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올인한 전라도에 전기공급 과잉 현상?...발전소 멈출 판
기업 적은 호남에 태양광 '왕창'
전기 남아 발전소 멈출 판
전력수급 분석없이 설치
호남 생산량의 70%만 사용
우후죽순 태양광
제주에 이어 전남·전북 등 타 지역에서도 태양광발전 출력 제어(가동 중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염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의 급진적인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맞춰 체계적인 전력 수급 분석 없이 태양광발전을 우후죽순 설치하면서 생긴 부작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수요보다 생산량 많으면
과부하로 정전사태 올수도
호남으로 출력제어 확산 우려
남은 전기 다른지역 팔거나
저장시설에 보관해야하지만
설비투자 막대한 비용 필요
28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전국 태양광발전의 지난해 발전량은 2만1816GWh(기가와트시)로 집계됐다. 17개 행정구역 가운데선 전남이 4903GWh(22.5%)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전북(18.3%), 충남(13.1%), 경북(13.0%), 강원(7.6%) 순으로 높았다. 전남·전북에서만 전체 태양광 발전량의 40.8%를 차지한 것이다. 전국 최대 규모의 태양광발전과 한빛원자력발전소(전남 영광) 등을 합한 전남·전북의 지난해 전체 발전량은 7만6161GWh를 기록했다.
이에 비해 전남·전북의 경우 전력 판매량은 발전량의 72% 수준에 불과한 5만4972GWh에 그쳤다. 특히 전남의 경우에는 발전량(6만1840GWh)과 판매량(3만3486GWh)이 2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인구와 기업이 적다 보니 전력 소비량이 생산량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력 수급 미스매치'로 인해 제주에 이어 호남에서도 출력제어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태양광·풍력발전이 많이 밀집돼 있는 호남 지역은 전력 수요가 많은 지역이 아니다"며 "기업들이 문을 닫거나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는 주말에는 유독 전력이 많이 남는 편"이라고 말했다.
지역 내 전력 공급과 수요에 큰 차이가 발생하면서 남아도는 전력을 타 지역으로 보내기 위한 방안도 강구되고 있다. 최근 제주는 태양광발전소의 출력제어 조치가 늘자 과잉 생산된 전력을 육지로 보내기 위해 '제주·내륙 초고압 직류 송전선로(HVDC) 제3 연계선' 착공에 들어갔다. 제주와 전남 완도를 잇는 해저 케이블을 활용해 제주의 남는 전력을 육지로 보낸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전남 역시 전력 과잉 생산 지역이어서 이를 다시 수도권 등 제3의 지역으로 보내야 할 상황이다. 특히 전력 수요가 적은 외곽 지역에 태양광·풍력발전이 집중돼 전력 수급 불균형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는 염려가 커지고 있다.
김영환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장은 28일 국회에서 열린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 세미나'에서 "전력 공급체계가 중앙집권형에서 분산형으로 전환하고 있다"면서도 "태양광·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가 남부 지역에 집중돼 있어 지역 간 전원 불균형과 송전 제약이 심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전력망을 추가로 구축해 남는 전력을 배분하거나 에너지저장시설(ESS)을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문제는 막대한 비용이 든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상당한 자금을 들여 전력망을 구축한다 해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게 가장 큰 걸림돌로 지목된다. 예컨대 원전이나 석탄화력발전의 경우 24시간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연결된 송전망도 24시간 가동하게 된다. 구축된 전력망을 100% 활용하는 셈이다.
반면 태양광발전은 주간 등 특정 시간대에만 전력을 생산하는 간헐성이 있다. 국내 태양광발전의 1일 평균 가동 시간은 3~4시간이다. 사실상 전력망의 6분의 1도 사용하지 못한다는 얘기다. 경제성이 크게 떨어져 추가 전력망 구축이 쉽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게다가 제주나 호남처럼 전력 과잉 생산 지역인 경우 송전망 전압이 올라 과부하가 걸릴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를 갖추는 비용이 더 든다.
앞서 한전은 지난해 9월 '제9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통안전화용 ESS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1.4GW(기가와트) 규모의 ESS를 내년까지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또 올해 안에는 제주 계통신뢰도 유지를 위해 90㎿ 규모의 ESS를 설치한다고 했다. 하지만 업계에선 전력 수급 불균형을 ESS로 모두 해결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는 "정부 정책에 따라 태양광·풍력발전을 확대했는데, 설치할 용지가 마땅치 않다 보니 제주나 호남 등 특정 지역에 모이게 됐다"며 "대도시와 동떨어진 외곽 지역에 설치되다 보니 전력 생산과 소비의 불일치가 발생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현 정부와 같은 보급 위주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이어진다면 전국적으로 유사한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송광섭 기자] 매일경제
"정부 말만 믿었는데"...태양광 사업자들 망연자실
https://conpaper.tistory.com/87297
- 어쩌나!...주택도시가스 요금 8.4~9.4%⋯
- GS건설. 인천신항 배후 민자 개발사업⋯
- [탈탈원전] 건설업계, 원전 건설에 다시⋯
- 김은혜 끝났다!
- 교수가 공직에 갈 때, 사직하라 [고영회]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