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의 망령] 한국전력기술은 왜 갑자기 원전 설계팀 해체를 중단시켰을까 ㅣ 원전 반대 사라진 기후회의

 

한국 만 유일하게 거꾸로 가는 탈원전 정책

 

  한전 자회사이자 원전 설계 전문 기업인 한국전력기술은 최근 조직 효율화를 이유로 핵심 조직인 원자로 설계 개발단을 사실상 해체하는 수준의 조직 개편을 추진했습니다. 그런데 21일 돌연 이를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사실이 지난주 언론을 통해 알려지고, 19일 주가가 하루 만에 12% 가까이 폭락하자 입장을 바꾼 것입니다.

 

 

관련기사

충격! 탈원전...결국 원전 설계팀 해체 수순 밟는다

https://conpaper.tistory.com/99096

 

한전기술은 1970년대 두 차례 석유 파동 위기를 겪은 후 국산 에너지 기술 자립을 목표로 1975년 설립된 원전 설계 전문 회사입니다. 한국 최신형 원전인 ‘APR1400′ 개발을 주도했고, 한국형 소형 원자로인 ‘스마트(SMART)’의 설계도 담당했습니다.

 

 

 

그런데 한전기술은 최근 대전에서 근무하는 개발단 소속 설계·연구 인력 260여 명을 가동원전사업처 등 4개 부서로 분산 배치하고 이들 인력 모두를 한전기술 본사가 있는 김천으로 옮기는 방안을 추진했습니다. 한전기술 안팎에서는 “원전 설계 업무를 사실상 중단하는 것. 자동차 엔진 설계를 하는 연구진을 디자인 부서로 발령 내는 것과 다름없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습니다. 대전에서 하루아침에 김천으로 근무지를 옮겨야 하는 연구원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회사를 그만두겠다”는 말도 나왔습니다. 이 같은 불만이 외부에 알려지면서 주가가 폭락하는 소동이 빚어진 것입니다.

 

한전기술은 지난 5월 취임한 한전 출신 김성암 사장 주도로 조직 개편을 추진해왔습니다. 이유는 경영 위기입니다. 실제로 2014년 8420억원에 달했던 매출은 지난해 4317억원으로 반 토막 났습니다. 하지만 알짜 기업인 한전기술의 경영 위기는 방만한 경영보다는 탈원전이 근본 원인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한전기술이 조직 개편을 중단한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지난주부터 이어진 조직 개편 해프닝을 보면 이 정부가 국가 핵심 산업인 원전을 얼마나 근시안적으로 보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 같습니다. 세계 각국이 소형모듈원자로(SMR) 같은 차세대 원전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는데, 주주가 주인인 상장기업마저 정권의 탈원전 코드 맞추기에 급급한 모양새입니다.

조재희 기자 조선일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원전 기술 집중 토론

 

    지난 13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폐막한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색다른 풍경은 대규모 국제 행사마다 단골처럼 나오던 환경 단체들 원전(原電) 반대 시위가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 곳곳에서 원전 기술에 대한 토론이 벌어지고, 초대형 원전 수주 계약이 체결됐다.

 

 

관련기사

[세계는 탄소중립 원전 건설 붐] 왜 한국은 정신 못차리나..."원전 비중 지금보다 두배 이상 높여야" Countries Detail Nuclear Power Climate Change Plans in COP26 Event with IAEA Director General

https://conpaper.tistory.com/98870

 

 

edited by kcontents

 

지난 11월 13일 세계 약 200개국은 영국 글래스고에서 막을 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석탄발전 단계적 감축 등을 포함해 기후위기를 막기 위한 대책인 '글래스고 기후 조약'에 합의했다. 당사국총회에서 알록 샤르마 의장이 박수를 받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존 케리 미국 기후특사는 루마니아 대통령과 만나 루마니아에 미국 기술로 첫 소형 모듈 원자로(SMR)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케리는 “미국은 다른 나라 탄소 저감을 돕고, 양질 일자리를 창출하려 원전을 개척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SMR을 2012년 세계 최초로 개발했던 한국에는 아쉽고도 뼈아픈 장면이다.

 

현재 선진국이 개도국에 나무를 심어주면 탄소 저감 활동을 벌인 것으로 간주하는데 이제 원전 수출도 이런 지원으로 인정될 날이 멀지 않았다. 한 COP26 참석자는 “원전에 대한 비토(veto) 분위기가 거의 없어서 놀랐다”고 전했다. IAEA(국제원자력기구)는 행사장에 부스를 마련하고 “원자력은 탄소 중립 달성에 필수”라고 알리는 데 여념이 없었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트라우마처럼 여겨졌던 원전 담론은 10년 만에 제자리를 찾고 있다. 이제 전 세계는 원전을 과거가 아닌 미래를 통해 재조명하고 있다. 일본은 탄소 중립 계획을 알리는 자리에 ‘후쿠시마의 지나간 10년과 다음 단계’라는 문구를 내걸었고, 영국은 엔진 제조사 롤스로이스가 SMR 16기를 자국에 짓겠다고 하자 보조금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영국 녹색당에는 ‘원자력 에너지를 위한 녹색당원’ 모임이 있고, 기후 위기에 대한 적극적인 행동을 촉구하는 독일 ‘미래를 위한 금요일’ 시위에는 원전 찬성론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방사선 모양이 새겨진 옷을 입고 “부탁해요, 원전”이란 팻말을 든 채 시위를 벌인다. 핀란드는 녹색당이 참여하는 연립정부에서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 위기에 대해 원전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이 쏟아지면서 원전 수명을 연장하자는 논의도 활발하다. 미 스탠퍼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MIT)는 최근 2025년 문을 닫기로 했던 캘리포니아 디아블로캐넌 원전을 2045년까지 연장하자고 제안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완벽하게 잘 운영되던 원전을 폐쇄하는 건 바보짓”이라고 논평했다.

 

 

현 정부는 이런 세계적인 흐름을 애써 외면하고 있다. 원전 사고는 치명적이다. 하지만 원전 사고가 날 확률은 기후 위기로 지구가 혼란에 빠질 확률보다 매우 낮다. 국내외에서 원자력이 전(全) 주기, 건설에서 해체까지 전체 기간을 따져 측정해보면 다른 전력원보다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고, 유럽연합(EU)은 원전을 친환경 에너지로 분류하려고 논의하고 있다. 이렇게 신념이 아닌 과학으로 문제를 차근차근 접근해가는 게 선진국 속성이다. 우리는 언제쯤 그렇게 될 수 있을까.

선정민 기자 조선일보

 

 

Recent Article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