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8,630원 110 1.3%)과 롯데건설이 재건축 수주 더블헤더에서 1승씩을 챙겼다. 대림산업 (87,900원 500 0.6%)은 부산에서 2500억원 규모의 재개발 사업 시공사로 선정됐다.
3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날
△서울 양천구 목1구역
△부산 명장1구역
△부산 대연4구역
등 3곳에서 재건축·재개발 시공사 선정총회가 열렸다.
서울 양천구 목1구역은 롯데건설과 대우건설이 경쟁해 투표자 128명 중 102명이 롯데건설을 선택했다. 양천구 목1구역 재건축 사업은 양천구 목동 632-1번지 일대에 405가구를 신축하는 사업으로 공사금액은 850억원 규모다.
반면 부산 대연4구역은 대우건설과 롯데건설이 경쟁해 대우건설이 시공사로 최종 선정됐다. 대연4구역은 부산 남구 대연동 1808 일대에 위치한 대연비치아파트를 재건축하는 것으로 지하 1층, 지상 25~39층 높이의 아파트 총 1310가구(일반분양 약 300가구 포함) 및 부대복리시설을 짓게 된다. 공사금액은 2090억원 규모다.
부산 명장1구역은 대림산업과 삼한종합건설이 경쟁해 최종적으로 대림산업이 시공사로 선정됐다. 명장1구역은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 404번지 일대에 아파트 1384가구(임대 포함)를 짓는 것으로 공사금액은 2500억원 수준이다.
부산 부산진구 가야동 수정터널 요금소 일대(왼쪽)와 상부 연결사업 후 조감도. 부산진구청 제공
부산지역 최초로 터널 입구 상부를 연결해 주민편의시설과 공원 등을 조성하는 '수정산터널 상부공간 연결사업(수정터널 연결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와 부산시, 부산진구청이 추진하는 도시활력증진사업의 하나로, 사업 완료 후 시설물과 공간을 주민협의체 등 주민들이 주도해 운영한다.
부산진구청은 28일 오후 부산진구 가야1동 주민센터에서 수정터널 연결사업 설명회를 열고 사업 계획과 일정을 소개했다.
가야 쪽 요금소 상부 9천㎡ 예산 200억 정부 절반 부담 어제 설계용역 주민설명회
총 사업비는 200억 원으로 정부와 부산시·부산진구청이 5 대 5로 충당하기로 했다. 지난 2월 국·시비로 설계용역비 등 9억 6천만 원을 확보해 기본·실시설계 용역을 준비해 왔다. 설계용역사업을 통해 이르면 내년 4월께 수정터널 연결사업의 구체적인 밑그림이 나올 전망이다.
사업계획에 따르면 가야동 수정터널 입구와 요금소 일대의 위를 덮는 인공지반(복개구조물)을 설치한다. 이 사업은 이르면 내년 6월께 착공, 오는 2016년 12월께 완공된다.
완공되면 터널 상부 인공지반에 생긴 9천㎡(180m×50m)의 공간에 커뮤니티센터, 멀티플라자(놀이터·주민운동시설), 공동체 정원, 주차장 등이 들어선다. 주민 요구를 반영해 수영장도 검토되고 있다. 이 시설은 시나 구청이 아니라 주민협의체를 중심으로 주민들이 꾸려나간다.
이를 위해 시와 부산진구청은 이달부터 오는 11월까지 매주 1차례 '주민역량 강화 주민대학'을 열고 있다. 강의를 통해 주민들은 공원 운용, 관리방안 등 각종 노하우를 익힌다.
부산진구청은 인공지반 공사로 생기는 차량 정체와 소음·분진 최소화 공법, 높이 18m의 터널 입구 양쪽 옹벽을 연결하는 인공지반의 구조·안전문제도 검토키로 했다.
2001년 12월 개통된 수정터널은 가야동과 동구 좌천동 간 차량 이동시간을 30분 이상에서 3분 정도로 크게 단축했으나 가야1·2·3동을 지리적으로 단절시켜 주민 교류가 줄어들고 상권이 악화되는 등 역기능도 초래했다.
Airbus Defence and Space imagery shows land reclamation ongoing at Johnson South Reef in the South China Sea. Images released by the Philippin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n 15 May 2014 (left) show the progress of construction on the reef from 13 March 2012 to 11 March 2014. (CNES 2014, Distribution Astrium Services/Spot Image S.A./IHS)
2012년 3월부터 2014년 3월까지의 중국의 산호초 인공섬 조성 현황
중국이 올 들어 난사(南沙) 군도에서 산호초 5곳을 매립해 '인공 섬'으로 바꿔 놓았다고 미국의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가 '더 필리핀 스타'를 인용해 30일 보도했다. 남중국해에 위치한 난사 군도는 중국·대만·베트남·말레이지아·필리핀 등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지난 7월 19일 남중국해 난사(南沙) 군도의 산호초인 화양자오(華陽礁) 전경. 매립에 투입된 중장비들이 눈에 띈다. 중국은 필리핀·베트남과의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해 이 지역 5개 산호초를 매립해 인공섬으로 바꾸고 있다. /둬웨이
중국은 츠과자오(赤瓜礁)·화양자오(華陽礁)·둥먼자오(東門礁)·난쉰자오(南熏礁)·안다자오(安達礁) 등에 활주로와 부두로 보이는 시설을 짓고 있다. 이 중 츠과자오의 면적은 30헥타르(ha)에 달한다. 명칭도 암초(礁)에서 섬(島)으로 바꿔 부르기 시작했다.
중국은 '인공 섬'에 군사 기지를 건설해 남중국해에서 필리핀·베트남 등을 견제할 계획이다. 현재 중국군의 남중국해 전진 기지인 하이난다오(海南島)에서는 1000㎞ 이상 떨어진 난사 군도까지 전투기 출동이 어렵다. 전투기 작전 반경이 400㎞ 정도이기 때문이다.
China building artificial island in South China Sea
James Hardy, London - IHS Jane's Defence Weekly
15 May 2014
China is attempting to bolster its presence in the South China Sea by creating an artificial island on a reef in the disputed Spratly Islands.
Satellite imagery provided by Airbus Defence and Space corroborates images released by the Philippin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at shows major land reclamation on Johnson South Reef, which is claimed by Manila as Mabini Reef, as Chigua Reef by China and Gac Ma by Vietnam.
Johnson South Reef was at the centre of a 1998 confrontation between China and Vietnam that left more than 70 Vietnamese personnel dead. After taking control of the reef China built a concrete platform and installed radio and communications equipment.
The images released by the Philippin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how that since February 2013 there has been extensive dredging of the atoll to create an islet around the platform. Other concrete structures have also been constructed.
The ministry said the construction appeared to be designed to support an airstrip and said it was "destabilising and in violation of the Declaration on the Conduct of Parties in the South China Sea (DoC) and international law. Mabini Reef is part of the Kalayaan Island Group (KIG) which is part of Philippine territory".
The DoC was signed by China and the Association of South East Asian Nations (ASEAN) in 2002 and seeks to "promote a peaceful, friendly, and harmonious environment in the South China Sea between ASEAN and China".
Article 5 of the DoC states that the parties will "undertake to exercise self-restraint in the conduct of activities that would complicate or escalate disputes and affect peace and stability including, among others, refraining from action of inhabiting on the presently uninhabited islands, reefs, shoals, cays, and other features".
Local media reported that Manila estimates the reclamation to have turned the reef and a sand bar into a 30-hectare (74-acre) islet.
In Beijing Foreign Ministry spokeswoman Hua Chunying reiterated China's "indisputable sovereignty over the Nansha [Spratly] Islands including Chigua Reef and the contiguous waters. Whatever construction China carries out in the Chigua Reef is completely within China's sovereignty".
US State Department Deputy Spokesperson Marie Harf said Washington was aware of the reports and that "major upgrades or the militarisation of disputed land features in the South China Sea by any claimant has the potential to raise tensions".
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동북아·북한연구센터장(오른쪽 일어선 이)이 지난 23일 러시아 이르쿠츠크국립대 콘서트홀에서
열린 제4회 시베리아 남·북·러포럼에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한·러 교통협력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시베리아 남·북·러 포럼
제4회 시베리아 남·북·러 포럼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러시아, 중국을 넘어 유럽으로’를 주제로 지난 23일 러시아 이르쿠츠크국립대 콘서트홀에서 열렸다. 한겨레신문사와 한겨레통일문화재단, 한국교통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포럼은 한국과 러시아, 중국의 물류·교통 전문가들이 참석해 박근혜 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실현 방안과 러시아·아태지역 협력을 위한 과제와 대안을 제시하고 효과를 예측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유럽과 아시아를 하나의 대륙으로 다시 연결해서 지구촌의 번영과 평화의 중심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구상으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발표한 바 있다.
포럼 참석자들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실현하려면 에너지 등 자원과 물류 운송, 인적 교류의 통로로서, 남과 북을 잇는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중국횡단철도(TCR) 연결이 선행돼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유라시아 경제권 편입되려면 남북한 관계개선이 선행과제 통관시스템 신속성 위해 철도 통과 국가들 공동체 필요
유라시아 국가들 공감할 이념 정립해 나가야
기조 발표에 나선 이창운 한국교통연구원 부원장은 대륙철도는 유럽과 아시아·태평양을 연결하므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구체화하는 주요 동력이라고 밝혔다.
이 부원장은 “유라시아 주요 국가들은 철도를 인접국가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국가들의 개별 전략과 유라시아 공동 번영이라는 초국가적 전략이 동시 다발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한반도는 TKR이 연결돼야 유라시아 역내 경제권에 편입되므로 남북 관계 개선이 선행 과제이다. 블라디보스토크 메가시티 계획, 이르쿠츠크 바이칼시티 건설, TSR의 속도 대안인 고속철 도입 등은 한국과 러시아가 윈-윈하는 전략”이라며 러시아에 공동 연구를 제안했다.
아나톨리 메르쿨로프 이르쿠츠크 교통대 교수는 러시아 철도의 운송 속도와 효율성을 고민했다.
아나톨리 교수는 “(고객맞춤형 직통화물열차인 블록트레인 외에) 러시아 화물철도의 평균 운송속도는 1일 240㎞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순이익은 2010년 748억루블(총수입 1조1951억루블)에서 해마다 줄어 지난해에는 7억루블(총수입 1조3766억루블)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그는 선로 증설, 화차의 축당 중량(차량 중량을 선로면을 지탱하는 차축 개수인 4로 나눈 값)을 20t에서 40t으로 늘려 운송량을 증대하는 대책 등이 추진되고 있다고 덧붙이고, 한국이 TSR 개량 및 러시아의 물류운송 현대화 사업, 극동지역 개발에 참여하기를 희망했다.
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동북아·북한연구센터장은 대륙철도 통과 국가의 통관시스템이 신속성을 결정하는 또다른 요인이므로 TSR 통과 국가들의 공동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은 이미 1994년 6월 당시 김일성 주석이 ‘남북 철도를 연결해 중국의 화물을 실어 나르기만 해도 약 15억달러의 수입을 얻을 수 있다’고 밝히는 등 TKR 개통에 관심이 높아 남북철도 상용화 가능성은 열려 있다. 북한의 물류인프라 개·보수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승익 중국 신화국제물류유한공사 대표이사는 “박근혜 대통령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시진핑 중국 주석의 신실크로드 구상,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신동방 정책은 모두 물류 인프라를 구축해 자국의 이익을 꾀하는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강 대표는 “TCR은 중국 정부의 강력한 후원으로 빠르게 성장해 충칭발 블록트레인의 경우 독일 뒤셀부르크까지 1만1200㎞를 16일만에 주파한다. 장기적으로 TCR은 TSR보다 싸고, 빠른 대륙철도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중앙아시아·유럽행 물류의 경우 상하이 북쪽은 철도, 남쪽은 해상 운송이 유리한데 신실크로드 구상은 상하이의 북쪽인 중국 중서부를 개발하는 것이므로 이 지역을 관통하는 TCR 관련 물류인프라가 빠르게 구축됐다고 전했다.
토론에 나선 김누리 중앙대 교수, 황진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정책연구실장 등은 “독일 통일에 앞서 서독이 동독에 사회인프라 건설을 지원했다.
한국도 북한의 철도·도로 등을 개보수해 통일에 대비해야 한다. 거시적으로는 유라시아 국가들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에 공감할 수 있는 이념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박정남 이르쿠츠크 총영사는 축사에서 “시베리아 남·북·러 포럼이 지혜와 통찰을 나눠 부산에서 유럽을 연결하는 실크로드 익스프레스(STX) 건설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철도 개량사업과 관련해 코레일 관계자는 29일 “경의선(신의주~평양)은 최고 시속 70㎞까지 속도가 나는 등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고, 두만강역~나진항(54㎞) 구간은 러시아철도공사가 개량해 매우 우수하다.
평양 주변 철도는 혼잡하고 지방으로 갈수록 철도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레일은 북한철도 개·보수 근거로 삼기 위해, 최근 국토교통부에 경의선 개량과 동해북부선 신설을 국가철도망계획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펜실베니아의 도로 한복판에 ‘신은 섹스를 사랑한다(I ♡ SEX -GOD’이라는 초대형 옥외 광고판이 등장해 파문이 일고 있다고 데일리뉴스가 29일 보도했다.
지난 25일 펜실베니아 윌크스바스 타운을 지나는 309번 도로선상에 새로운 빌보드 광고가 등장하자 사람들은 눈을 휘둥그렇게 떴다. 더구나 광고문구 옆에 명기된 광고주가 ‘리스토어드 교회(Restored Church)’여서 더 큰 충격을 주었다.
이 교회의 댄 니콜스 목사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섹스는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는데도 교회에선 기껏해야 섹스를 간접적으로 언급한다. 하나님은 성경에서 성생활을 강조했다. 이것은 비극이다.
하나님은 섹스를 사랑한다. 섹스의 주관자이며 아주 특별한 섹스의 고안자이다. 엄숙하고도 압도적인 섹스의 주제를 교회는 직접적이고 솔직하게 응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올해 25세로 기혼인 니콜스 목사는 “사람들이 섹스의 부끄러움에서 벗어나 올바르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섹스를 하나의 남성과 하나의 여성이 맺는 결혼이라는 틀안에서 하나님이 설계한 것으로 믿지만 리스토어드 교회는 종파에 관계없이 100명의 신도가 있으며 동성애와 양성애, 성전환자도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증오해선 안된다. 하나님이 우리들을 사랑하듯 서로를 사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9월25일까지 계약이 된 이 광고판에 대한 비판은 대부분 크리스찬들로부터 나오고 있다. 타운의 중심교회인 윌크스 바스 처치의 빈센트 오보일 목사는 “이 광고는 사람들을 비극적으로 잘못 인도하고 있다. 우리의 성스러운 하나님은 새 옷이나 자동차, 직업을 갖는 것과 같은 상품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오보일 목사는 “세상이 섹스를 상품화할지라도 교회는 세상과 달라야 한다”면서 “하나님은 섹스가 아니라 우리들을 사랑하신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러나 리스토어드 교회의 목사들은 비판에 아랑곳하지 않는다. 또다른 목사 팀 워커는 “부정적인 반응에 흔들릴 우리가 아니다. 우리는 이 문제에 충분히 많은 숙고를 해왔다”고 대꾸했다.
'God Loves Sex' Billboard Turns Heads On Pennsylvania
Highway
Churches have done some elaborate things to attract new worshippers -- and one Pennsylvania congregation is taking a leap of faith with its sexy new billboard.
Restored Church of Wilkes-Barre, PA paid for a billboard along Route 309 that reads "'I love sex.' -God" and promotes the church's new sermon series that will focus on the biblical Song of Solomon.
"What we want to do is let people know that the Bible is relevant to everyday life. When it comes to sexuality... God is the the inventor, author and creator of it," Restored Church's Pastor Dan Nichols told HuffPost.
The Song of Solomon is indeed full of some of the sexiest passages in the Bible. The first lines read:
Let him kiss me with the kisses of his mouth— for your love is more delightful than wine. Pleasing is the fragrance of your perfumes; your name is like perfume poured out. No wonder the young women love you! Take me away with you—let us hurry! Let the king bring me into his chambers.
The series will kick off on September 7 with a sermon by Dr. Mark McGinniss of Baptist Bible Seminary who wrote his doctoral dissertation on the Song of Solomon. Pastor Nichols and other Restored Church pastors will lead the subsequent worship services, ending the series with a Q&A panel on the final Sunday.
“If the culture can be so bold, I think the church can be so bold and speak directly on the subject and be up front about it," Nichols told WNEP 16.
Nichols, who is 26 and married, said he hopes the billboard will attract millennials from local colleges to the church. Although he said the church's overarching message emphasizes sex between a husband and wife, one of the sermons will address sex in single life which might be more pertinent to a younger audience. Overall, Nichols told HuffPost he believes the topic will resonate with all.
"We want to reach college kids, but the message is multi-generational," Nichols said.
Restored Church opened its doors on September 8, 2013 and has a congregation of roughly 100, Nichols told HuffPost. The church's first billboard was erected for its grand opening with a message that read "No perfect people allowed", with the intention, Nichols said, of highlighting Jesus' own perfection.
The strategy worked at the time, but the feedback over the recent billboard has been mixed, Nichols said, with particularly harsh criticism coming from other Christians.
"Evangelicals can be pretty divisive amongst themselves," Nichols told HuffPost. "We've gotten a lot of flack from other Christians."
Restored Church tweeted a picture of its shiny new billboard on Wednesday -- two days after the nearby Wilkes University commenced classes:
The One World Trade Centre can be seen mid way through construction. Building took six years while the authorities and families of the victims decided what the purpose of the skyscraper should be
뉴욕 사진작가 벤자민 로사몬드(Benjamin Rosamond)의 3만장에 달하는 사진을 타임랩스 동영상으로
구성했다.
Brick by brick:
Amazing timelapse video uses 30,000 photos to show painstaking progress of One World Trade Center emerging on Manhattan skyline
Brooklyn photographer Benjamin Rosamond took 30,000 photographs As day turns to night the 104-storey building rises higher and higher Created fascinating time-lapse showing skyline returning to former glory
By Harriet Hernando for MailOnline Six years of construction of the One World Trade Center has been condensed into a fascinating two-minute timelapse video.
Brooklyn based photographer Benjamin Rosamond took around 30,000 photographs of the 104-storey building from the day construction began in 2006 to the day when the final beam was laid in 2012.
He painstakingly compressed 1,100 photos to create the two-minute timelapse video which shows the 541 metre skyscraper emerging from the Manhattan skyline as the years pass.
The New York building, which dominates the skyline and is the tallest building in the Western Hemisphere, can be seen from miles around.
One of the most visible, politicised and high profile buildings in the world, the One World Trade Center, which was built after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 , lies on Ground Zero.
For years the site lay abandoned as authorities and victims' families argued over the design. Eventually, a compromise was forged and the building was designed part memorial, part commercial centre and part transportation hub.
The construction of the One World Trade Center in New York was captured by photographer Benjamin Rosamond who took 30,000 images and compressed 1,100 of them into a two-minute time lapse video
Benjamin Rosamond's camera clicked away both day and night as he collected images of the One World Trade Center to package into a tiny two-minute video showing its construction over six years
Once plans were agreed and politics put aside,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which is known colloquially as The Freedom Tower, stepped up. In the final two years of construction, a new floor went up every week. And with it, came a robust security measures designed to withstand a terrorist attack on a building which has already been targeted twice in the past.
The emerging One World Trade Center is mid construction and sits level with the Empire State Building on the Manhattan sky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