쩔 줄 몰라하고 있다.


Families torn apart by Ebola:

Photographer risks his own life to chronicle harrowing scenes in Liberia as doctors warn disease is out of control


Medics have likened the outbreak in west Africa to a state of war
Doctors Without Borders say the epidemic could last for another 6 months
One medic added that there is no way of knowing the true scale of deaths
Claims many of the sick are hidden at home rather than seeking treatment

WHO says it is coordinating a 'massive scale-up' of its bid to tackle Ebola
Added that the epidemic in West Africa has been vastly underestimated

Explained that extraordinary measures are need to contain spread of Ebola
Some athletes from west Africa are banned from attending Youth Olympics
Competitors in combat sports and swimming are not allowed to take part

 

By Jennifer Newton For Mailonline

As the Ebola outbreak continues to spread in West Africa - the current death toll standing at more than 1,000 - one photographer has bravely travelled to Monrovia, Liberia to chronicle work on the frontline. The pictures, by John Moore, from Getty Images, capture the harrowing scenes of families torn apart by the deadly disease, along with the medical workers battling to save the sick...
International doctors have admitted they don't know the true scale of deaths from the deadly Ebola virus warning the disease is spreading faster than the response.


The group Doctors Without Borders (Medecin Sans Frontieres) have likened the outbreak in west Africa to a state of war and said that the epidemic could last another six months.


Meanwhile, a medical worker on the frontline of tackling the disease in Liberia says response teams are unable to document all the cases erupting as many of the sick are being hidden at home rather than taken to Ebola treatment centres.


Scroll down for video

 

A mother and child stand on top of a mattress in an Ebola isolation station in Liberia for suspected victims of the virus

A mother and child stand on top of a mattress in an Ebola isolation station in Liberia for suspected victims of the virus

 

A sick child lies on a mattress in a former classroom in a primary school, which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Ebola ward

A sick child lies on a mattress in a former classroom in a primary school, which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Ebola ward

 

 

Workers wearing protective clothing and masks look on as the woman desperately tries to help her husband who has fallen to the ground

Workers wearing protective clothing and masks look on as the woman desperately tries to help her husband who has fallen to the ground

 

The ward, in a former primary school, is where people suspected of having the virus are sent by health workers

The ward, in a former primary school, is where people suspected of having the virus are sent by health workers

 

Patients in the Ebola isolation centre are forced to sleep on mattresses on the floor after being sent to the facility suspected of having the disease

Patients in the Ebola isolation centre are forced to sleep on mattresses on the floor after being sent to the facility suspected of having the disease

 

 

 

 

 

 

Three-year-old Nino sits in a newly opened Ebola isolation centre set up by the Liberian health ministry in a closed school

Three-year-old Nino sits in a newly opened Ebola isolation centre set up by the Liberian health ministry in a closed school

 

Children sit in the isolation ward as the disease continues to spread in West Africa

Children sit in the isolation ward as the disease continues to spread in West Africa


Tarnue Karbbar, who works for the aid group Plan International in northern Liberia says in the last several days, up to 75 new cases a day are emerging in single districts.


He also added that those who have succumbed to the deadly virus are buried before teams can get to the area.
He said: 'Our challenge now is to quarantine the area to successfully break the transmission.'


It comes as Joanne Liu, international president of Doctors Without Borders told reporters in Geneva on Friday that there is no sign of stopping the disease.

 

Getty Images staff photographer John Moore wears protective clothing, knows a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before joining a Liberian burial team set to remove the body of an Ebola victim from her home

Getty Images staff photographer John Moore wears protective clothing, knows a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before joining a Liberian burial team set to remove the body of an Ebola victim from her home

 

Neighbours watch as a son prepares his father to be taken to an Ebola isolation centre yesterday

Neighbours watch as a son prepares his father to be taken to an Ebola isolation centre yesterday

 

The facility was constructed to house a surging number of patients diagnosed with Ebola in three west African countries

The facility was constructed to house a surging number of patients diagnosed with Ebola in three west African countries

 

A son tries to rouse his father in their one-room home before he is taken to an Ebola ward in Liberia
A man stands next to the coffin of Dr Modupeh Cole, a doctor from Sierra Leone, who succumbed to the deadly Ebola virus

A son tries to rouse his father in their one-room home (left) before he is taken to an Ebola ward in Liberia; right, a man stands next to the coffin of Dr Modupeh Cole, a doctor from Sierra Leone, who succumbed to the deadly Ebola virus

 

An Ebola victim is loaded on to a truck by a government burial team at a facility in Kailahun in Sierra Leone

An Ebola victim is loaded on to a truck by a government burial team at a facility in Kailahun in Sierra Leone

 

The team then spray the coffin with disinfectant at the facility set up by Medecins Sans Frontieres (Doctors Without Borders)

The team then spray the coffin with disinfectant at the facility set up by Medecins Sans Frontieres (Doctors Without Borders)

 

A man carries a child through the streets near an Ebola isolation ward. Ebola, which causes a high fever, bleeding and vomiting, has no cure and no licensed treatment

A man carries a child through the streets near an Ebola isolation ward. Ebola, which causes a high fever, bleeding and vomiting, has no cure and no licensed treatment


http://www.dailymail.co.uk/news/article-2725754/Ebola-vastly-worse-thought-warns-World-Health-Organisation-America-evacuates-diplomatic-families-affected-country.html

dailymail.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한국도로공사, 2014년도 하반기 발주계획 발표

 

 

고속도로 노선도

http://www.ex.co.kr/portal/rod/route/route_info/route_info.jsp?clickParentNum=1&clickNum=0

 

한국도로공사가 8월 12일 2014년도 하반기 발주계획을 발표했다.

 

485건 1조568억원이 발주 예정이며

 

부문별로는 고속도로 신설 확장공사가 2건 3,437억원 기타공사가 169건에 3,365억원이며

설계분야 및 기타분야는 139건에 1,705억원이 발주될 예정이다.

 

파일 다운로드 2014년도 하반기 발주계획 공고.xls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작년 고전한 대형 건설社, 상반기 기대 이상 실적

 

 

 

 

작년에 잠재 부실 털어내고 低價수주 자제 등 내실 경영
대형 해외 공사 잇달아 따내… 하반기 성적도 낙관적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서 발생한 대규모 손실로 최악의 실적을 냈던 대형 건설사들이 회복 속도를 높이고 있다. 15일 본지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현대건설은 올 2분기 매출 4조7028억원,

 

영업이익 2796억원으로 국내 건설업체 가운데 최고의 실적을 냈다.

 

이는 작년 2분기보다 각각 35%, 39% 정도 증가한 것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올 상반기 4000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올렸다"며 "신규 수주액(10조8235억원)도 이미 올해 목표치(25조7000억원)의 40% 이상 달성했다"고 말했다.

 

대형 건설사, 기대 이상 '好성적'

올해 시공능력평가 1위에 오른 삼성물산도 실적 개선이 돋보인다.

 

호주 로이힐 광산 사업 등 해외 건설 프로젝트를 본격 진행하면서 2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46% 정도 늘어난 1453억원에 달했다. 상반기 전체로는 영업이익(2607억원)이 작년 상반기보다 56% 정도 급증했다.


올 4월 현대엠코와 합병한 현대엔지니어링 역시 2분기 매출(1조4939억원)이 전년보다 132% 늘어나는 등 기대를 뛰어넘는 성적을 거뒀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합병 후 회사 인지도가 높아지고 알제리 복합화력발전소 등 해외 플랜트 사업이 본격화하면서 시너지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건설사들도 잇달아 흑자로 전환하고 있다. 작년 한 해 2447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던 대우건설은 올 2분기 1138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고, GS건설은 11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7분기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1조원 가까이 손실을 기록한 삼성엔지니어링은 3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가고 있다.

 

'內實 경영' 효과…"연말엔 더 나아질 듯"

이처럼 실적이 완연하게 개선된 것은 원가 절감과 함께 저가(低價) 수주 자제 같은 체질(體質) 개선 노력을 강도 높게 벌인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연초부터 해외에서 초대형 공사를 연거푸 따낸 데다 공기(工期) 지연 등으로 손실을 입은 프로젝트들이 대부분 마무리된 것도 요인이다.

 

그동안 누적됐던 손실이나 향후 잠재적 부실 요소를 지난해 회계장부에서 많이 털어버린 것 또한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일례로 대우건설은 국내외 주요 사업장에서 발생한 손실을 작년 4분기에 일괄 반영해 7817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상반기 개선된 실적을 바탕으로 수익성 강화에 주력할 경우, 건설사들의 하반기 경영 성적표는 한층 더 나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달 정부의 LTV(주택담보인정비율)·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 완화에 이어 지난 14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추면서 주택 경기(景氣)가 되살아나는 것도 건설사들의 경영 정상화에 힘을 보탤 것이란 지적이다.

 

이경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건설사들이 수주의 질적(質的) 수준을 높이고 재고 해소 노력을 과감하게 벌이는 등 외형보다 내실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매출은 크게 늘지 않더라도 앞으로 영업이익이 확실하게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본문]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8/16/2014081600331.html?news_Head3

조선일보

홍원상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인류 멸망 카운트다운 'NWE 70년'- 핵무기 시대(Nuclear Weapons Era)에도 우리가 아직 살아있는 이유

 

 

1945년 8월 9일 일본 나가사키에 떨어진 핵폭탄.

 

노엄 촘스키 ·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언어철학과 명예교수

 

만약에 외계인이 호모 사피엔스의 역사를 정리한다면 인류의 달력을 BNW(핵전쟁 이전-before nuclear war)과 NWE(핵무기 시대- the nuclear weapons era)로 나눌지도 모른다. 후자에 해당하는 시대는 다 알다시피 1945년 8월 6일 시작되었다.

 

즉 스스로 파멸할 수 있는 지능은 달성했지만, 동물적 충동을 윤리와 지성으로 조절할 능력은 달성하지 못한 인간이란 이상한 종족의 멸종 카운트다운이 시작한 날 말이다.

 

NWE 첫날은 'Little Boy'라는 이름을 가진 단순한 핵폭탄의 '성공적' 발포로 시작되었다. 4일째가 돼서는 좀 더 섬세하게 만들어지고 기술적으로 월등한 'Fat Man'이라는 핵폭탄이 일본 나가사키에 새로운 경험을 안겼다. 그리고 5일 후 미국 공군이 말한 '대단원'이 이뤄졌다.

 

1,000대의 전투기, 폭격기를 동원한 미국의 공습이었다. 일본을 폭격하면서 동시에 '일본은 항복했다'는 전단을 사방팔방으로 뿌렸는데, 마지막 B-29 폭격기가 기지에 돌아오기 전 트루먼 대통령은 일본의 항복을 공식 발표하고 있었다.

 

NWE 시대의 상서로운 시작이었다. 그로부터 70년을 맞는 우리는 인류가 아직도 존재한다는 사실에 놀라워해야 한다. 우리는 앞으로 몇 년이 남았는지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핵무기와 핵무기 전략을 총괄하는 미국전략사령부의 지휘관이었던 리 버틀러 장군은 20년 전 이런 암시적 발언을 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우리가 NWE 시대에 아직도 생존하고 있는 이유는 "재능과 운과 신의 개입의 종합적인 결과라고 추측되는데, 아마 마지막 요소가 가장 큰 역할을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버틀러는 핵무기 전략 개발과 효율적 무기 배치를 담당하며 "핵무기의 위력을 가장 신뢰했던 사람 중 하나"였던 자신의 역할을 유감스러워했다. 그러나 이제는 "무슨 방법을 써서라도 핵무기가 우리에게 해로운 존재라는 것을 알려야 할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했다. 또 "도대체 무슨 권한으로 핵무기 보유 국가 지도자들이 우리의 생존을 위협한단 말인가. 모두 합심해 우리의 어리석음을 뉘우치고 핵무기 폐지를 외쳐야 하는 이 순간에 도대체 어떻게 이런 무모한 일이 지속될 수 있는가"라고 말했다.

 

그는 1960년대 미국에서 만들어진 공산권에 대한 자동 총공격 계획을 자신이 본 "가장 무책임하고 터무니없는 발상"이라고 말한다. 물론 소련의 대응책은 더 망측했을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경쟁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그 경쟁자가 종족 멸종을 가볍게 생각한다면 말이다.

 

냉전 초기의 생존

일반적인 지적 논리와 학문적 교리에 따르면 국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국가 안보'이다. 하지만 국가 안보라는 개념이 국민의 안위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증거가 너무나 많은데 기록을 잘 살펴보면 핵무기가 초래할 수 있는 인류의 멸망을 국가 차원에선 별로 우려하지 않는다는 것이 자명해진다. 핵무기 시대 초기에 이미 입증된 바 있고 지금까지도 그런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NWE 초기 미국은 압도적인 힘을 자랑했고 따라서 매우 안정된 보안을 유지할 수 있었다. 지구의 절반을 장악했으며 대서양과 태평양은 물론 바다 건너편까지 미국 통제하에 있었다.

 

2차 세계대전 전부터 미국은 이미 지구에서 가장 부유하고 유리한 면을 가장 많이 가진 나라였다. 다른 산업국가들은 전쟁의 타격으로 쇠퇴한 반면 미국은 전쟁을 업고 도약했다. 새로운 시대가 시작될 즈음 미국은 전세계 부의 절반을 보유하고 있었고 제조업 수용력은 그보다도 더 높았다.

 

그러나 한 가지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핵무기가 장착된 대륙간탄도미사일이었다. 핵무기 위험에 대한 전문가이자 케네디와 존슨 정부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멕조지 번디의 저서 '위험과 생존: 핵폭탄의 50년 역사'를 소개하겠다.

 

번디는 말한다. "8년간의 아이젠하워 정부가 달성한 가장 큰 성과는 탄도미사일 개발이었다. 하지만 만약에 미국과 소련이 탄도미사일을 아예 개발하지 않았더라면 현재의 핵 위험이 훨씬 낮으리라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덧붙인다. "내가 알기에는 대륙간탄도미사일을 금지하자는 진지한 제안이 어느 쪽에서도 제시된 적이 없다." 미국을 위협하는 단 한 가지 요소인 소련과의 핵전쟁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런 위험을 제거할 수 있었을까? 지금 와서 알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불가능한 것도 아니었던 것 같다. 산업개발이나 첨단기술에서 미국에 크게 뒤떨어져 있던 소련은 훨씬 더 위협적인 상황에 놓여있었다. 따라서 소련은 미국보다 무기체계에 더 취약했다. 이런 상황을 좋은 방향으로 이끌 기회가 있을 수도 있었지만, 온 나라가 흥분에 쌓인 그 시기에 기회의 존재 자체를 인식할 가능성은 희박했다. 한 예로 국가안보회의 문서 NSC-68를 들 수 있는데, 당시 외무장관 딘 애치슨의 "사실보다는 명확성"이 중요하다는 지시를 감안한다고 해도 내용이 매우 경악스럽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그래도 위험을 차단할 기회가 전혀 없지 않았다는 증거로 소련 지배자 스탈린의 놀라운 1952년 제안을 들 수 있다. 나중에 독일이 소련에 적대적인 군사동맹에 가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독일통일과 자유선거를 수락하겠다는 것이었다. 반세기 동안 독일 홀로 러시아를 두 번씩이나 멸망의 문턱까지 몰아갔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스탈린이 제시한 조건이 그렇게 이해 못할 것은 아니었다.

 

그런데 저명한 정치 해설자 제임스 워르버그 외에는 스탈린의 제안을 진지하게 받아들인 사람이 없었다. 오히려 조롱과 무시를 당했다. 최근 학자들은 새로운 견해로 당시 상황을 응시하고 있다. 강경 반공산주의 학자 아담 울람은 스탈린의 제안을 가리켜 "미해결된 미스터리"라고 불렀다.

 

워싱턴은 "모스크바의 제안을 단번에 거부했는데" 그 이유는 소련의 제안이 "당황스러울 정도로 설득력이 없다"는 것 때문이었다고 한다. 울람은 이런 정치적, 학문적, 일반 논리적 실책으로 아래의 "기본적 질문"이 남겨졌다고 말한다. 즉 "스탈린은 새로 설립될 동독을 민주주의의 제단에 희생할 의도가 정말 있었나?" 세계 평화와 미국 안보에 미치는 엄청난 영향을 고려했느냐는 것이다.

 

저명한 냉전 전문가인 멜빈 레플러는 소련 시대의 문서를 연구하고 있는 학자들이 소련의 "베리야, 즉 사악하고 잔인하기로 유명한 비밀경찰 총수가 독일 통일과 정상화를 위해 크렘린이 서부와 협상하는 것"과 "동-서 간의 대립 완화를 위해 동독의 공산 정권을 희생"하는 것, 즉 소련 내부의 정권 안정과 경제발전을 위해 위와 같은 제안을 했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했다. 그런데 이 기회는 독일의 나토 가입을 보장해야 한다는 이유로 배제됐다.

 

이런 사실을 바탕으로 볼 때, 위와 같은 제안이 정말로 이뤄졌다면 지금 미국을 위협하는 가장 큰 문제가 해결됐을 것이라고 생각해 보는 것도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그런 가능성이 아예 고려되지 않았는데 바로 그 부분이 국민의 안위가 국가 정책과 상관없다는 것을 입증한다.

 

 

쿠바 미사일 위기와 그 이후

위와 같은 일들은 계속됐다. 스탈린 사망 후 소련을 지배한 니키타 흐루시초프는 세계 역사에 가장 막강하고 부유한 미국과 군사력으로 경쟁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곧바로 알아차렸다. 전쟁의 여파와 경제적 후진성을 탈출하려면 군비 확장 경쟁을 중단해야 한다고 깨달았다.

 

따라서 흐루시초프는 상당수 공격 무기 감축을 제안했다. 새로 출범한 케네디 정부는 이 제안을 잠깐 검토한 후 거부했는데 오히려 그 이후에 더 빠른 군비 확장에 들어갔다. 이미 훨씬 앞선 군비 체제를 확보한 상태였는데도 말이다. 미국 정보 당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던 전문가 케네스 월츠는 그때 상황을 이렇게 설명한다. "흐루시초프는 군비 감축과 최소의 방어 태세를 추구했지만, 케네디 정부는 평화 시에 이루어진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전략적 군비 확장에 몰입했다. 이미 우리의 군사력 우월이 확실했는데도 말이다." 국가 안보를 해치며 국력을 키운 또 하나의 사례다.

 

미국 정보부에 따르면 소련은 이미 엄청난 인력과 전투기 감축을 시행하고 있었다. 흐루시초프는 1963년 다시 공동군비감축을 제안했다. 그 신호로 동독에 주둔하던 소련군을 철수했는데 미국에도 같은 행동을 요구했다. 물론 미국은 그 요구를 거부했다. 전직 미국 국방부 관료이자 안보 전문가인 윌리엄 커프맨은 이렇게 말한다. 미국이 흐루시초프의 제안을 수용하지 못한 것을 자신의 경력에서 가장 "후회하는 순간"이라고 말이다.

 

미국의 군비 확장에 맞서 균형을 이루기 위해 소련이 고안한 것이 1962년 10월 쿠바 핵무기 설치였다. 이 계획의 배경에는 카스트로 정권을 탄압하는 케네디 정부에 대한 반발도 있었다. 사실 같은 달 케네디는 쿠바 점령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쿠바와 소련이 이를 이미 알아차렸을 수도 있다. 그 후에 있었던 '쿠바 미사일 위기'는 "인류 역사상 가장 위험한 순간"이었다고 역사학자이자 케네디의 가장 가까운 자문이었던 아서 슐레진저는 회고했다.

 

위기가 점점 고조되자 10월 말경 흐루시초프는 케네디에게 제안한다. 소련은 쿠바에서, 미국은 터키에서 미사일을 공개적으로 동시에 회수하자는 것이었다. 터키의 주피터 미사일은 더 이상 쓸모가 없어서, 케네디가 이미 회수를 명령한 것이었다. 미국은 대신 대서양에 훨씬 더 위협적인 잠수함을 주둔할 준비가 벌써 돼 있었다.

 

케네디의 주관적인 계산으로는 흐루시초프의 제안을 거부할 경우 핵전쟁 가능성이 33~50% 정도 된다는 것이었다. 아이젠하워가 경고한 북반구를 완전히 파괴할 수 있는 그런 전쟁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네디는 흐루시초프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소련에는 쿠바에서 공개적으로 무기를 회수하라고 요구하는 반면, 미국은 소련이나 소련 동맹국 국경 어디에나 마음대로 미사일을 배치하겠다는 속셈이었다.

 

이 상황에서 더 최악의 결정을 상상하기는 불가능하다. 케네디의 그런 무모한 행동이 아직도 그를 용감한 지도자이자 지략가로 인식시키고 있다.

 

그 후 10년. 1973년 이스라엘-아랍 전쟁 당시 닉슨 정부의 국가안보보좌관이었던 헨리 키신저는 핵 경보를 울렸다. 소련을 향한 경고였는데 이스라엘의 승리를 확정하고, 그 지역에서 미국의 지배를 유지하기 위한 외교 활동에 간섭하지 말라는 신호였다. 그런 외교활동은 참으로 섬세했다. 미국과 소련이 함께 휴전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키신저는 이스라엘에 그 조치를 무시해도 된다고 알렸다. 이렇게 사태를 조작하고 있었으니 핵 경보를 울려 소련을 미리 위협해야 했다. 늘 그렇듯 미국 국민의 안보는 뒷전이었다.

 

그 후 또 10년. 레이건 대통령 시기 미국은 소련의 공중 방어체계, 그러니까 미국 공군과 해군의 공격, 핵무기 위협을 감지하는 소련의 방어체계를 시험해 보기 위한 작전을 폈다. 이 작전은 매우 민감한 시기에 실행됐는데, 바로 5분 만에 모스크바를 파괴할 수 있는 퍼싱 II 미사일을 유럽에 배치하는 기간과 일치했다. 또 레이건 대통령은 그 전에 '전략 방위 구상(일명 스타워즈)'이라는 이름의 미사일 방어 체제를 선포했었는데, 말이 방위지 사실상 공격용 시스템이라는 것은 소련을 포함한 누구든 아는 사실이었다. 그 외에도 여기저기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었다.

 

당연히 러시아 입장에선 놀랄 일이었다. 미국과 달리 러시아는 수많은 침략과 파괴 경험이 있는, 외부 침략에 취약한 국가였다. 1983년에는 정말로 전쟁이 일어날 뻔했다. 새로 공개된 문서에 따르면 역사학자들이 추측했던 것보다 위험 수준이 훨씬 높았다. CIA 보고서 '전쟁 위험은 진실이었다'에 따르면 당시 소련의 고민과 예방 차원의 핵 공격 가능성을 미국 정보부가 너무 과소평가했다. <전략연구저널>은 "예방적 핵 공격의 서곡이 될 가능성이 높았다"고 결론 내렸다.

 

지난해 9월 당시 상황이 더 위험했다는 것을 BBC 보도를 통해 알게 됐다. 러시아의 조기경고시스템이 미국에서 날라오는 미사일을 인식해 러시아의 핵 반격 시스템이 최고 경보 상태에 진입했다. 소련 군부의 프로토콜은 핵무기 반격이었다. 다행스럽게도 당시 책임 장교였던 스타니슬라프 페트로프는 이를 어기고 사건을 상부에 보고하지 않았다. 그 후 페트로프는 공식적으로 질책을 받았지만, 그의 직무유기 덕분에 우린 아직 살아서 옛날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전 정권과 마찬가지로 국민의 안위는 레이건 정부의 걱정거리가 아니었다. 에릭 슐로서의 저서 '지배와 조정 : 핵무기, 다마스쿠스의 사고, 그리고 안보에 대한 착각'에서 여러 사례가 나오듯이 위험하고 무책임한 국가의 행태는 계속되고 있다.

 

냉전 시대 이후의 생존

냉전 시대 이후의 벌어진 일이나 독트린을 생각해 보면 별로 나아진 것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자존심 있는 대통령 치고 독트린을 만들지 않은 사람이 없다. 예를 들어 클린턴 독트린은 '되도록이면 다방면적으로, 필요하면 일방적으로'라는 구호로 규명할 수 있는데 의회 증언에서 '필요하면'이라는 말의 정의를 엿볼 수 있다.

 

미국은 "거침없는 시장 진입과 에너지 확보 그리고 전략적인 자원 확보"를 위해 "일방적인 군사력 행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클린턴 정부 하에서 미국전략사령부는 '냉전 시대 이후, 외부침략을 제지하기 위한 필수 사항'이란 매우 중요한 연구를 발표했는데 이 연구는 소련 붕괴가 이미 옛날이야기인 시대, 즉 클린턴이 조지 H.W. 부시의 전례에 따라 나토군 주둔을 점점 더 동쪽으로 밀고 나간 시기에 준비된 것이었다. 약속을 저버린 미국에 고르바초프는 분노했고 그 여파가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전략사령부의 연구는 '냉전 이후 시대의 핵무기 역할'을 다뤘는데 결론은 미국은 선제 공격권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핵무기 보유 국가가 아닌 상대라도 말이다. 또 핵무기의 위력이 항상 존재해야 하는데 이유는 "모든 분쟁과 위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방아쇠를 당기지 않은 채 총을 들고 있는 것만으로도 가게를 터는 데 효과가 있듯이 미국은 핵무기를 계속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쟁점은 다니엘 엘스버그가 여러 번 강조한 적 있다).

 

전략사령부는 또 "전략을 짜는 입장에서... 상대방이 무엇을 가장 귀중하게 여기는지를 너무 논리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모든 걸 공격 대상으로 여기면 된다는 뜻이다. "우리가 너무 논리적이고 냉철하게 보이는 것은 오히려 불리하다... 중요한 곳을 타격 받은 미국이 비합리적인 복수에 나설 수 있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인식하게 하는 게 바람직하다" "(전략적 차원에서) 우리가 쉽게 '통제할 수 없는' 요소가 있다는 것을 인식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즉 핵 위험을 암시하자는 것이다. 유엔헌장에 대립하는 발상이지만 누가 신경이나 쓸까?

위 문서에서 핵비확산금지조약에 따라 핵무기라는 지구의 재앙을 없애기 위한 '진정한 노력'이란 목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힐레어 벨록의 총에 관한 2행시를 개작한 아프리카 역사학자 친웨이주 말을 인용하는 게 나을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우리는 가졌다.


원자 폭탄을, 그들에겐 없다."

클린턴 이후 조지 W. 부시의 시대. 예방 전쟁을 옹호하는 그의 행동은 일본이 1941년 미군기지를 폭격한 것과 크게 다를 바 없다. 일본은 미국이 B-17 폭격기 제조가 끝나면 바로 아시아에 배치되라는 것을 눈치채고 미리 습격했다. 미국이 "개미가 득실거리는 혼슈와 규슈의 대나무밭을 폭격해 일본의 산업구조를 파괴한다"는 의도로 폭격기를 준비하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이런 미국의 전쟁 계획은 루스벨트 대통령, 코르데 헐 외무장관, 조지 마셜 육군참모총장의 열렬한 지지하에 공군 장성 클레어 세널트가 구축한 것이었다.

 

그리고 오바마 시대. 그는 핵무기를 없애야 한다는 듣기 좋은 언어를 많이 구사한다. 그런데 동시에 향후 30년 동안 핵 군비를 위해 1조 달러를 지정하였다. 몬테레이국제교류인스티튜트 핵 비확산 연구센터의 제임스 마틴의 연구에 의하면 이는 1980년대 레이건 대통령 시기 방어체제 구축을 위해 책정된 금액과 맞먹는 규모다.

 

오바마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위험한 행동을 마다하지 않는다. 해군 특수부대(네이비실)가 실행한 오사마 빈 라덴의 제거가 한 예다. 오바마는 2013년 5월 연설에서 매우 자랑스러운 듯 그 이야기를 꺼냈다. 이 연설은 언론에서 많이 다루어졌는데, 아주 중요한 부분은 간과됐다.

 

오바마는 작전에 환호했지만, 기준이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 이유는 위험이 "너무 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네이비실이 "연장된 전투에 말려들" 수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그런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지만 "파키스탄과의 관계에 무리가 있었고, 파키스탄 시민들은 그들의 국경이 침범당했다는 사실에 격분했다"고 그는 말했다.

 

그럼 몇 개의 보충 설명을 여기서 해보자. 작전 중에 잡힐 경우 어떻게든 빠져나오라고 네이비실에 명령이 내려졌다. 하지만 네이비실이 정말로 "연장된 전투에 말려들게" 됐다면 그들을 모른 체 했을 리 만무하다. 미국 군사력을 총동원해서라도 구출했을 것이다. 그런데 영토주권을 중시하는 파키스탄은 막강한 군사력을 자랑한다. 또 파키스탄은 핵무기 보유 국가이며 핵 정보가 지하드 세력에게 새어나갈까 늘 조심한다. 그리고 끊임없는 무인기 폭격 때문에 미국과 워싱턴에 대한 시민들의 반감이 매우 높았다는 것도 다 아는 사실이다.

 

네이비실이 빈 라덴의 집을 침투했다는 보고를 받은 파키스탄 참모총장은 지원군이 온다면 인도에서 올 것으로 예측하고 "정체불명인 비행기는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같은 시간에 카불에 주둔하고 있던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 장군은 만약에 파키스탄이 "전투기를 투입하면" 미국도 "전투기로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오바마 말대로 운 좋게 이런 최악의 경우가 안 일어난 것이었다.

 

물론 훨씬 나쁜 사태로 변질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런 위험 요소들이 무시된 채 작전은 이행됐으며 이후에도 그에 대한 반론은 거의 없다.

버틀러 장군이 관찰한 것처럼 이제까지 우리가 멸종하지 않고 존재한다는 사실은 거의 기적이다. 그러나 운명을 계속 조롱할수록 신의 중재가 기적을 계속 가능케 할 것이라고 보장할 수 없다.

 

* 이 글은 허핑턴포스트US에 실린 글을 번역한 것입니다.

http://www.huffingtonpost.kr/noam-chomsky/story_b_5680794.html?1408089084&utm_hp_ref=korea

 

 허핑턴포스트코리아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2014년 8월 12일 중동 플랜트사업 동향] 쿠웨이트 KOC의 원유집하시설 29번 프로젝트 외

 

 

1.  쿠웨이트 KOC의 원유집하시설 29번 프로젝트

 

KOC가 발주한 원유집하시설 29번 프로젝트를 페트로팩(Petrofac)이 지난 7 316.9억 불에 계약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10만 배럴의 원유, 24만 배럴의 물, 그리고 6천만 입방피트의 가스를 생산하는 원유집하시설 29(GC-29)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공사기간은 38개월이다,

 

2.  쿠웨이트 KOC의 원유집하시설 30번 프로젝트

 

KOC가 발주한 원유집하시설 30번 프로젝트를 인도의 L&T가 지난 7 318.5억 불에 게약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10만 배럴의 원유, 24만 배럴의 물, 그리고 6천만 입방피트의 가스를 생산하는 원유집하시설 30(GC-30)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공사기간은 38개월이며 에이멕이 FEED PMC를 맡고 있다.

 

3.  쿠웨이트 KOC의 원유집하시설 31번 프로젝트

 

KOC가 발주한 원유집하시설 31번 프로젝트를 인도의 도쌀(Dodsal)이 한국업체들의 경쟁을 꺾고 지난 7 318.1억 불에 수주하였으며, 도쌀이 쿠웨이트에서 수주한 첫 번째 EPC프로젝트로 기록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인프라시설 및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포션1원유집하시설 31(GC-31)을 건설하는 포션 2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션 1의 공사기간은 36개월, 포션 2 38개월이다.

 

4.  쿠웨이트 KOC의 북부유전 배수처리 및 주입시설 프로젝트

 

KOC는 북부유전 배수처리 및 주입시설 프로젝트의 예산을 당초의 3억 불에서 10억 불로 증액 승인을 받음에 따라, 9.5억 불의 최저가를 제출한 도쌀과 오는 8월 하순에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사브리야와 라우다탄 유전지대 내에 수처리시설 1, 탱크 2, 펌프 15, 250킬로미터의 파이프라인 등을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2017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5.  사우디 아람코의 라스탄누라 클린퓨얼 및 아로마틱스 플랜트 프로젝트

 

아람코가 발주하는 라스탄누라 클린퓨얼 및 아로마틱스 프로젝트의 재입찰에 대한 EPC PQ결과가 나왔으며 대림산업, 삼성엔지니어링, 현대건설, 한화건설, GS건설, JGC, 사이펨,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 테크니몽, 포스터휠러 등의 10개사 통과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라스탄누라 정유공장 내에 클린퓨얼시설과 아로마틱스 플랜트를 건설하는 3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입찰서는 오는 9월에 발급될 예정이다. 이번 재입찰은 예산을 낮추기 위해 패키지 2번의 PX생산시설을 빼고 패키지 1(납사 및 아로마틱스 처리시설) 패키지 3(간접 및 동력시설)으로 구성되며 제이콥스가 FEED를 맡고 있다.

 

 

6.  사우디 아람코의 아브카익 원유안정화시설 프로젝트

 

아람코가 발주한 아브카익 원유안정화시설 프로젝트를 인도의 에싸르(Essar)가 지난 8 10 54백만 불에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샤이바에 위치한 아브카익 플랜트 내 원유생산 안정화시설(Crude Stabilization Unit) EPC로 업그레이드하는 사업이며 공사기간은 29개월이다.

 

7.  사우디 전력청의 쥬베일 산업단지 380kV 변전소 프로젝트

 

사우디의 전력청(SEC)이 발주한 쥬베일 산업단지 380kV 변전소 프로젝트를 현대건설이 지난 8 6 2.5억 불에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쥬베일 산업단지 내에  들어설 380kV급 변전소를 EPC로 건설하는 사업이며 공사기간은 27개월로 2016 10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8.  오만 OPWP MIS 민자 발전소 프로젝트

 

오만의 수전력구매공사인 OPWP가 발주하는 MIS 민자 발전소 프로젝트의 PQ가 지난 8 3일에 마감되었으며 GE, CHD, 마프나그룹, 미쓰비시중공업, 셈콥, EDF, GDF수에즈, 한전, 마루베니, 미쓰이 소지쓰 등의 11개사가 참여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2,650MW급 민자 발전소를 중앙전력망(MIS: Main Interconnected System) 내에 추가로 건설하는 13억 불 규모의 사업이다.

 

9.  이집트 ERC의 모스토로드 정유공장 프로젝트

 

이집트의 국영정유회사(ERC)가 발주하여 GS건설이 EPC로 수행하고 있는 모스토로드(Mostorod) 정유공장 프로젝트의 토목과 건물 패키지를 현지의 HAC(Hassan Allam Construction)가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20만 배럴 규모의 정유공장을 모스토로드에 건설하는 37억 불 규모의 초대형사업으로, HAC GS건설의 하청으로 정유공장 내 1번 지역에 대한 토목과 건축공사를 진행하며 공사기간은 20개월이다. 월리파슨스가 PMC를 맡고 있다.

 

(입력: 2014 8 12)

http://blog.daum.net/sungwhan_c

조성환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서울시, 석촌지하차도 도로함몰 관련 중간조사 및 대책방안 발표

 

 

 

[관련보도]

잠실 석촌지하도 밑 거대한 동공 발견...점차 무너져 내려

http://conpaper.tistory.com/21202

 

 

외부 전문가 10인 참여한 조사단의 중간조사 결과와 향후 재발방지 대책

조사단은 쉴드 터널 공사 원인으로 추정, 정밀한 추가 조사 시행 계획
2차 피해 없도록 13일 16시부터 석촌 지하차도 양방향 차량통행 전면 통제

정밀안전진단 실시 및 보수·보강 후 안전성 확보 이후 차량 통행 재개
기 굴진된 쉴드 터널 충적층 구간 및 향후 굴진 예정인 쉴드 터널 구간 안전 확보
 

조사 개요

조사대상 : 상·하수도관, 지하철(919공구) 터널공사, 석촌호수
조사기간 : ‘14.8.6~8.13(8일간)
조 사 자 : 관동대학교 박창근 교수외 9명
조사경위
‘14.8.5 최초 동공발생이후 8.6일 조사단 구성․조사착수, 8.7일 최초 발생지점 주변을 굴착조사(하수박스, 상수도관)하여 8.11일 상태확인 한 결과 지하매설물에 의한 원인은 아닌 것으로 판단
8.11일 지하철 굴착공사로 인한 취약구간인 지하차도 바닥하부를 시추조사한 결과, 1차 함몰과 유사한 동공발생 확인(8.13일 11시)
⇒ 이에 따라 1,2차 도로함몰은 지하철굴착공사로 인한 것으로 추정

 

1. 상하수도관로 등 지하매설물은 원인이 아닌 것으로 판명

 

하수도관
하수도관 조사결과, 내외부 균열이 일부 발생된 것으로 확인하였으나, 균열부 저판지반이 원지반이고 토사가 유실된 흔적을 발견못함.

 

광역 상수도관
광역상수도관 흐름상태를 확인한 결과, 일정수압이 유지되고 있고 누수흔적이 없음.
※ 인근 폐상수도 관로 내부에 시멘트 몰탈, 흙 등이 채워져 있고 물이 흐른 흔적이 없음.

 

광역상수도 점검                                               폐광역 상수도관 내부상태


2. 지하철(919공구)쉴드터널공사가 주요 원인으로 추정

터널굴착 공사전 시공사가 작성하여 동부도로사업소에 제출한 지반보강 공법 선정보고서에 의하면
① 터널내 수평그라우팅은 주입범위 부족에 따른 지하수 과다유입시 붕락 위험이 있고

② 갱내 그라우팅 시공시 Roof형태가 안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하수 과다 유입시 막장이 불안정한 것으로 검토하여 터널굴착시 지반보강공법을 시행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음.

 

또한, 시공사가 작성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에 따르면
① 위기형태를 Shield TBM 굴진중 상부지반 공동발생으로 지반침하가 예상되어 안전사고 위기에 대응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② 이에 대한 행동매뉴얼을 작성한 것으로 유추해 볼 때
   

본 사고는 지하철의 시공관리 미흡으로 추정되는 바, 정밀한 추가조사를 시행하여 확인할 예정임.


3. 석촌호수와 관련성
석촌호수의 수위 변동에 따른 사고구간 지반침하 영향에 대해서는 이격거리등을 감안할 때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어 보이나관련여부도 조사 예정임.


첨부 : 참고자료 1부. 끝.

(기자설명회-PPT)석촌지하차도_도로함몰_관련_중간조사_및_대책방안_발표.pptx (14791349 Bytes)
석촌지하차도 설명회 참고 자료-조사단 발표자료.hwp (5132288 Bytes)
[자료제공][엠바고 오전10시](현장설명회)석촌지하차도 도로함몰 관련 중간조사 및 대책방안 발표.hwp (5441536 Bytes)
서울시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

오만 철도프로젝트, PQ통과 23개 컨소시엄 발표...한국 5개사 포함 Tender for Oman National Railway project this month

 

 

source globalwindow

오만 철도프로젝트 1단계 구간 노선도 Buraimi-Sohar 170km

 

 

[Relevant Link]

2,244km 오만 철도프로젝트, 23개 시공자 컨소시엄 PQ통과.

http://conpaper.tistory.com/21120

 

 

 

 

 

지난 8월 11일 콘페이퍼가 보도한 오만철도 프로젝트의 PQ통과 23개 컨소시엄사가 밝혀졌다.

 

국영기업 오만철도회사(ORC)는 8월 14일 2,244km 오만 철도프로젝트의 PQ통과 시공 및 궤도부문 18개 컨소시엄과 5개 기술시스템분야 컨소시엄을 선정 발표했다.

 

한국은 현대건설(주간사)컨소시엄과 삼성물산, SK건설, 포스코건설, 대우건설 등 5개사가 PQ에 통과했다.

 

ORC는 이달 말에 1단계인 170-km Sohar-Buraimi 구간 시공을 위한 본격적인 입찰 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발표된  23개 PQ통과업체는다음과 같다.

 

[18개 시공 및 궤도부문 컨소시엄]

FCC Construction SA (leader), Larsen and Toubro Ltd and Khalid bin Ahmed & Sons;

Strabag AG (leader), CCC Oman and Samsung E&C;

Salini Impregilo Spa;

China State Construction Engineering Corporation (leader) and SK E&C;

International Contractors Co (leader), China Railway Construction Corporation Ltd and Mohammed Al Kharafi & Sons;

Habtor Leighton Middle East (leader), Al Hassan Engineering, Posco E&C and Khimji Ramdas;

Societa Italiana Per Condotte D'Acqua Spa (leader), Federici Stirling Batco, SWS Engineering Spa and Itinera Spa;

Vinci Construction Grand Projects (leader), Aktor Technical SA and Vinci Construction Terrassement;

Porr  Bau GmbH (leader), Yuksel Insat, Sarooj Construction Company and Daewoo E&C;

Saipem Spa (leader), Rizzani De Eccher Spa  and Dogus Insaat;

Ircon International Limited (leader), Hani Archirodon and Tata Projects;

China Tiesiju Civil Engineering Group Co. Ltd (leader) and China Railway Eryuan Engineering Group Co Ltd;

Astaldi Spa (leader), ONEIC, Yapi Merkezi and Corsan-Corviam Construccion SA;

Sinohydro Corporation Ltd (leader) and Arabtech Construction;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leader), Hassan Juma Backer, Assignia Infraestructuras and Maire Tecnimont Civil Construction;

Acciona Infraestructuras  (leader), Ozkar and Teixeira Duarte Engineer & Constructed;

China Railway  Engineering Corporation (leader) and Mapa-Gunal Oman

Ferrovial Agroman SA (leader) and Galfar Engineering & Contracting.

 

[5개 기술시스템분야 컨소시엄]

Ansaldo STS Spa;

Bombardier Transportation Italy Spa (leader) and Sirti Spa;

Siemens AG (leader) and Siemens Oman;

Thales Deutschland Transportation Systems GmbH (leader) and Thales Oman

Alstom Transporte SA (leader) and Alstom Belgium SA

 

8월 11일자로 콘페이퍼가 보도한 바와 같이 기본설계분야는 이태리 국영회사인 이탈페르(Italferr)사가 선정되었으며 한국의 도화 파슨스 컨소시엄과 TecnicasReunidas사가 경합 중인 PMC분야는 아직 발표되지 않고 있다.

 

http://www.timesofoman.com/news/37883/Article-Tender-for-Oman-National-Railway-project-this-month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