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탄소중립 원전 건설 붐] 왜 한국은 정신 못차리나..."원전 비중 지금보다 두배 이상 높여야" Countries Detail Nuclear Power Climate Change Plans in COP26 Event with IAEA Director General

 

파리 협정 섭씨 2도 이하 제한 달성 위해

30년 동안 원전 능력 적어도 두 배 이상 되어야 

 

   브라질, 가나, 러시아, 미국의 정부 각료들과 산업 지도자들은 라파엘 마리아노 그로시 IAEA 사무총장과의 유엔 기후 정상회담에서 원전 에너지를 사용하여 배출량을 0으로 줄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려는 계획을 상세히 설명했다.

 

한국 탄소 중립 에너지 정책 전면 재검토 해야

모르면 국민들에게 물어봐!

(편집자주)

 

Speakers at this CoP26 side event discussed the key role nuclear power plays in reaching the goals of the Paris Agreement. (Photo: D. Calma / IAEA)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회의(COP26)에서 IAEA 부차적인 행사인 "넷 제로 세계를 위한 핵 혁신"은 에너지 및 개발에 관한 대화를 비롯해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ECE) 위원장과의 대화를 특징으로 했다. 당시 세계원자력협회(WNA) 회장인 사마 빌바오 이 레온을 포함한 업계 지도자들은 재정과 건설 방법을 포함한 원자력 혁신이 깨끗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에 대한 전세계적 접근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그로스씨와 협력했다.

 

"사람들은 기후 변화에 대한 핵의 기여 문제를 보다 객관적인 관점에서, 훨씬 더 나은 기질로 접근하고 있다. 우리 모두는 현재 원전의 기여, 수치, 통계가 없다면 그래프가 실제보다 훨씬 더 나빠질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원전의 목소리가 들려야만 했고, 들려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들려올 것이다."라고 그로시는 말했다.

 

32개국은 세계 전기의 10퍼센트와 전체 저탄소 전기의 4분의 1 이상을 제공하는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의 4가지 모델 시나리오와 인터네티오의 연구에 따르면, 만약 세계가 파리 협정에 의해 요구된 평균 기온 상승을 섭씨 2도 이하로 제한하려면 앞으로 30년 동안 원자력 발전 능력은 적어도 두 배가 되어야 할 것이다.NAL 에너지청(IEA)

 

황기철 콘페이퍼 에디터

Ki Chul Hwang Conpaper editor 

 

 

(Source: 

https://www.iaea.org/newscenter/news/countries-detail-nuclear-power-climate-change-plans-in-cop26-event-with-iaea-director-general)

 

 


 

탄소중립 위한 에너지 정책에서 원전 비중 높여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2030년 재생에너지 30%는 불가능한 목표로 평가

비용추계① 원전 비중 10%→40% 상향 시 ESS 설치비용 약 600조원↓

비용추계② 원전 비중 28.2%로 상향, 재생에너지 비중 하향 시 발전비용 연 13조원↓

2030 NDC 목표를 달성하려면 중단기적으로 원전의 운영허가 기간 연장 필요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정책에 적정 원전 비중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은 동덕여대 박주헌 교수에게 의뢰한「탄소중립 새로운 에너지정책 방향」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울산 울주군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5, 6호기 건설 현장 모습. 각각 2023년, 2024년 준공 예정으로, 8월말 현재 공정률 48%다.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한국일보 edited by kcontents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2030년 재생에너지 30%는 불가능한 목표로 평가

보고서는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정책의 핵심은 탈원전과 탄소중립인데 이 조합에서의 탄소중립 에너지믹스는 재생에너지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설정된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계획에 따르면 2030년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30.2%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당초의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인 20%를 50% 이상 상향 조정한 수준이다. 재생에너지 비중을 30% 넘게 높이려면 약 106GW의 태양광 및 풍력 설비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재생에너지 3020 목표(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20%) 달성에 필요한 태양광 설비 34GW과 풍력 설비 24GW의 약 2배에 이른다. 동덕여대 박주헌 교수는 “현재 풍력은 연간 200MW 내외, 태양광은 연간 4GW 정도가 보급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면, 재생에너지3020 달성을 위한 2030년의 재생에너지 목표 용량인 50GW도 넘기 어려워 보이는데, 약 60GW의 추가증설이 요구되는 재생에너지 30.2%는 달성 불가능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비용추계① 원전 비중 10%→40% 상향 시 ESS 설치비용 약 600조원 절감

보고서는 탈원전 기조 하에서 무탄소 전력 생산계획은 태양광 위주로 갈 수밖에 없어 전기료를 2배 이상으로 대폭 인상해야할 뿐만 아니라 발전시설 설치면적 확보 및 대규모 에너지 저장장치(ESS) 구축에 막대한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간헐적 발전원인 태양광을 대규모로 확충하려면 반드시 대규모 ESS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에너지믹스에서 태양광 비중을 50%에서 30%로, 풍력 비중을 15%에서 8%로 줄이고 원자력 비중을 10%에서 40%로 늘리면, 전력 과부족의 변동폭이 축소됨에 따라 ESS 필요용량이 3,471GWh에서 1,983GWh로 감소해 ESS 설치비용이 약 600조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박 교수는 “향후 획기적인 전기저장장치 기술이 개발되어, 대량의 전기를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면,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처럼 원전 비중을 대폭 낮추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에너지믹스가 가능해질지 모른다”고 말하면서, “현재로는 원전을 최대한 안전하게 적정 수준으로 사용하면서 탄소중립에 대처하는 길이 유일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비용추계② 원전 비중 28.2%로 높이고 재생에너지 비중 낮추면 발전비용 연 13조원 절감

보고서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가 전망한 원전 비중 7%를 탈원전 정책 수립 전에 작성된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5.7월)이 전망한 원전 비중 28.2%로 높이고 그 차이만큼 재생에너지 비중을 낮출 경우의 발전비용 절감액을, IEA가 전망한 2025년 우리나라 전원별 발전비용(LCOE)을 적용하여 추산한 결과 2050년 기준 연간 13조원으로 분석했다. 박 교수는 “이 차액은 저소득층에 대한 에너지복지를 적극적으로 펼칠 수 재원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2030 NDC 목표를 달성하려면 중단기적으로 원전 운영허가 기간 연장 필요

박 교수는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중단기적으로도 원전의 계속운전은 현실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021년 8월 31일 국회를 통과한 「탄소중립기본법」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최소 35%이상을 감축한다는 목표(NDC)를 법제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EU는 1990년부터 시작해 40년 동안, 미국은 2005년부터 25년에 걸쳐 온실가스를 줄여왔지만, 한국은 단 12년 만에 35% 이상을 감축하는 부담을 스스로 지게 되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서 현실적으로 NDC달성을 위한 방안 중 하나가 원전의 수명연장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탈원전 정책으로 2030년까지 폐로가 예정되어 있는 원전을 계속 운전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으로 언급됐다. 2030년까지 폐로 예정되어 있는 원전은 10기이고 총용량은 8.45GW이르고 있다. 이 원전을 폐로하지 않고, 계속 운전할 경우, 태양광 45.1GW 혹은 풍력 29.4GW의 설비 용량을 줄일 수 있다. 태양광과 풍력의 추가 설비 부담을 크게 덜 수 있어야 2030년 NDC 달성 확률이 그나마 높아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박 교수는 “기존 원전의 운영허가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도 원전의 운영허가 기간 연장이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저탄소 전원으로 인정하고 있고, 실제로 주요국들은 적극적으로 원전 수명연장에 나서고 있다. 미국은 이미 원전 6기의 수명을 80년까지 연장한데 이어, 추가로 4기의 80년 수명 연장을 검토 중이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겪고 여전히 그 후유증을 앓고 있는 일본도 기존 원전의 60년 이상 가동을 검토 중에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우리나라는 탈원전을 고수하며 계속 운전을 불허하는 현 정부의 정책은 현실적 탄소중립을 위해서도 폐기되어야 한다고 박 교수는 지적했다.

한국경제연구원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