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마포 석유비축기지 국제현상설계 공모전’ 당선작 발표
1등 당선작품
작품 개요
수상자 명단
서울시
editor kcontents
국제현상설계 공모 당선작 : RoA의 ''땅(石)으로부터 읽어낸 시간'' -
마포구 매봉산 자락에 자리잡고 131만 배럴 석유를 담아뒀던 지름 15~38m, 높이 15m(5층 건물 규모)의 탱크 5개를 비롯, 1970년대 산업유산인 마포 ‘석유비축기지’ 10만1,510㎡가 ‘문화비축기지’로 새 옷을 갈아입고 오는 2016년 문을 연다.
서울광장의 약 8배 이르는 대규모 공간으로, 2000년 용도폐기 돼 방치된 지 14년만의 탈바꿈이다.
<공연장, 전시장 등으로 채워지거나 연결, 탱크의 과거와 현재를 공간적 재해석> 서울시는 ‘마포 석유비축기지 국제현상설계경기’의 당선작으로 백정열[㈜알오에이 건축사사무소] 외 2인이 출품한 ‘Petro - Reading the story of the site(땅(石)으로부터 읽어낸 시간)’를 최종 선정했다고 25일(월) 발표했다. 서울시는 올해 초 ‘환경과 재생’을 주제로 한 친환경 복합문화공간을 만들어 시민 품으로 돌려준다는 구상을 세우고 지난 5월 20일 ~ 8월 12일, 공모전 접수를 받았다.
공모전 84일간 최종적으로 95개 작품이 제출됐으며, 16개국 53인의 외국인 건축사를 포함해 총 227명의 건축사가 참여했다. 설계를 위해 실시한 현장설명회(7.2)에도 220여 명이 참석하는 등 공모전은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됐다.
1등 당선작은 이 장소(site)가 생겨나고 존재해왔던 이야기를 기억하고 그 과정을 유추하여 우리시대의 언어로 재구성한 작품으로 조성룡, 이토 토요 등 국내외 명망 있는 건축, 조경 전문가 5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심사(21일~23일)를 거쳐 최종 선정됐다. 2013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일본 건축가 이토 토요(Ito Toyo), 광주 비엔날레 큐레이터였던 미국 시라큐스 대학의 프란시스코 사닌(Francisco Sanin) 교수, 선유도공원 설계자인 조성룡 성균관대 교수를 비롯해 김승회 서울대 교수, 조경진 서울대 교수와 김영준도시건축의 김영준 대표가 참여했으며, 위원장은 조성룡 교수가 맡았다.
<당선작, 과도한 설계 자제하면서 고유 지형의 잠재력 최대한 이끌어냈다는 평>
과도한 설계를 자제하면서 이 땅이 지닌 지형의 고유 잠재력을 최대로 이끌어 냄으로써 탱크와 풍경이 하나가 된 유일한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1등 당선작 이외에도 2등(1작품), 3등(1작품), 가작(9작품) 등 총 12개의 작품이 선정됐다고 시는 밝혔다. 2등에는 ‘Park T6’(김성한[건축사사무소 아크바디] 외 2인), 3등에는 ‘Culture Casting Tank’(손을식[㈜시스템 랩 그룹 건축사사무소])가 뽑혔다.
가작으로는 ▴‘Floating Pergola’(김광수[건축사사무소 커튼홀] 외 2인), ‘Disclosed Ground’(송상헌[에이코랩 건축사사무소] 외 1인) ▴‘Tracing the Vestiges : A loggia connecting the landscape and technoscape’(조영수[㈜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외 1인), ‘ the Door’(박영일[㈜건축사사무소 핸드] 외 1인) ▴ ‘Five Cosmic Elements in a Park ’(오성제[에이앤유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외 1인) ▴‘Natural Path’(이종수[노드에이건축사사무소] 외 1인), ▴‘Loop Tank : A Mysterious Journey’(이충렬[㈜더 시스템 랩 건축사사무소]) ▴‘Narration of the Memories’(장성렬[㈜이안디자인건축사사무소] 외 3인) ▴‘Floating Promenade’(김택빈[이스케이프 건축사사무소] 외 1인)이 선정됐다.
<16년 말 개장..노을․하늘공원-월드컵경기장 등과 함께 서북권 생태․문화거점>
특히, 5개의 석유탱크가 생겨나고 존재해왔던 과정을 유추해 우리시대의 언어로 재구성하여 산업유산의 고유한 장소적 가치와 역사성을 살리는 도시재생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서울시는 2017년 서울에서 열리는 123개국, 130만 명의 건축가 회원을 가진「국제건축가 연맹 UIA(International Union Of Architects)총회」에 참석한 전 세계 건축가들을 대상으로도 문화명소로 탈바꿈한 마포 석유비축기지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시상식은 9월 16일(화) 오후 2시에 태평홀에서 열리며, 당선작으로 선정된 ‘백정열[㈜알오에이건축사사무소] 외 2인’에게는 상패와 기본 및 실시설계권이 주어진다. 관련 계약은 10월에 이뤄진다. 2등 작에는 상패 및 상금 5000만원, 3등 작에는 상패 및 상금 2000만원이 각각 수여된다.
당선작을 비롯한 입상 작품들은 오는 9월 12일부터 일주일간 시청 1층 로비에 전시해 시민들에게도 공개한다.
<기존 산업유산의 장소적 특성 살리면서 도시재생 트렌드 선도하도록 완성>
주변 상암동 일대가 첨단 디지털미디어산업의 중심으로 변화되고 쓰레기 매립지는 노을·하늘공원으로 바뀌었음에도, 2000년 용도폐기 된 이후 잊혀진 공간으로 남아있었다.
박원순 시장이 취임 후 현장을 방문하면서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가진 잠재력과 가치를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해왔으며, 시민, 학생․전문가 아이디어 공모 및 공개토론회 등 수 차례에 걸친 공론화과정을 거쳐 ‘친환경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자는 공감대를 형성, 올해 1월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이번에 실시한 현상공모 대상지는 시가 발표한 기본구상 중 1단계에 해당한다. 2단계 사업인 주차장 부지 일대는 1단계 내용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상암 DMC의 산업지원 기반으로 추후 개발·조성할 계획이다. 1․2단계 총 면적은 서울광장의 11배인 약 146,245㎡.
서울시 140824_기자설명회_최종본.pdf (9051841 Bytes) |
Construction News
CON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