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수성태'에 한방 맞고 '혼수상태'된 준표


'혼수성태'에 한방 맞고 '혼수상태'된 준표


자기편이라고 믿고 미국 갔다왔더니 '변절?'

정치란 냉혹한 것?


난 잘 몰라서

이 사진들보면 왜 웃음이 절로 나오는지 나도 모르겠네




snsmedia



댓글()

건강한 70세 이상 노인, 저용량 아스피린 효과 없다 Low-Dose Aspirin Late in Life? Healthy People May Not Need It


Low-Dose Aspirin Late in Life? Healthy People May Not Need It

By Denise Grady

Sept. 16, 2018


Should older people in good health start taking aspirin to prevent heart attacks, strokes, dementia and cancer?


No, according to a study of more than 19,000 people, including whites 70 and older, and blacks and Hispanics 65 and older. They took low-dose aspirin — 100 milligrams — or a placebo every day for a median of 4.7 years. Aspirin did not help them — and may have done harm.


Medical Xpress




 

건강한 70세 이상 노인, 저용량 아스피린 효과 없다


100mg

호주 모나쉬(Monash) 대학 연구팀


  건강에 별 문제가 없는 70세 이상 노인에게는 저용량(100mg) 아스피린 복용이 심뇌혈관 질환 또는 사망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에서 심뇌혈관 질환 병력이 없는 70세 이상 노인 1만6천703명, 미국에서 건강한 65세 이상 흑인과 히스패닉계 노인 2천411명 등 총 1만9114명을 대상으로 평균 4.7년 동안 진행된 임상시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16일 보도했다.


‘아스피린의 노인 건강위험 감소 효과’(ASPREE)라고 명명된 이 임상시험은 호주 모나쉬(Monash) 대학 역학·예방건강학과장 존 맥닐 박사와 미국 미니애폴리스 헤네핀 헬스케어(Hennepin Healthcare) 임상연구실장 앤 머리 박사 연구팀이 미국 보건원(NIH)과 호주 보건·의학연구위원회의 지원 아래 진행했다.


미국에서 임상시험 대상자 연령을 65세 이상으로 한 것은 흑인과 히스패닉계 주민이 심뇌혈관 질환과 치매 발병률이 높기 때문이다.


임상시험은 전체 대상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9천525명에게는 100mg짜리 저용량 아스피린, 9천589명에게는 위약이 투여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저용량 아스피린은 바이엘 제약회사가 공급했다.


우선 임상시험 기간에 사망한 사람은 아스피린 그룹이 5.9%, 대조군이 5.2%였다.


아스피린 그룹이 사망률이 높게 나타난 것은 1차적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이지만 이는 우연일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해석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관상동맥 질환(심장병), 비치명적(non-fatal) 심근경색, 치명적 또는 비치명적 뇌경색 등 심뇌혈관 질환 발생률은 아스피린 그룹이 448명, 대조군이 474명이었다.


연구팀은 아스피린의 부작용일 수 있는 내출혈의 발생률도 비교했다.


수혈이나 입원이 필요할 정도의 뇌출혈, 위장관 출혈, 기타 부위 출혈이 발생한 사람은 아스피린 그룹이 361명(3.8%)으로 대조군의 265명(2.7%)보다 훨씬 많았다.


이 결과에 대해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의 레슬리 포드 임상연구실 부실장은 아스피린이 암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들과 달리 아스피린 그룹의 암 사망률이 높게 나타난 것은 놀랍다면서 이 임상시험 결과에 대한 분석작업이 아직도 진행 중인 만큼 이 부분의 해석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논평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의 의학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온라인판(9월 16일 자)에 발표됐다.

연합뉴스/사이언스타임스


edited by kcontents


Taking it did not lower their risks of cardiovascular disease, dementia or disability. And it increased the risk of significant bleeding in the digestive tract, brain or other sites that required transfusions or admission to the hospital.


The results were published on Sunday in three articles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One disturbing result puzzled the researchers because it had not occurred in previous studies: a slightly greater death rate among those who took aspirin, mostly because of an increase in cancer deaths — not new cancer cases, but death from the disease. That finding needs more study before any conclusions can be drawn, the authors cautioned. Scientists do not know what to make of it, particularly because earlier studies had suggested that aspirin could lower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The researchers had expected that aspirin would help prevent heart attacks and strokes in the study participants, so the results came as a surprise — “the ugly facts which slay a beautiful theory,” the leader of the study, Dr. John McNeil, of the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preventive medicine at Monash University in Melbourne, Australia, said in a telephone interview.


The news may also come as a shock to millions of people who have been dutifully swallowing their daily pills like a magic potion to ward off all manner of ills. Although there is good evidence that aspirin can help people who have already had heart attacks or strokes, or who have a high risk that they will occur, the drug’s value is actually not so clear for people with less risk, especially older ones.


The new report is the latest in a recent spate of clinical trials that have been trying to determine who really should take aspirin. One study published in August found no benefit in low-risk patients. Another found that aspirin could prevent cardiovascular events in people with diabetes, but that the benefits were outweighed by the risk of major bleeding.


A third study found that dose matters, and that heavier people might require more aspirin to prevent heart attacks, strokes and cancer.




The newest findings apply only to people just like those in the study: in the same age ranges, and with no history of dementia, physical disability, heart attacks or strokes. (Blacks and Hispanic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t a younger age than whites because they have higher risks than do whites for dementia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addition, most did not take aspirin regularly before entering the study.

https://www.nytimes.com/2018/09/16/health/aspirin-older-people-heart-attacks.html

kcontents

댓글()

분당·하남·과천 등..."하반기 예정된 공공분양 유의점은"


분당·하남·과천 등..."하반기 예정된 공공분양 유의점은"


부동산 대출 규제 등 더욱 강화

상대적 낮은 가격 접근 청약 몰려


    9ㆍ13 부동산 대책으로 부동산 대출 규제 등이 더욱 강화되면서 실수요자들의 눈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접근할 수 있는 청약으로 쏠리고 있다. 특히 이번 대책의 한 축이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청약에서 무주택자들의 당첨 가능성이 더 커진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공공택지에 들어서는 분양, 특히 공공분양의 경우 실거주 목적을 확실히 가려내기 위해 전매제한과 거주의무 기간이 함께 늘어났다는 사실을 확인하라고 조언했다. 분양가격이 주변 시세 대비 낮아 '로또분양'이라는 점에만 주목하지 말고 집값을 감당할 수 있는지, 실거주가 가능한지 등을 따져보라는 것이다.


 비즈니스워치



 edited by kcontents


1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하반기 경기도 성남, 하남, 과천, 광주, 수원 등 수도권 일대에서 9300여가구의 공공분양이 예정돼 있다. 10월 성남 수정구 금토동에서 판교창조밸리A1 81가구와 하남 신장동 현안2지구A1 999가구가 분양 예정이다. 11월엔 과천 갈현동 과천지식정보타운S9블록 433가구, 광주 역동 광주역세권자이 573가구가 분양을 대기 중이다. 수원 팔달구 고등동 수원역푸르지오자이 4086가구 역시 11월 분양 예정이다. 12월엔 광주 오포읍 광주오포공동주택더샵(C2) 1475가구와 하남 감일동 하남감일B3ㆍB4 총 1600여가구가 분양에 나설 계획이다. 


공공분양을 위해선 청약저축이나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한 무주택자여야 한다. 이밖에도 면적에 따라 소득기준이 적용된다. 전용면적 60㎡ 이하 공공 아파트를 분양 받으려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3인 이하 500만2590만원 등)을 넘지 않아야 한다. 


여기에 이번 9ㆍ13 대책으로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 받는 수도권 주택은 전매제한 기간이 확대됐다. 이는 공공택지에서 공급하는 분양물량 모두에 해당된다. 공공분양의 경우 거주의무기간 역시 최대 5년으로 설정됐다.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될 수록 전매제한 기간은 길어진다. 공공택지 내 공공분양 물량의 분양가격이 인근 시세의 70% 미만인 경우 전매제한 기간이 기존 6년에서 8년으로 늘어난다. 거주의무기간 역시 5년이다. 분양가가 주변 시세의 70~85%라면 전매제한 기간은 6년, 거주의무기간은 3년이다. 따라서 해당 기간동안 실거주가 가능한지, 자금여력이 되는지 등을 고려해야한다. 




단 주택법 시행령 개정 후 분양하는 공공주택부터 적용돼 공공분양에 관심을 둔 실수요자라면 시행령 개정 시기를 지켜봐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실수요자들은 분양을 통해 내집마련의 기회를 잡는 것이 좋다"면서도 "해당 지역의 분양 요건 등을 잘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아시아경제]

케이콘텐츠

댓글()

일 호우 재해지에 '재이용 가설주택'에 입주 시작 VIDEO: 西日本豪雨 仮設住宅再利用、福島から岡山へ


西日本豪雨 仮設住宅再利用、福島から岡山へ


7月の西日本豪雨で被災した岡山県総社市に、東京電力福島第1原発事故で使われた福島県の仮設住宅を再利用した仮設住宅22戸が建設され、15日入居が始まった。市から鍵を受け取った入居者は早速荷物を運び入れ、安心した表情を見せていた=写真・猪飼健史撮影。


 入居した仮設住宅で笑顔を見せる夫婦=岡山県総社市で2018年9月15日、猪飼健史撮影 

재이용 가설주택/mainichi.jp




"원전사고 피난민 입주 주택 옮겨와"


호우 재해지 오카야마현 소자시 15일, 가설주택 입주 시작. 

원전사고 피난민 입주했던 가설주택, 후쿠시마현 이와키시에서 옮겨와

교도통신


https://mainichi.jp/articles/20180916/ddm/041/040/056000c


kcontents

댓글()

서울로7017에서 이어지는 7개 보행길 조성된다


서울로7017에서 이어지는 7개 보행길 조성된다


  서울시가 '서울로7017'에서 서계동, 중림동, 회현동, 후암동, 서소문동 등으로 이어지는 보행길 7개를 새롭게 조성한다고 17일 밝혔다.


서울시는 서울로7017을 설계한 네덜란드 건축가 비니마스가 제안한 기본구상안 가운데 타당성 검증을 통해 7개 연결길 총 7.6㎞를 우선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길별로 건물 간 연결, 골목길 녹화, 거리카페 조성, 보행공간 확장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마스터플랜을 연내 수립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윤고은 기자 




[전문]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9/17/0200000000AKR20180917011800004.HTML

케이콘텐츠

댓글()

한 해 축구장 190개 숲 '태양광 광풍'에 사라져… 폐패널은 두달째 방치


한 해 축구장 190개 숲 '태양광 광풍'에 사라져… 폐패널은 두달째 방치

박은호 논설위원 


'태양광 후유증' 현장을 가다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 계획'은 국내 발전량의 7% 수준인 태양광·풍력 등을 2030년까지 20%로 늘린다는 게 골자다. 여기에 100조원이 든다. 이명박 정부 4대 강 사업 건설비의 5배 수준이다. 이 '100조 프로젝트'를 위해 정부는 7000억원 들여 보수한 월성 원전 1호기를 가동 중지하고 노후 원전 10기 수명 연장 중단, 신규 원전 6기 건설 취소 조치를 내렸다. 


확대되는 재생에너지의 주축은 태양광이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작년 5.7GW(기가와트) 규모인 태양광 설비가 2030년까지 5.4배인 30.8GW로 늘어난다. 경제성·효율성이 높은 원전은 홀대하고 태양광은 막대한 자금을 퍼부어 '속도전'으로 부양시키는 것이다. 사달은 벌써부터 나고 있다. 마구잡이 허가에 부실 공사, 환경 훼손, 주민 반발이 커지고 있다. 준비 안 된 정책을 밀어붙인 결과다.마을 주민들은 벌게진 얼굴로 목소리를 높였다. "태양광 세우려고 50~60년 자란 나무를 벌목해도 되는 겁니까?" 10일 찾아간 경기 여주시 점동면 A씨 집 뒤편 야산(해발 162m)엔 20~30m가 넘는 참나무, 소나무가 빽빽했다. A씨는 "아까운 이 숲이 곧 사라질 판"이라고 했다. 환경부는 '2만여㎡의 산자락을 깎고 나무 1325그루를 벌목하겠다'는 이 사업을 환경영향평가를 거쳐 지난달 28일 승인했다.


반대편 산자락(2만5000㎡)도 같은 날 환경평가를 통과했다. 돼지 농장을 운영하러 귀농했다는 한정헌(31)씨는 믿기지 않는다는 표정이었다. "어떻게 이런 숲을 망가뜨린다는 걸 허용하죠? 정부가…."




'태양광 속도전'으로 전국 곳곳에서 아우성이 터져 나온다. 경관 훼손과 환경오염을 걱정하는 주민들은 머리띠를 두르고, 삭발하고, 군수·시장실을 찾아가 농성을 벌이고 있다. 현 정부에 우호적이고 탈원전에 앞장서고 있는 환경 단체까지 "환경 망치는 태양광 사업 반대한다"며 나섰다. 정책 결정과 시행 과정을 보면 이상한 게 한둘이 아니다. 비리가 터져 나오는 건 시간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하루걸러 축구장 한 개 숲이 사라졌다

산지에 태양광을 설치하려면 산업통상자원부의 전기사업자 허가, 환경부 환경영향평가, 산림청의 산지전용 허가, 지자체 개발행위 허가를 차례로 받아야 한다. 도장 찍는 데 인색한 공무원들이 태양광 사업만큼은 일사천리다. 올 들어 8월까지 환경부가 협의해 준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는 2001건이나 된다. 2012년(26건)의 77배다. 사업자가 낸 신청서는 100배(26건→2687건) 폭주했다. '태양광 투기'라는 말이 과언이 아니다. 정부 보조금을 받는 데다 산지 태양광은 나중 잡종지로 전환돼 개발이 쉬워진다.




산림청 자료를 보면 작년 한 해 산지 태양광 개발 면적이 1435만㎡다. 하루걸러 축구장 한 개씩 규모의 숲이 사라졌다. 합해 축구장 190개 규모다. 올 상반기엔 가속이 붙었다. 6개월 만에 1179만㎡ 숲이 없어졌다. 연말이면 2000만㎡를 넘을 것이다. 2012년 산지 태양광 개발 면적(22만㎡)의 90배 수준이다. 농지·습지는 물론 전국 3000여 곳 저수지·댐에서 추진되는 수상(水上) 태양광까지 합하면 국토 훼손 규모가 얼마인지 짐작조차 어렵다.


정부는 태풍과 호우에 따른 산사태 등으로 태양광 시설이 잇따라 무너져 내리자 부처 합동으로 전국 80곳 산지 태양광 시설을 점검했다. 그 결과 17곳(21%)만 '양호' 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63곳(79%)은 불법 시설물 설치, 시공 기준 위반, 안정성 문제 등이 발견돼 시정 조치가 내려졌다. 부실투성이였던 것이다.


정부는 "더 빠르게, 더 크게 태양광 짓겠다"

이런데도 정부는 끄떡 않는다. 오히려 '3020 계획' 목표 달성을 위해 더 대규모로, 더 빠른 속도로 하겠다는 입장이다. 산업자원부 전기위원회는 최근 충남 태안군 안면도 한가운데 600만㎡ 산림·농지에 330㎿(메가와트) 규모 태양광 사업을 허가해줬다. 강원 홍천과 전남 순천·화순, 충북 충주 등지에도 50~70㎿ 규모 대용량 태양광 사업 허가가 떨어졌다. 지난 10일 둘러본 충주시 사업 부지도 20m 넘는 나무가 우거진 숲이었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 5700㎿ 규모인 태양광을 2030년까지 3만800㎿로 늘리려면 해마다 2000~3000㎿씩 지어야 한다. 앞으로 농지 전환을 더 쉽게 하고 수상 태양광 허가 요건을 간소화한다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했다. 태양광 사업의 부실과 졸속을 확인했으면서도 더 속도를 내겠다는 것이다. 전 정부의 4대 강 사업을 그토록 비판한 현 정부가 그걸 판박이처럼 따라 하는 것이다.


"배 터지게 먹었는데 용변 볼 곳 없다"

요즘 나오는 태양광 패널은 보통 수명이 20~25년이다. 오래전 설치한 것은 10년, 길거리 등에 설치된 소규모 패널은 5년으로 더 짧다. 이처럼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과 건물 리모델링 등에서 나온 파손 패널이 전국 도처에서 폐기물로 쌓이고 있다. 그러나 폐(廢)패널 물량이 어느 곳에서, 얼마나 나와, 어떻게 처리되는지 정부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올 7월 3일 이틀간 95㎜ 내린 비로 무너진 경북 청도군 태양광 단지에선 당시 수십t 태양광 패널이 종잇장처럼 구겨지거나 파손됐다. 이 폐기물이 두 달 넘은 지금까지 방치돼 있다. 현행법상 폐패널을 처리할 방도가 없기 때문이다. 생활폐기물도, 사업장폐기물도 아니어서 땅에 묻을 수도 없고 태울 수도 없다. 폐패널을 재활용하는 기술이나 기반도 구축돼 있지 않다. 정부도 "폐패널을 공기업 창고로 옮겨 장기간 보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한다. 한 태양광 설비 처리업자는 "리모델링 등으로 나온 폐패널 중 쓸 만한 것은 아프리카, 동남아 등지로 수출하지만 파손된 것은 매립지로 보내 땅에 묻는다"고 했다.


국립환경과학원 조사에 따르면 국내 폐패널에는 납·비소 같은 발암·신경독성 물질이 들어 있다. 땅과 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조지혜 박사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폐패널 1㎏에 납이 88~201㎎ 포함돼 있다. 납 유출로 인한 환경·인체 영향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비소 역시 "일반 폐전기·전자 제품에서 검출되는 함량보다 더 높은 수치로 포함됐다"고 했다.


독일은 2004년 폐패널 처리 대책부터 세워놓고 태양광 본격 보급에 나섰다. 우리 정부는 이제서야 폐기물 재활용 대책을 검토 중이다. "100조원짜리 음식상을 차린 식당에 화장실이 하나도 없는 격"이라는 말이 나온다. 박형준 동아대 교수는 "탈원전·재생에너지 확대는 에너지 안보를 위협하고 환경을 훼손시킬 뿐 아니라 에너지 비용 증가도 불가피하다"면서 "국민에게 문제점을 충분히 알려야 한다"고 했다. 문제는 정부는 그럴 생각이 없어 보인다는 점이다.'탈원전 독일' 전기료, 3배 비싼것 아십니까


가정용 24% 산업용 42% 올라… 우리나라도 대폭인상 가능성지난해 유럽연합(EU)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679TWh·테라와트시)이 사상 처음 석탄 발전(669TWh)을 추월했다. 우리 정부가 '탈(脫)원전·신재생에너지 확대' 교과서로 삼는 독일이 변화를 주도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탈원전을 선언한 독일은 이후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중을 대폭 늘렸다.


대신 독일 전기료는 갈수록 비싸진다. 독일 에너지·수자원협회(BDEW)에 따르면 연간 3500kWh(킬로와트시) 전력을 쓰는 가정은 올해 5월 기준 1kWh당 29.44유로센트를 냈다. 월평균 11만2100원 수준이다. 같은 전력량을 쓰는 우리나라 가정의 2.6~3.2배다. 독일 가정용 전기료는 탈원전 선언 이전인 2010년(23.69유로센트)보다 24.3%, 산업용 전기료는 42% 올랐다.




재생에너지 확대에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해 독일 정부가 전기료에 포함된 재생에너지 부담금과 조세를 대폭 올렸기 때문이다. 2010년 전기료의 41%이던 부담금이 2013년 50%, 올해 54%까지 올랐다. 이런 사례는 재생에너지 확대로 우리의 전기 요금도 대폭 오를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사진설명]

올 7월 3일 95㎜ 비와 산사태로 부서진 경북 청도군 매전면 태양광발전 시설. 사고가 난 지 두 달 넘었는데도 폐(廢)패널들이 현장에 그대로 방치돼 있다. 국내 유통되는 패널에는 납·비소 같은 발암·독성 물질이 포함돼 있어 토양·수질 오염 우려가 나오고 있다. 

김동환 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

댓글()

다 좋은데


다 좋은데

북한의 비핵화가 어느 정도 진전(하는척이라도) 상태에서 평양 가면 좋을텐데

국민 호응도도 높을 것이고

근데 왜 이리 급하게 서두를까?
국민들이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모든 일은 순서가 있게 마련이다.
건설현장에서 시공순서를 안지키면
사고 나듯이

뷸균형! 무리수!

역사가 말해주 듯
이런 상태에서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나저나 국민들에게 피해가 가서는 안될텐데....

댓글()

"비핵화는 도저히 못해부러"


"비핵화는 도저히 못해부러"

비핵화를 해야겠다는 의지보다
쉽게 포기하겠다는 의지가 돋보이는...

사실상 비핵화 추진 안하겠다는 말.
본색이 드러났네

비핵화 말하면 저 위에 친구가 화내니까

snsmedia

댓글()

116회 기술사 면접시험 676명 합격


116회 기술사 면접시험 676명 합격


6708명 응시 10:1 경쟁율

토목시공 건축시공 건설안전기술사 순 합격자 배출


토목시공 837명 응시 130명, 

건축시공기술사 783명 응시 78명

건설안전기술사 584명 응시 61명 

건축구조기술사 238명 응시 32명 합격자 배출


  116회 기술사 면접시험 결과 6708명이 응시해 676명이 합격했다. 1151명이 결시했으며, 합격율은 10.07%다.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은 9월 14일 116회 기술사 면접시험 합격자를 발표했다. 이번 시험에서도 토목시공과 건축시공 건설안전기술사 순으로 합격자를 배출했다.


출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edited by kcontents


토목시공기술사는 837명이 응시해 130명이 합격했으며, 건축시공기술사는 783명이 응시해 78명이 합격했다. 건설안전기술사는 584명이 응시해 61명이 합격했다. 건축구조기술사는 238명이 응시해 32명의 합격자를 배출했다.




응시자 수에 비해 합격자가 적은 종목으로는 603명이 응시해 단 7명이 합격한 소방기술사가 눈에 띈다. 이 외에 건축설비기술사가 392명이 응시해 6명, 건축기계설비기술사가 115명 응시에 4명, 공조냉동기술사가 120명 응시에 8명, 수자원개발기술사가 114명 응시에 4명,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가 187명 중 7명, 토목구조기술사가 127명 중 8명만 합격했다/


합격율 상위로는 철도차량기술사가 28명 응시에 18명이 합격해 64.28%의 합격율을 기록했으며, 그 다음으로 항공기체기술사가 12명 응시에 7명이 합격해 58.33%를 기록해, 단 두 종목만 50% 이상의 합격율을 보였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볼수 있습니다.큰 이미지 보기

조재학 기자 ( jjhcivil@daum.net ) 기술인 신문

케이콘텐츠

댓글()

美 국무부 “남·북·러 가스관 건설, 유엔 대북제재에 저촉”


美 국무부 “남·북·러 가스관 건설, 유엔 대북제재에 저촉”


"모든 유엔 회원국은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를 이행할 의무,

미국은 모든 나라가 계속 그렇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미국 국무부가 러시아와 한국이 북한 경유 가스관 건설 사업 논의를 재개한 것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에 저촉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미국의소리(VOA)가 17일 보도했다. 


뉴스줌


미 국무부 관계자는 15일 ‘러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 가스프롬이 최근 한국과 북한 경유 가스관 건설 사업 논의를 재개했다’고 밝힌 것과 관련한 VOA의 논평 요청에 "모든 유엔 회원국은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를 이행할 의무가 있고 미국은 모든 나라가 계속 그렇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이 사업을 대북 제재 위반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이어 미 국무부 관계자는 "미국은 모든 나라가 유엔 안보리 제재 의무를 완전히 이행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전 세계 정부와 계속 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11일 미하일 본다렌코<사진> 주한러시아무역대표부 대표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해 러시아 리아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가스관 사업(논의)을 재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본다렌코 대표는 "(지난 6월) 한국 대통령의 방러 이후 다시 이 사업이 논의되고 있으며, 우리가 한동안 중단됐던 프로젝트로 돌아가 재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러시아 측 사업 주체인 가스프롬의 알렉산드로 메드베데프 부사장도 같은 날 동방경제포럼에서 "앞질러 말할 수는 없지만 한국 측과 그러한 협상(가스관 프로젝트 협상)을 재개하고 있다"며 "한국, 북한 동료들과 투자 타당성 검토에 착수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스프롬 측은 지난 6월에도 한국가스공사(KOGAS) 측과 북한 경유 가스관 건설 사업 논의를 재개했다고 밝혔다.


남·북·러 가스관 건설 프로젝트는 러시아 극동에서 출발, 북한을 거쳐 한국까지 이어지는 파이프라인을 건설해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수입하기 위한 것이다. 2011년부터 세 국가가 본격적으로 논의했으나 이후 북핵 문제가 악화하면서 협상이 중단됐다.

이다비 기자 조선일버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7/2018091701129.html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