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쉘 위, LPGA U.S오픈 첫 우승 Michelle Wie Wins U.S. Open


 
미쉘 위가 스테이시 루이스를 물리치고 생애 첫 메이저 LPGA 타이틀을 거머줬다.

 

Michelle Wie Wins U.S. Open
Michelle Wie beat out Stacy Lewis to win her first career major championship

with a victory in the U.S. Women's Open.

 

[VIDEO]
http://espn.go.com/video/clip?id=espn:11120705

 

[Link]

http://espn.go.com/golf/story/_/id/11120633/michelle-wie-wins-first-career-major-us-women-open

ESPN.com news services

 

 

sfgate.com
By DOUG FERGUSON, AP Golf Writer

 

그리드형

댓글()

중국이 꿈꾸는 고속철 실크로드

 

 

[그래픽=아주경제]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중국이 꿈꾸는 고속철 실크로드가 그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17일 중국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런던에서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를 만나 영국의 차세대 인프라 사업인 고속철도 프로젝트에 중국의 기술과 자본을 투자하기로 합의한 이후 중국 매체들은 앞다퉈 중국의 고속철 구상에 대한 보도를 쏟아냈다. 신경보와 남방도시보는 19일 보도를 통해 중국은 지난 2009년부터 유라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를 각각 고속철로 연결하는 전략을 추진해 왔다고 전했다. 그리고 이 전략들은 하나 둘 현실화의 길을 걸어가고 있다.

 

[more..]

http://www.ajunews.com/view/20140622103937260

 

아주경제 조용성 기자
(
yscho@ajunews.com)

그리드형

댓글()

국도 제5호선 '거제 ~ 중강진선',총연장 1252 km

 

 

국도5호선 낙동대교,

출처 도겸의 사진이야기

http://chulsa.kr/10607884

 

[국도 제5호선(거제 ~ 중강진선)]

 

총연장 1252 km
기점 경상남도 거제시
주요
경유지 창원시
대구광역시
제천시
원주시
춘천시
철원군
종점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면

 

 

국도 제5호선(거제 ~ 중강진선)은 경상남도 거제시와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면을 잇는 총 연장 1252km의 일반 국도이다.

 

2013년 현재 안동시와 대구광역시 구간이 이른바 구안 국도라 불리며 왕복 4차선 도로로 새로 건설되어 경상북도의 주요 교통망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 영주시 - 안동시 구간 또한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경상북도 영주시와 충청북도 단양군 사이의 죽령고개는 이동 소요시간을 증가시켜 이용에 불편을 주고 있다.

 

그 외에 충청북도 단양군과 제천시, 강원도 원주시와 횡성군·홍천군·춘천시 간의 이동 수요가 많은 노선이기도 하다. 원주에서 홍천으로 가는 대부분의 시외버스들은 5번 국도를 많이 이용한다. 대구에서 경상남도 창녕·창원 구간도 4차선으로 잘 단장되어 있다.

 

현재 이순신대교를 비롯한 거제시 ~ 창원시 구간이 공사중이며, 이 구간은 2018년에 개통 할 예정이다. 예전 마산시 구간은 마산시청 앞이 시점이었으나 시점이 거제시로 바뀌고 창원시 통과구간이 이순신대교 ~ 현동교차로 ~ 쌀재터널 ~ 내서읍 중리로 변경되었다.

wiki

황기철@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조합 비리 막자”… 서울시, 정비사업 예산·회계 규정 마련

 

 


정비사업 예산·회계규정 (자료 : 서울시)

 

kcontents

 

 

서울시, 조합자금 사용 기준 마련
현금사용·개인 통장에 이체 안돼

1970년대 이후 최초


서울시가 재개발·재건축 조합이나 조합 설립 추진위원회가 자금을 운영하는 방안을 세세하게 담은 규정을 마련했다.

 

이 규정이 본격 적용되는 내년부터는 서울의 재개발·재건축 조합장이 조합 자금을 개인 쌈짓돈처럼 쓰는 등의 잘못된 관행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과정에서 벌어지던 각종 부조리를 없애기 위해 ‘서울시 정비사업 조합 등 예산·회계규정’을 만들어 20일 고시한다고 밝혔다.

 

이런 규정이 만들어진 것은 1970년대 서울시에서 재개발·재건축이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서울시가 조합 운영 실태를 점검한 결과, 조합 총회의 승인도 거치지 않고 100억원이 넘는 자금을 차입하거나, 조합장 개인 통장으로 조합 자금을 관리하고 자기 돈처럼 쓴 도덕적 해이 등이 적발된 것이 계기가 됐다.

 

규정의 주요 내용은 조합 예산에 대한 편성·관리·집행·회계 결산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우선 조합 자금은 사업을 위한 목적이라 하더라도 주민총회 결의 없이는 개인에게 이체·대여·가지급 등을 할 수 없게 했다. 지금까지 일부 조합 임원이 조합 자금을 개인 돈처럼 이용하는 잘못된 관행을 막기 위해서다.

 

또 조합 자금은 현금 사용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모든 자금 집행은 계좌이체를 하거나 법인카드만을 이용하도록 했다. 카드 사용내역은 조합 감사가 주기적으로 점검해 서울시 ‘클린업 시스템’에 공개해야 한다.

 

조합이나 추진위원회가 매년 편성하는 예산의 구체적인 편성 기준도 마련됐다. 지금까지는 일부 조합의 경우 아예 예산 편성도 하지 않은 채 임의로 자금을 집행해 과다 지출의 원인이 됐다. 계약에 대한 내용도 규정에 담아, 공사나 용역을 계약할 경우 반드시 일반 경쟁 입찰을 하도록 했고, 계약금은 용역 착수 이전에 지급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 규정은 법적 강제성이 없는 권고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각종 인가 권한을 가지고 있는 서울시가 이를 강하게 추진하면서 사실상 서울시의 모든 조합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 임우진 공공관리계획팀장은 “규정을 마련함으로써 주민들이 조합을 감시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내부 통제 기능이 활성화하면서 조합의 불필요한 비용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원 기자 esw@hani.co.kr

그리드형

댓글()

브라질의 자전거 문화-상파울루에서 자전거 타기

 

 

 

 

대도시의 성장이 자동차길 위주로 형성이 되어 있어 자전거문화에 대한 인식과 투자 없이는 도시에서 안전하게 자전거 타기가 힘든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지나친 산업사회의 반향으로 싹트기 시작하는 녹색운동의 영향으로 이곳 상파울루에서도 곳곳에서 자전거 관련 녹색운동의 싹들이 자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상파울루에는 서울의 한강시민공원처럼 회색도시의 허파와 같은 큰 공원이 있다. 이비라푸에라(Ibirapuera) 공원이라 불리는 이곳에는 많은 상파울루 시민들이 레저스포츠를 즐긴다. 큰 호수와 오래된 나무들이 함께 있기에 큰 공원을 한 바퀴를 도는 동안 아기자기한 경관으로 인해 지루할 틈이 없다. 수백 대의 자전거를 빌려주는 자전거대여점이 있어 누구나 도심 속 작은 자연 안에서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달릴 수 있다.

 

[more..]

http://thebike.co.kr/bbs/index.php?tbl=106&u_id=1163

그리드형

댓글()

한국수출입은행, 칠레 '켈라(Kelar) 가스복합화력발전소'에 3억8000만달러 규모 PF금융 지원 Kelar Gas Combined Power Project in Chile

 


 

 

 

중남미 전력시장 한국 기업 교두보 마련

고부가가치 해외사업

세계 최대 구리 생산국으로,

전력수요 꾸준해 추가수주도 기대

 

[발주처]

BHP Billiton

호주계 글로벌 광산기업

www.bhpbilliton.com

 

BHP Billiton Group's copper mine at Escondida, Chile. Picture: BHP Billiton Group

 

[칠레 켈라(Kelar) 가스복합화력발전소]

Kelar Gas Combined Power Project in Chile

한국 기업 최초 칠레에 민자발전소를 건설·운영하는 이번 사업은 칠레 북부 안토파가스타주에 517MW급 가스복합화력발전소를 건설해 남동쪽으로 약 200km미터 떨어진 BHP 빌리턴 소유 구리 광산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사업비는 약 6억달러 규모로 특히 칠레 켈라(Kelar) 가스복합화력발전소의 건설· 운영사업은

한국남부발전·삼성물산이, 발전소 건설은 삼성엔지니어링이 운영은 한국남부발전 등이 일괄 수행하는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2016년 하반기 완공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Samsung C&T wins BHP Kelar Gas Combined Power Project in Chile

http://www.samsungcnt.com/EN/cnt/pr/401000/articleRead.do?board_id=6&article_id=4249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계룡건설, 2018 평창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1 경기장 건설공사 최저가 투찰

 

 ‘강릉 아이스하키1 경기장’ 조감도

 

[강릉 2018 평창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1 경기장]

강원도 강릉시 교동 체육시설단지 일원에 건립되는 아이스하키1 경기장은 대지면적 40만6,472㎡, 주경기장 2만4,341㎡․보조경기장 5,717㎡ 등 연면적 3만58㎡, 주경기장 1만3,149㎡․보조경기장 5,777㎡ 등 건축면적 1만8,926.34㎡, 1만9석의 주경기장 3층과 495석의 보조경기장 1층 규모를 자랑한다.

 

 

계룡건설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1 경기장 건설공사 최저가 투찰로 적정성 심사 1순위에 올랐다.

 

계룡건설은 지난 6월 10일 피겨ㆍ쇼트트랙 및 아이스하키장2…각 390억ㆍ284억원 규모의 공사를 잇따라 수주한 바 있다.

 

이 공사의 전면책임감리는 건원엔지니어링이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조달청 금주(6.23~6.27) 입찰동향...78건 약 1419억원 집행

 

 

 

조달청은 23~27일 '야전재해위험지구정비공사' 등 78건 약 1419억원 상당의 공사입찰을 집행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입찰은 '용기포항 동방파제 연장공사' 등 23건을 제외한 55건 모두 지역제한입찰 또는 지역의무공동도급 대상공사로서 약 66%인 930억원 상...

 

출처 : 충청투데이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1177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롯데건설, 7000만불 규모 베트남 다낭-꽝아이 고속도로 공사 수주 Lotte E&C Won Da Nang-Quang Ngai Expressway,Pakage A 4

 

 

 

[공사현황]

다낭-꽝아이 고속도로 건설공사(Da Nang-Quang Ngai Expressway)

 

발주처 베트남 도로공사(Vietnam Expressway Corporation)

낙찰사 롯데건설,CC1(베트남)

공사비 7020만불(한화720억원)

총연장 139.52km 4차선(5개공구) 중 4공구 14.6km(KM110+100 – KM124+700)

          8개 교량, 교차로 1개소

공사기간 2013년~2017년

공사재원 월드뱅크

 

[Da Nang - Quang Ngai Expressway, Vietnam]

http://www.roadtraffic-technology.com/projects/-da-nang-quang-ngai-expressway-vietnam/

 

[Construction of Da Nang - Quang Ngai Expressway begins]

http://baoquangnam.com.vn/english/investment/201311/construction-of-da-nang-quang-ngai-expressway-begins-420425/

 

황기철 @conpa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남미의 절벽을 가로지르는 아슬아슬한 철도 Remarkable railways! Mind-blowing photos show South American trains teetering on cliff edges

 

 

Cutting it fine: Two trains positioned perfectly in shot at the Viso double switchback near Matucana, Peru

 

페루 마투카나의 '비소' 스위치백에 2대의 열차가 가파른 절벽을 달리고 있다.

 

[스위치백 Switchback]

스위치백(Switchback) 또는 지그재그(Zig zag)는 고도차가 많이 나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철도운행체계이다. ‘Z’자형으로 설치된 철로로, 전진하다가 후진해 경사를 따라 이동해 다시 전진해 경사를 극복하게 된다. 경사를 극복할 수 있지만, 고속운행에 지장을 주고 후진시 위험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wiki

 

Switchback

 

 


Remarkable railways!

 

 

Mind-blowing photos show South American trains teetering on cliff edges and tunnelling through mountains


By Travelmail Reporter
French photographer Jean Marc Frybourg went to great lengths to capture these incredible images of some of South America's most scenic rail routes in Peru and Chile.

 

The 56-year-old from Paris, whose day job is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has an obsession with travel and photography, in particular immortalising his favourite railways. 

 

The photographs below feature trains mainly servicing mines as they weave through remarkable landscapes which are made accessible due to just as impressive engineering feats that make the viewer wonder how on earth they got a track there in the first place.

 

In one shot, two trains are perfectly aligned on a mountain side, which Frybourg says was thanks to the cooperation of the railway company while another is transporting tanks of sulphuric .

 

'I started taking photos when I was a boy,' he said. 'I have always taken photographs. I have begun "learning" photography and using serious cameras in 1972 when I was 11 or 12-years-old.'

 

His love of trains started with a model roads and went from there. 'I wanted to travel and see the trains. Since then, I have always preferred taking pictures of trains.'

Dangerous business

Dangerous business: Another angle on the Ferronor train heading down the grade from the Potrerillos copper smelter with sulfuric acid tanks


 

Flat-lining

Flat-lining: This train headed for the Cerro de Pasco copper mine passes through lagunas near the Chinchaycocha Lake at Junin in Peru

 

Mountain way

Mountain way: The famous Puente Infiernillo is captured from above on the on the Ferrocar near San Mateo, Peru

Living dangerously

Living dangerously: A driver navigates a heavy freight train on steep grades of the Andes

 

Blowing smoke

Blowing smoke: A Ferronor train with a load of sulfuric acid tanks works its way down from the Potrerillos plant going toward Llanta and Diego de Almagro in Chile


dailymail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