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유흥 문화의 상징 33년 리버사이드 '물나이트',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라운지바 겸 스테이크하우스 '6-1' 리뉴얼 12월 오픈

 

신사동 리버사이드호텔 유시티(물)나이트클럽

 

물나이트클럽의 입구 모습

 

전성기의 물 나이트클럽

kcontents

 

 

서울 강남 밤 문화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리버사이드호텔 '물 나이트클럽'이 33년 역사를 마감한다.

 

서울 잠원동에 있는 리버사이드호텔은 1년여의 공사를 통해 과거 물 나이트클럽이 있던 LL층을 최신 유행의 고급 라운지 바와 스테이크하우스로 새롭게 꾸며 다음 달 초 문을 연다고 24일 밝혔다.

 

이로써 지난 1981년 호텔이 생기면서 영업을 시작한 물 나이트클럽은 33년 만에 사라지게 된다.

 

리버사이드호텔 물 나이트클럽은 80∼90년대에 강남의 대표적인 클럽으로 인기를 누렸다.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시절의 물 나이트 클럽. 무대 인근에 위치한 말 형상이 이채롭다.


당대 최고의 코미디언 이주일과 지금은 '가왕'으로 추앙받는 조용필이 공연했고, 강남에서도 '물 좋다'는 소문이 나면서 50여 개의 룸과 플로어가 밤마다 북적거렸다.

 

전국 유흥가에 그 이름을 빌린 '물 나이트'가 아직도 여럿 남아 있는 것만으로도 당시의 인기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나이트클럽 문화가 쇠퇴하면서 손님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결국 1년간의 공사 끝에 요즘 유행하는 고품격 라운지 바와 스테이크 하우스로 간판을 바꿔 달게 됐다.


물 나이트클럽이 간판을 내린 것은 그 자체로 나이트클럽 문화의 쇠락을 대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뿐만 아니라 물 나이트클럽의 변신은 리버사이드호텔이 지난 5년간 추진해온 변신에 마침표를 찍는 작업이기도 하다.

 

과거 리버사이드호텔은 정상적인 호텔로 보기 어려울 정도로 향락산업에 치중해 있었다. 2층에는 카바레, 3층에는 이른바 '터키탕', 12∼13층은 속칭 '풀 살롱'이 포진해 있었다.

 

1995년 3월 부도를 맞은 이후 10년 넘게 경매에서 유찰되던 리버사이드 호텔은 2008년 경매를 통해 현재 소유주인 가우플랜(구 하이브리드건설)에 넘어갔다.

 

호텔을 인수한 가우플랜은 당초 이 자리에 주상복합빌딩을 지을 예정이었으나 나이트클럽, 룸살롱, 웨딩숍 등을 운영하는 세입자들의 반발과 전 운영사와의 운영권을 둘러싼 송사 등이 복잡하게 얽혀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 과정에서 호텔 운영권을 둘러싼 갈등 속에 수백명의 용역과 경찰이 뒤엉키는 조폭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활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우여곡절 끝에 소유권을 확보한 가우플랜은 지난 5년간 12∼13층의 풀 살롱은 객실로, 3층 터키탕은 스파 시설로, 카바레는 고급 중식당으로 바꾸는 작업을 해왔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물 나이트클럽의 뒤를 이어받는 리버사이드호텔의 새로운 라운지 바와 스테이크하우스는 호텔의 주소(서울 서초구 잠원동 6-1)에서 따온 '6-1'이라는 간판을 내걸고 다시 한번 서울의 명소가 되기 위해 꼼꼼한 준비를 마쳤다.

 

물 나이트를 리뉴얼해 새롭게 문을 여는 라운지 바

물 나이트를 리뉴얼해 새롭게 문을 여는 라운지 바


이태원 명소 '글램 라운지 바'를 디자인한 건축가 김지호 교수의 디자인으로 250개의 좌석과 대형 라운지를 갖춘 공간으로 꾸며졌다.

 

또 기존 라운지 바와는 달리 제대로 된 주방을 갖추고 특급호텔 셰프의 질 좋은 음식을 제공한다. 스테이크하우스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숙성한 스테이크는 물론 계절 타파스(전채요리)도 제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6-1'은 최근 뉴욕에서 가장 인기를 끄는 '밀크 앤 허니' 출신의 바텐더를 초빙해 정통 칵테일과 손님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특별한 칵테일도 제공한다. 전문 소믈리에가 와인도 추천해준다.

 
복층 구조의 라운지 바 상층에는 고급 위스키 바가 마련된다. 조용한 대화나 사적인 분위기를 원하는 고객은 언제든 상층으로 이동해 고급 위스키와 칵테일을 즐길 수 있다. 최소 2인에서 12인까지 수용할 수 있는 룸이 마련돼 연인들만의 이벤트나 소규모 파티도 진행할 수 있다.

 

리버사이드호텔의 새 라운지바 apos 6-1 apos

 

해외 유명 DJ와 실력 있는 국내 DJ들을 초빙해 신나지만 로맨틱하고 품격있는 음악으로 공간을 채운다는 계획이다.

 

리버사이드호텔 관계자는 "6-1은 특급호텔 요리장의 고품질 음식과 음악, 주류 서비스는 물론 VIP를 위한 특별한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고품격 복합문화공간"이라며 "이런 문화공간을 합리적인 가격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상훈 기자 meolakim@yna.co.kr

 

 

 

"From past to future"
Arts & Culture
CONPAPER

댓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국제화 전말 [정달호]

www.freecolumn.co.kr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국제화 전말

2014.11.24


1992년 2월로 기억됩니다. 매년 제네바에서 개최되는 유엔 인권위원회(지금은 인권이사회로 이름이 바뀜)를 앞둔 시점이었습니다.  인권위는 유엔 내에서 세계 각국의 인권상황과 이슈 별 인권 문제를 다루는 최고의 기관입니다. 당시 필자는 우리 외교부에서 유엔 경제사회문제 담당과를 맡고 있었습니다. 마침 국내에서는 위안부 문제가 터져 나오고 있었는데 한일 간의 문제가 그렇듯 언론에서는 연일 정부에 대해 일본 측에   진상 규명과 사과 및 배상을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들끓고 있었습니다. 정부로서는 곤혹스러운 상황이었습니다. 일본 측이 강점기의 문제로 인한 양국 간 보상이나 배상 문제는 1965년의 협정으로 다 타결되었다는 입장이었으니 우리가 다시 무엇을 일본에 대해 요구한다는 것은 난처하기도 하고 한일 관계의 다른 부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를 하였기 때문이었습니다.

국제 인권문제를 담당하던 저로서는 위안부 문제가 양국간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인권 문제이므로 이 문제를 유엔 인권위원회에 제기하는 것이 좋다는 판단을 하고 일본 문제를 담당하는 부서에 이를 알렸더니 이 부서에서는 역시 양국 관계를 들어 이를 국제적으로는 제기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일단 제네바 회의에 참가하였지만 저로서는 이대로 가면 일본이 기존의 입장을 바꾸지 않을 테니 국제무대에서 일본의 대규모 전시 인권침해 사실을 공개하고 비판하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하였고 이를 우리 수석대표인 현지 대사에게 설명하면서 이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할 것을 적극 건의하였습니다. 현지 대사는 저의 말에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우리의 기조연설을 통해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 대하여 진상 규명과 사과, 책임자 처벌 및 배상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일본 측에서는 드디어 문제가 터졌다고 보고 위안부 문제는 기존 한일 간의 협정에서 완전 해결되었다는 입장을 반복하면서 우리의 발언을 강력히 반박하였습니다. 이렇게 해서 소위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국제사회에서 처음으로 이슈화하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재미 있는 것은 일본 측의 발언이 끝나자 회의 참가 시민단체 중 누가 나서서 일본 정부의 입장을 비판하고 위안부 문제는 보편적인 인권문제이므로 드러난 구체적인 인권침해에 대해 일본 정부가 사과도 하지 않고 배상도 하지 않으려는 것은 일본의 양심에 어긋난다는 주장을 폈습니다. 저는 정말 백만의 원군을 얻는 것 같았고 더욱이 이 발언을 한 사람이 다른 나라도 아닌 일본의 인권변호사였기 때문에 일본 여론의 지지를 얻을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 안도감과 함께 적지 않은 희망을 갖게 되었습니다..

저는 토츠카 에쓰로(戶塚悅郞)라는 그 일본인 변호사가 너무나 고맙고 앞으로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더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그를 저녁 식사에도 초대하였는데 그는 자기가 비록 일본 정부의 입장에 반하는 주장을 하지만 일본이 과거의 잘못을 잘못으로 인정해야만 양심적인 사회로 존립할 수 있으며 그래야 이웃과도 진정한 관계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나중에 사회당 정부의 인권고문이 되었습니다. 또 하나의 에피소드는 토츠카 변호사가 동경으로 돌아가는 길에 서울에 들러 저를 만나자고 하여 같이 점심을 한 후 그를 경복궁 뒤편 명성황후 시해가 있었던 터에 데려가서 당시의 사건을 설명한 일인데, 그 자리에서 제가 일본 정부가 한국과 우호관계를 유지해나가기 위해서는 앞으로 일본 요인들이 한국을 방문할 때 우선 여기에 와서 고개 숙여 예를 표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더니 그는 시해 사건 자체를 처음 들어서 매우 놀랍다고 하면서 위로의 말과 함께 저의 제안에 대해 수긍을 표시하였습니다.

20년 이상 한일 간에 위안부 문제가 입안의 가시처럼 돼 있습니다. 우리는 일본 측이 과거의 진실을 부인하거나 정부의 책임이 아닌 것으로 얼버무리는 것을 참지 못하며, 일본은 사과는 물론 금전적 조치까지도 마련했는데 도대체 얼마를 더 사과해야 하는가, 하고 우리에게 도리어 짜증을 부리고 있습니다. 미국, 유럽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전반적으로 우리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지만 일본은 이에 귀를 기울이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국가의 다른 국가에 대한 불법행위는 진상 규명, 사과, 책임자 처벌 및  배상이 그 해결의 공식입니다. 저는 우리 측이 이렇게 주장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애초에 사과를 너무 쉽게 받아주었다고 봅니다. 국가가 그 중대한 불법행위에 대해 사과하려면 국가의 입법으로 하는 게 또한 공식인데 총리의 사과 담화로만 받고 말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자꾸 원점으로 돌아간다는 인상입니다.

입법이 아니라면 적어도 국회의 결의 형식이라도 취해야 확고한 국가의 입장이 표명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텐데 처음에 이렇게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과를 받고도 진정한 사과를 받지 아니한 결과가 된 것입니다.  지금 아베 총리가 설령 위안부 문제에 대해 다시 사과를 한다 하더라도 이런 식으로 가면 이 문제가 언젠가 또다시 불거질 수도 있기 때문에 우리로서는 국가 차원의 사과를 받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봅니다. 천황제 하에 있는 일본이란 나라는 국가의 오류를 좀처럼 인정하지 않는 나라이기에 제대로 된 국가 차원의 사과를 받아내기란 쉽지 않은 일일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처럼 국제사회를 통한 압력이 계속된다면 일본 사회 내 양심세력들의 주장도 더욱 거세질 것입니다. 애초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로 시작된 국제사회의 논의가 전시성노예 문제로 발전된 것도 국제사회의 압력이 가중되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하겠습니다.

필자소개

정달호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직업 외교관으로 일했으며 주 이집트 대사를 역임했다. 현재 제주 소재 유엔국제훈련센터(UNITAR)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제주특별자치도의 외국인자문위원회 위원장으로 외국인거주환경개선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한라산 자락에 텃밭과 나무를 가꾸며 자연의 품에서 생활의 묘미를 찾는다.

Copyright ⓒ 2006 자유칼럼그룹.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freecolumn.co.kr

 

 

"From past to future"
Arts & Culture
CONPAPER

댓글()

내가 하는 말은 내가 누구인지를 드러낸다

 

 

내가 하는 말은 내가 누구인지를 드러낸다

 

  우리 중 누구도 완벽한 사람은 없다.

 

  말로 또는 다른 것으로 실수한다고 해서

  불필요하게 주눅들지 마라.

 

  자신을 지나치게 몰아 세울 필요도 없다

 

  누구나 말을 하다가,

  일도 시도하다가 실 수 할 수 있다

 

  그 실수를 줄여나가고

  남에게 말하는 방법을 개선시키면 되는 것이다

 

  폴 베어 브라이언트는

  "실수를 저질렀을 때 그것을 만회하려면

  세 가지 일을 해야 한다.

 

  첫번째는 실수를 인정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실수로 부터 배우는 것이고

  세번째는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것이다.

 

  자신의 가치가 없다고 느끼는 감정과

  자기 연민(나를 줄쌍히 여겨주세요)은

  부정적인 말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자기 대화를 좀 더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면

  극적인 반전을 기대할 수 있다.

 

  부정적이고 남에게 상처 주는말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의 미래는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는다.

 

  당신이 하는 말이 당신의 인생을 만든다.

 

  이재준 <사람이 모이는 리더는 말하는 법이 다르다>

 

 

 

 

"From past to future"
Arts & Culture
CONPAPER

 

댓글()

수도권 광역철도에도 TSM(교통체계관리)이 필요하다 - 한우진

 

경의선 복선전철 ©코레일

 

수도권에서 운행중인 착석열차: 누리로 및 ITX-청춘 ©코레일

kcontents
 

 

오는 12월 27일은 광역철도 경의선의 공덕~용산 구간이 개통되는 날이다.

 

이로서 경기도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방사형의 기존선 개량 중심 광역철도들은 일단 전구간이 완성된다.

 

90년대에 신설선 중심의 과천선, 일산선, 분당선이 개통된데 이어, 지금 21세기 초반에 경원선, 경춘선, 중앙선, 경의선 등 기존 철도를 개량한 광역철도들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물론 이런 노선들이 지어지는 와중에 분당선이나 경부선(1호선)처럼 기존선을 연장하는 노선들도 있었고, 신분당선이나 공항철도처럼 급행성격이 강한 신개념의 노선도 있었으며, 수인선처럼 아직도 짓고 있는 순환형 노선도 있다. 어쨌든 이들 기존선 개량 방사형 광역철도 사업들이 마무리를 할 수 있게 된 점은 매우 뜻 깊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21세기 들어 광역철도 사업들이 적극적으로 시행된 것은, 물론 수도권의 광역철도 노선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꾸준히 노선을 늘려온 서울지하철과 달리 광역철도는 노선수와 노선길이가 태부족하여 서울과 경기도를 잇는 광역교통이 몸살을 앓았다.

 

특히 수도권은 계속 확장되고 경기도에 인구는 빠르게 늘고 있는데 광역철도가 없으니 도로가 하루 종일 혼잡했던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광역철도의 빠른 건설과 개통은 지상과제였다.

 

하지만 이러한 급한 건설은 문제점도 낳았다. 일단 수도권 전철망의 큰 그림을 보지 못하고 개별적인 노선들로 건설되어, 이들 노선을 합친 ‘철도망’의 관점에서 그다지 효율적이지가 못한 상황이다. 예를 들어 도로는 직선으로 뻗어나가는데 전철은 이리저리 굴곡을 갖거나,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데도 환승을 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그런 사례다.


또한 개별노선 추진시 목표가 명확하지 않다보니 주변의 압력에 쉽게 영향을 받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강남구 개포동 지역에 지하철보다도 짧은 간격으로 역이 연이어 설치된 분당선의 사례를 들 수 있다. ‘광역철도는 반드시 일정 이상의 표정속도를 가져야 한다’, ‘표정속도를 어느 이상 떨어지게 만드는 역을 신설할 경우, 급행열차를 반드시 운행시켜야 한다’ 같은 원칙을 세우고 이를 지켰다면 이 같은 문제는 없었을 것이다.


광역철도라면서 차량이나 서비스는 사실상 도시철도와 별 차이가 없다는 점도 짚고 나가야 한다. 광역철도라면 도시철도보다 최고속도와 표정속도가 더 높고, 착석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는 이런 것을 고려하지 않고 급하게 광역철도를 건설하다보니 도시철도와 별 차이가 없는 광역철도가 되어버린 것이다. 일부 노선에서 착석 서비스가 제공되긴 하나 지역적으로 차별이 있고, 기존 광역철도망과의 통합 측면에서도 개선할 점이 많다.

 

결국 오는 12월 기존선 개량 방사형 광역철도 건설이 마무리되는 기쁜 상황 속에서도, 아직 우리의 광역철도망은 끝마무리가 부족한 제품처럼 투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보다 세련되고 효율적인 광역철도망이 되기 위해서 광역철도에도 ‘TSM’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수도권 광역철도망 노선도 ©코레일

                                   

TSM이란 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교통체계관리나 교통운영체계개선이라고 부른다. TSM은 원래 도로교통에서 쓰는 말인데, 장기적이고 대규모 투자비가 소요되는 시설을 통한 거시적 개선방안이 아니라, 단기적이고 소규모의 투자비를 통해 최대의 교통 개선 효과를 내기위한 미시적 방안을 말한다. 이 같은 TSM을 통해 도로교통에서는 통행시간단축, 통행비용절감, 쾌적성이나 안전성의 향상 등을 꾀한다.


도로에서 TSM이 등장한 이유는 기존의 도로 건설과 같은 시설 확장으로는 교통문제 해결에 한계를 맞이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교통대책의 양보다는 질을 따지는 것으로 사회적 관점으로 옮겨간 것도 한 몫했다. 더구나 SOC예산의 부족으로 저비용 대책이 요구된 것도 이유이다.

 

이 같은 TSM은 기본적으로 저비용을 투자하여 고효율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투자는 지역적, 미시적으로 시행하고 투자의 결과가 나오는 시간을 최대한 짧아지도록 단기 대책을 추구한다. 또한 교통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조정과 균형을 중시하는 것도 특징이다. 서비스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특정 요소의 부족이 전체적인 서비스 수준을 하락시키기 때문에, 각 분야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부산시 TSM 총괄도 ©부산광역시


이 같은 TSM을 보고 있으면, 철도에도 시사하는 바가 무척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행 수도권 광역철도망도 그동안 양적 팽창에만 급급하다보니 서비스의 질이 충분히 올라가지 못한 상태였다.  또한 SOC예산의 제약을 받는 것은 철도도 마찬가지이며, 더욱 더 빨라지는 사회 변화의 속도에 따라 투자 후 빨리 개선효과가 나오는 대책이 선호된다.

 

결국 수도권 광역철도망의 질적 서비스향상을 막고 있는 ‘아킬레스의 건’ 같은 곳에 도로의 TSM과 같은 미시적 저비용 투자를 시행함으로써 기존 광역철도망의 효율성을 높이고 단기간에 편익 도출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양적 투자를 많이 했지만, 끝마무리가 부족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제품에 대해, 마무리를 세련되게 하여 보다 매력적인 상품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한 관점에서 수도권 광역철도망에 대해 제안하고 싶은 대책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노선간 직결운행을 통해 노선을 직선화하고 도로와 동선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곳이 신분당선과 분당선이다. 현재 1번 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는 강남에서 남쪽으로 계속 내려가는데 수도권 전철은 신분당선 강남~정자와 분당선 정자~기흥으로 쪼개져 있어서 정자에서 환승을 꼭 해야 하는 상황이다.

 

더구나 기흥부터는 노선이 서쪽으로 꺾이는 관계로 1번 고속도로를 따라가지도 못하고 있다. 수도권 광역버스들이 1번 고속도로를 계속 따라가며 동탄, 오산까지 이르는 것과 비교된다.

 

결국 정자역에서 선로를 연결하여 신분당선과 분당선의 직결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면 효과가 크다. 물론 이렇게 만들기 위해 차량이나 신호, 영업체계 등에서 추가 투자가 필요하긴 하나, 토목위주의 거대한 투자가 아닌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야말로 도로의 TSM과 같은 미시적인 저비용 고효율 투자인 것이다.

 

이와 같은 대책은 서울연구원(옛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지난 2005년 제안했던 ‘서울시 지하철노선 개편방안’을 떠올리게 한다. 당시 서울연구원은 서울지하철의 문제점을 네트워크 측면에서 보고 노선간 직결을 중심으로 이를 재구성하는 리셔플링(Reshuffling)방안을 제시했었다. 결국 이 같은 리셔플링 노선개편을 광역철도로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서울연구원이 제시한 서울지하철 노선개편(Reshuffling) 방안 ©서울연구원

 

분당선 외에도 철도가 도로를 따라갈 때 환승을 해야 하거나 노선이 끊겨 있는 경우는 자주 찾아볼 수 있다. 경춘선이 도심 진입을 못하고 있는 것, 김포도시철도와 서울9호선이 동선상 이어져 있지만 환승을 해야 하는 것, 신분당선이 강남에서 끊겨있는 것 등 많은 사례가 있다.

 

경춘선의 경우 도심진입을 위해서는 선로용량 부족으로 복복선이 필요하다지만, 중앙선과 경춘선의 분기를 입체교차로 만들고 망우에서 분리통합운전을 시행하는 방법도 있다. 분리통합운전은 합류 안쪽 구간의 선로용량을 절약하게 해주며, 분기노선의 수요 감소에도 저절로 대응되는 장점이 있다. 물론 스크린도어 위치 조정이라든가 입체교차선 설치 등이 필요하지만, 복복선보다 훨씬 저비용에 빠른 공기로 끝낼 수 있는 대책이다.

 

김포도시철도와 서울9호선처럼 하드웨어적 차이로 도저히 해결방법이 없을 때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도 동원할 수 있다. 김포도시철도의 차량 외장과 내장, 안내체계, 사이니지(signage) 등을 서울9호선 쪽으로 통일시키고, 양 노선이 통합안내를 시행하여 마치 한 노선처럼 안내하는 것이다. 비록 김포공항역에서 환승은 필요하나, 통일된 안내체계는 심리적 환승저항을 줄여주는데 도움이 된다.


둘째로 수도권 전철망의 최대 약점 중 하나인 낮은 속도를 개선해야 한다. 현재의 광역전철은 표정속도가 자가용보다 낮은 실정이다. 자가용은 접근성이 극도로 뛰어나므로 광역철도가 이를 이기기 위해서는 이동성면에서 자가용을 압도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는 단순한 표정속도조차 자가용에게 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광역철도의 표정속도가 자가용에 육박하는 것은 물론 그보다 훨씬 더 높아져야 낮은 접근성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광역철도의 표정속도를 높이는 방법은 급행열차 운행이 있다고 잘 알려져 있지만, 문제는 현행 급행열차의 운행이 너무 적고 비효율적이라는 것이다.


급행열차가 종착역까지 가지 않는 것이 대표적이다. 용문을 앞두고 양평까지만 가는 중앙선, 신창까지 가지 않고 천안까지만 가는 1호선 등이 그러하다. 이런 곳에서는 급행열차를 종점까지 연장 운행시키는 것이 좋다. 대신 종점까지 가던 완행열차를 현행 급행열차 종점까지만 운행시키면 총 운행거리가 동일하여 운행비용이 늘어나지 않는다.

 

연장 운행구간에서 급행열차가 전역(全驛)정차를 하면 역별 운행횟수도 동일해진다. 이러한 변경은 비용이 더 들지도 않으면서 종점역 승객에게도 급행열차 혜택을 줄 수 있는 좋은 방안이므로 최고의 TSM대책이다. (이 같은 운행방식을 ‘장거리 급행, 단거리 완행 방식’이라고 부른다               

 


중앙선 노선도 및 급행계통도(적색), 왜 급행열차를 용문까지 보내지 않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코레일


기본적으로 현재 수도권 광역철도망 급행열차 운행의 문제점은 대피선이 없는 곳에서는 대피선이 없어서 급행열차가 운행되지 않고, 대피선이 있는 곳에서는 대피선이 있는데도 충분한 급행열차가 운행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우선 대피선이 있는 노선에서는 대피선을 최대한 활용하여 급행열차를 적극 운행해야 한다. 급행열차가 많아지면 급행비정차역 승객이 불편해질까봐 급행열차를 늘리지 못한다고 하는데, 이렇게 급행열차를 늘리지 않다보니 노선 자체의 승객이 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게 더 심각한 일이다.

 

급행열차를 운행하는 도시철도인 서울9호선을 보면, 급행비정차역에 열차수가 적다는 민원보다 급행열차가 혼잡하다는 민원이 훨씬 많다. 새로 도입되는 차량도 급행열차에 먼저 투입되고 있다. 현행 광역철도의 급행운행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급행비정차역의 수송 임무는 과감하게 버스에게 이양하고, 광역철도는 표정속도를 높인 급행서비스에 집중해야 한다. 이것이 광역철도의 경쟁력을 높이고, 해당 광역철도 노선 전체의 승객 수를 늘리는 방안이 될 수 있다. 광역철도가 모든 역의 승객을 직접 수송하려는 욕심 때문에 경쟁력이라는 가장 중요한 요소를 잃어서는 안 된다.

 

TSM대책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급행비정차역 역세권에서 급행정차역으로 연결되는 노선버스를 확충하고, 급행비정차역에서 급행정차역까지 승객을 옮겨주는 완행열차를 최적화해서 운행시켜야 한다. 어디까지나 급행열차가 주된 열차이고 이를 보완하는 게 완행열차다. 현재처럼 완행열차가 주된 서비스이고 급행열차가 최대한 조금만 운행되는 특별서비스가 되어서는 광역철도의 속도향상은 요원한 일이다.

 

한편 이미 급행운행 중인 노선에서는 효율적인 완급결합이 되도록 시각표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완급결합이 잘 되어야 승객이 완행과 급행을 효율적으로 갈아탈 수 있으며, 환승낭비시간을 최소화하고 급행의 영향력을 노선 전체에 퍼지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선형의 제한으로 인하여 완급결합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투자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어떤 광역철도 노선의 A역부터 B역까지가 운행시간이 길어서 노선 전체의 완급결합이 잘 안되고 있을 때 이 구간의 운행시간을 약간만 줄일 수 있다면 훨씬 효율적인 완급결합 시각표를 작성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면, 해당 구간의 소요시간 단축이 가능하도록 우선적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다.

 

신호개선, 폐색길이 단축, 좀 더 세분화된 제한속도 step설정, 캔트량 향상, 곡선부를 다소 직선화 등등 방법은 다양하다.


중요한 것은 투자의 규모를 가급적 잘게 쪼개어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해당 부분만 저비용 투자를 하면 큰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대피선이 없는 노선인 경우, 꼭 필요한 곳에만 대피선을 설치하거나 부분 복복선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 지하 노선중 지상역이 있을 때 우선적으로 대피선 설치하기, 역을 신설할 기회가 생길 때 대피선도 함께 설치하기, 기존 역에 양방향 대피선 설치가 어렵다면 한 방향만 설치하기, 두 역 사이만 복복선으로 만들어 이곳에서 주행 중에 추월대피를 하기 등등 방법은 다양하다.

 

어디까지나 미시적인 최소한의 단기적 투자로 최대한의 효과를 끌어올리는 것이다. TSM의 기본 철학을 잊지 말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착석서비스의 지속적 확대가 필요하다. 광역버스에 비해 광역철도가 밀리는 부분이 착석 여부이다. 광역철도가 광역버스를 이기기 위해서는 광역버스의 착석을 상쇄할 수 있을만한 빠른 속도를 제공하거나 아니면 광역철도도 직접 착석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는 앞서 표정속도 향상에서 정리한 사항이고, 광역철도가 직접 착석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다.

 

현재 수도권 광역철도망에서 착석서비스는 경춘선의 ITX-청춘과 경부선(1호선)의 누리로 열차에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누리로는 1호선 노선을 따라간다는 점과 서울역과 신창역에서 고상플랫폼을 쓴다는 점을 빼면 일반열차와 별 차이 없이 운행되고 있다.

 

운임체계도 마찬가지로서 수도권 전철과는 동떨어져 있다. 광역철도의 착석서비스라고 보기에는 뭔가 기존의 수도권 광역전철망과 통합적인 느낌을 주지 못하고 있다. 같은 열차를 타면서 착석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속도 기반의 운임은 동일하게 받고, 착석 요금만 추가로 받는 것이 맞는 방법일 것이다.

 

지역적인 차별도 문제인데, 착석서비스가 필요한 곳이 경부선과 경춘선만은 아닐 것이다. 물론 대량수송을 위해 서비스를 입석으로 표준화한 점은 이해가 되지만, 서비스의 질과 다양화가 중시되는 21세기에도 획일화된 입석 서비스만 제공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결국 광역철도의 착석서비스 제공은 향후 광역철도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본격적인 착석 전용 차량을 도입하거나 대규모 영업체계를 갖출 여력은 없다.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저비용 고효율 단기대책인 TSM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현재 운행 중인 전동차의 T카를 2층이나 단층의 좌석차량으로 바꾸거나 추가하고 스마트폰으로 구입하는 착석권을 발행하여 좌석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자유석의 개념을 도입하여 판매되지 않은 좌석에는 누구나 앉을 수 있게 하되 스마트폰으로 착석권을 구입하면 그 사람에게 앉을 권리를 주는 식이다.

 

다소 행정편의주의적이라고 보일 수도 있겠으나 화장실을 생략하고 스마트폰으로만 좌석권을 발행하면 비용을 더 줄일 수 있다. 코레일은 더 이상 철도청이 아니다. 공무원 입장에서 모든 승객에게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은 이미 지나간 환상이다.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나눔카(카셰어링)조차도 스마트폰과 인터넷으로 예약을 받고 있으며, 전화로 예약하면 추가수수료를 물어야 한다.

 

좌석칸 도입으로 차내 혼잡도가 높아질 수도 있으나 서비스 향상을 위한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이해해줄 필요도 있다. 좌석권 발매로 인해 수입이 늘어난다면 추가 차량 도입의 여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한편 기존 노선이 아니라, 수도권 광역철도망의 신설 노선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나 서해선(신안산선, 대곡소사선, 소사원시선), 중부내륙선(월곶판교선, 성남여주선) 등은 새로 짓는 노선인 만큼 기존 광역철도의 비효율성을 답습하지 않도록 사전에 철저하고도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다.

 

환승체계, 열차운행방식, 안내체계 등에 있어서 기존 광역철도망의 시행착오를 피하고, 기존 광역철도망과 고도로 최적화된 연계 운영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실행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정책기구의 필요성도 시급하다. 현재 수도권 광역교통정책은 시도간 버스노선조정조차 난항을 겪을 정도로 난맥상에 빠져있는 상태이다. 본고에서 제안한 수도권 광역철도망을 위한 질적 개선 정책은 국토교통부, 코레일, 한국철도시설공단,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각 민간철도사업자, 경찰청(도로교통관할), 버스업체들, 환승센터 사업자 등 무수히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얽혀있는 사업이다.

 

이렇게 이해관계자가 많기 때문에 수도권 광역교통에 대한 종합적인 권한과 의무를 갖고 정책을 독립적이고 일관되게 추진해나갈 수 있는 기구의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기구가 없으면 본고에서 제안한 여러 기관이 얽혀있는 단기대책보다는, 한 개 기관에서 할 수 있는 장기대책에 매달리는 부작용이 생긴다. 또한 정책간의 우선순위 조정도 되지 않는다. 각 기간별 정책추진의 시기와 규모가 불일치해 효율이 오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현실성과 효과가 의심스러운 메가 프로젝트가 정치적인 이유로 너무 쉽게 결정된다든지, 시급하지도 않은 도시철도가 무작정 건설되는 등 문제가 많이 생긴다. 당장의 건설비도 문제이지만, 운영비 때문에 후세에 두고두고 짐을 지우게 될 수도 있다.

 

수도권전철 개통 당시와 40년 후인 현재의 모습 ©코레일

 

올해로 40년이 된 수도권 광역철도는 수도권 발전을 견인하며 우리나라의 경제, 사회, 문화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 다만 급격한 양적 팽창에 따라 여러 가지 비효율적인 부분이 생겨난 것이 아쉬운 부분이다. 이제 우리나라의 인구증가율이 하락하고 있으며, 수도권의 기능 분산을 위한 세종시, 혁신도시 등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는 만큼, 기존의 양적 팽창 중심의 수도권 광역철도 정책은 한계를 맞이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제는 기존의 광역철도망에 저비용 단기대책을 추가함으로서 효율을 높이고, 각 노선간 연계성을 높일 때라고 할 수 있다.


도로가 마찬가지 과정을 거쳐 오면서 TSM 대책이 유용한 교통대책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처럼, 철도도 이에 착안하여 미시적 저비용 단기대책으로 기존 광역철도망의 부족한 곳을 메꾸어주어 내실을 기하는 ‘철도TSM’이 본격 논의될 시기라고 본다.*

한우진 (인터넷레일뉴스 칼럼니스트, 미래철도DB 운영자, 교통평론가)

 

 

 

 

 

"From past to future"
Construction News
CONPAPER

 

 

 

 

 

댓글()

3400여억 원 규모 '국방대학교' 논산 이전, 본격 추진된다

24일, 국방대 논산 이전 기공식

 

 

논산 국방대학교 조감도

 

논산 국방대학교 이전 위치도

kcontents

 

 

국방대학교가 논산 이전을 본격 추진한다.


국방부 김민석 대변인은 21일 정례브리핑에서 “24일 충남 논산시 양촌면 거사리에서 한민구 국방장관, 안희정 충남도지사 등 군 관계자, 기관장, 지역주민, 국방대 교직원 등 3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국방대 논산 이전 기공식이 열린다”고 밝혔다.


충남 논산시 양촌면 거사리 일대 69만7207㎡(21만여평)의 부지에 3400여억원을 투입해 새롭게 조성하는 국방대는 2016년 12월까지 교육시설 5동, 주거시설 20동, 종교시설 4동, 근무지원시설 36동이 건설된다.


국방대 이전은 2007년 12월 지역발전위에서 충남 논산 이전을 결정한 이후 2009년 6월 국방부와 국방대, 충남도와 논산시 등 4개 기관의 이전합의서 체결과 2009년 12월 국방대 이전위치를 양촌면 거사리로 확정했다. 1955년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에서 창설된 국방대는 1956년 현 위치인 서울시 은평구 수색동으로 이전 후, 반세기 동안 우리나라 국가안보 교육기관이자 싱크탱크로 기여해왔다.


국방대의 한 관계자는 “국가적으로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추진되는 국방대 이전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실질적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전시업이 완료되면 교직원과 학생, 가족, 관련 업종 종사자 등 2000여명의 인구 유입과 함께 60억원의 교부세 증가, 1000 여명의 고용효과, 890억원의 생산유발효과, 490억원의 부가가치 등이 발생할 것으로 논산시는 예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세계일보 김선영 기자
007@segye.com

 

 

"From past to future"
Construction News
CONPAPER

 

 

댓글()

인천시, '신촌근린공원 조성' 본격 추진...부평미군기지 시설물 유지 방침

 

부평구 부평1동 동아아파트 옥상에서 바라본 캠프마켓. 이들 건물 중 상당수는 재활용 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 건물 중 일부는 일제 시대 때 지어진 근대 건축물이다.  ⓒ 한만송  오마이뉴스

 

연합뉴스

 

[관련보도링크]

인천시, 부평미군기지 활용 밑그림 내놔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55625

kcontents

 

 

인천시가 2016년 반환 예정인 부평미군기지 내 건축물과 지하시설물(땅굴) 등을 대부분 보존해 활용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인천시는 지난 21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부평미군기지 반환 공여구역 시민참여위원회를 열고, 위원들을 대상으로 부평미군기지와 주변지역을 포함하는 "신촌근린공원 조성계획안"을 설명했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다음달 중 신촌근린공원 조성계획안을 인천시 도시공원위원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공원은 부평미군부대 반환 공여구역 총 면적 60만6천615㎡ 가운데 42만8천985㎡ 에 조성될 계획이다.


시는 공원 조성 예산으로 토지매입비와 보상비 6천193억원, 공사비 704억원 등 총 6천897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부평미군기지 공원 조성 방향을 "역사성", "지속성", "친환경성"으로 정했다. 1930년대 말 일본 육군 조병창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미군기지 내 건축물과 지하시설물 등을 활용해 역사사료관, 생태공간 등으로 조성한다는 것이다.


또 조병창 당시부터 이어진 기지 내 토지 구획이나 공간 배치 등을 최대한 살리면서 사업을 진행한다는 구상이다.


다만, 이번 공원 조성계획안은 내년 9월까지 부평미군기지 공원 조성계획을 확정하지 않으면 관련 법에 따라 공원 지정이 취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임시적으로 수립한 것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시 관계자는 "이번 공원 조성계획은 시가 2008년 마련한 부평미군기지 발전종합계획을 바탕으로 세운 것"이라며 "향후 미군기지 반환을 앞두고 전문가와 시민사회 등이 참여하는 광범위한 논의를 통해 큰 틀에서 바뀔 수도 있다"고 말했다.

경인일보 박경호 기자

 

 

 

"From past to future"
Construction News
CONPAPER

 

댓글()

동아에스텍, 191억원 규모 '영동고속도로 광교신도시구간 방음시설 공사' 수주

 

 

영동고속도로 광교신도시구간 방음시설 위치도 및 설치도

kcontents

 

동아에스텍은 한국도로공사가 발주한 191억원 규모 영동고속도로 광교신도시구간 방음시설

설치공사를 수주했다고 24일 공시했다. 계약기간은 2016년 12월 10일까지이며 계약금액은

지난해 매출액 대비 17.63% 규모다.
파이낸셜뉴스
sane@fnnews.com 박세인 기자

 

[참고자료]

국토부·환경부도 '배째라'식 공룡조직 도로공사 앞에선 '卒

http://m.joongboo.com/articleView.html?idxno=834919

광교 웰빙타운 소음 갈등, 3년 만에 일단락

http://nacodeone.blogspot.kr/2014/03/gwanggyo-well-being-town-3.html

 

 

 

 

 

"From past to future"
Construction News
CONPAPER

 

댓글()

삼성물산, 4억8600만 불 규모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가스 LNG 터미널 건설공사' 수주 Samsung C&T Awarded the Second LNG Terminal in Malaysia

자회사,영국 설계 전문업체 웨소(Whessoe)사 기여 커

STS와 컨소시엄

2018년 4월 말 완공

 

Regasification terminal to be built in Malaysia

말레이시아 LNG 터미널 조감도 [사진제공: 삼성물산]

 

Pengerang Johor Terminal project

프로젝트 위치도 펜거랑(Pengerang)지역

kcontents

 


삼성물산이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가스(PETRONAS Gas Berhad)가 발주한 LNG 터미널 건설공사의 최종계약을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전체 공사금액은 저장탱크 설계를 포함해 4억8600만 달러(5175억원)이며, 이 중 삼성물산은 설계를 포함해 4억5990만 달러(4900억원)를 계약했다.

 

삼성물산은 말레이시아 건설사인 STS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완공은 2018년 4월 말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Kuala Lumpur)에서 동남쪽으로 300km 떨어진 조호르 주(州) 펜거랑(Pengerang)지역에 20만㎥의 LNG 탱크 2기와 연간 5백만 톤의 액화천연가스 기화송출설비를 짓는 공사로, 페트로나스 가스는 완공 후 인근 대규모 석유화학단지 및 열병합 발전소에 천연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사업에서는 영국 액화천연가스(LNG) 저장탱크, 재기화(regasification)시설 설계 전문업체인 웨소(Whessoe)의 힘이 컸다.


지난해 3월 웨소를 인수한 삼성물산은 협업을 통해 사업 초기부터 설계와 시공을 수행했다. 웨소는 전 세계 LNG인수기지 중 6%, 탱크설계 중 13%를 수행했을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삼성물산 측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 지역 에너지 허브 전략에 따라 LNG 저장시설 분야는 앞으로도 발전가능성이 높다”며 “성공적인 공사수행 역량을 통해 고객을 신뢰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LNG 설계 및 시공분야에서 지속적인 수주를 이어 가겠다”라고 전했다.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

 

Samsung C&T Awarded the Second LNG

Terminal in Malaysia

 

Samsung C&T Corporation, our affiliate, has been awarded a contract by PETRONAS Gas Berhad to build a re-gasification terminal in Johor, Malaysia, with its partner Science-Tech Solutions (STS) Sdn. Bhd.  PETRONAS Gas Berhad is a subsidiary of national oil company.

  

Samsung C&T Corporation will execute the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and commissioning (EPCC) work of the re-gasification terminal which has a send-out capacity of 5 million tons per annum and two 200,000m3 LNG storage tanks. Construction is expected to be completed by April, 2018.

 

The re-gasification terminal (known as RGT-2) is part of Malaysia’s development plan to secure stable natural gas supply for the nearby Refinery and Petrochemical Integrated Development (RAPID), Pengerang Co-generation Plant (PCP) and also to the Peninsular Gas Utilization (PGU) Grid.

 

Samsung C&T is developing a strong track record in LNG, having completed various projects around the world. The company successfully completed the first LNG terminal in Singapore, and was further awarded the phase 3 expansion of the Singapore LNG terminal in August 2014. Through its acquisition of Whessoe Engineering Limited, an engineering firm specialized in cryogenic tanks and regasification facilities based in United Kingdom, Samsung C&T looks set to become a leading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mpany in the LNG industry.

samsungvilla

 

 


"From past to future"
Construction News
CONPAPER

 

댓글()

부산 지역 사업 검증 안거친 대형사업 '봇물', 예타 없이 증액 심사 시행

농해수위 '예비타당성' 통과 전에 예산부터 배정,

형식적 예타로 혈세 낭비 우려

 

부산항 신항 신규 준설토투기장 사업

여당 대표가 지역구를 두고 있는 부산지역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치지 않은 대형사업에 대해 잇따라 증액 심사가

이뤄져 논란이 일고 있다.

kcontents

 

 

예산이 쏟아지다 보니 부산지역은 이번 예산심사 과정에서 최대 수혜지로 떠오를 전망이다.

 

23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에서는 부산 지역에서 내년 신규사업으로 추진되는 'e-내비게이션 연구개발 및 인프라구축 사업' (해양안전 확보 및 신사업 창출 목적)에 대한 내년도 예산 70억원이 책정됐다.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 순차적으로 총 사업비 2200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사업이다.

하지만 이 사업은 상임위를 통과하면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전제 조건으로 달았다.

 

국가재정법은 사업비 500억원 이상의 공공사업 등에 대해선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사업성을 검토한 후 예산 배정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어 '일단 예산 먼저 챙기기'의 전형적인 사례라는 지적이다.

 

이런 식으로 예비타당성 통과를 조건으로 부산 지역에 예산이 잡힌 경우는 쉽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해양융복합 소재 산업화 사업도 예비타당성 조사를 조건으로 상임위에서 30억원이 증액됐다. 계속 사업을 추진할 경우 888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항 신항 신규 준설토투기장 사업은 50억원이 늘어 총 사업비가 961억원이 됐다. 이 사업도 예비타당성 조사가 필요하지만 아직 이를 거치지 않은 상태다.

 

신규사업인 부상공동어시장 현대화 사업을 위해서는 69억원의 내년 예산이 책정됐다.

 

총 사업비 3035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상임위에서 예산을 배정받은 직후에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는 정반대의 순서를 밟았다.

 

이런 예산들을 의결한 농해수위는 여당 대표인 김무성 의원이 소속돼 있어 여당 실세의 입김이 작용한 결과라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김 대표 측은 "지역구에서 직접 예산이 늘어난 것도 아니고, 해당 상임위 예산소위 위원들이 결정한 일인데 억지일 뿐"이라며 반박했다.

 

국회 정무위에서는 부산으로 이전할 예정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청사 건설비를 다른 연구기관에 비해 2~3배 많은 22억원을 책정했다.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치지 않은 사업 중 상당수는 애초 정부에서 계획한 것은 아니지만, 여당 의원들이 사업의 필요성을 정부에 제안해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보니 예비타당성을 거치기도 전에 예산 배정부터 요구하는 '편법'이 동원된 것이다.

 

손종필 나라살림연구소 부소장은 "관련법에 따르면 예비타당성을 통해 사업성을 먼저 검증받고 예산 배정을 해야한다"며 "대형사업에 예비타당성을 거치지 않은 것은 일종의 편법"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예비타당성에 앞서 예산이 배정된 사업들에 대한 정치권의 입김으로 예비타당성 조사가 객관적으로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예비타당성 조사가 형식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박근혜 표' 예산인 한국해운보증기금 설립 예산도 부산 출신 여당 의원들의 끈질긴 요구로 정부안보다 200억원 증가한 500억원으로 정무위 예결산심사소위를 통과했다.

 

해운보증기금은 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선박금융공사' 설립이 통상마찰 등의 우려로 어렵게 되자 대안으로 부상한 것이다. 하지만 해운보증기금을 별도로 세우는 것보다 기존의 신용보증기금 등을 활용하는 게 비용이 절감될 것이라는 지적도 만만찮다.

 

이들 예산은 예산결산심사특위의 예산안조정소위에서 얼마나 삭감될 지가 관건이다. 예결위 관계자는 "일부 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가 돌발 변수로 늦어진 경우도 있어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사업별로)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CBS노컷뉴스 정영철 조태임 기자

 

 

"From past to future"
Construction News
CONPAPER

 

댓글()

서울시, 세계 최초 '콘센트 사용 전기차 충전 ‘모바일 충전서비스’ 시작

 

24일(월), ㈜파워큐브 등 5개기관과 ‘모바일 충전서비스 시범사업 업무협약’

SK건설 롯데마트, 모바일 충전인프라 장소 제공

국내외 특허 가진 중소기업 ㈜파워큐브 기술력 활용...통신망으로 전기요금 부과
▴별도 설치 필요 없고 ▴저렴한 초기 비용 ▴사용한 만큼 전기요금 내는 장점
전기택시사업자 등 충전기 100기 무료보급 시범사업 12월부터 5개월간 추진
접근성 높은 아파트, 롯데마트, 공공청사 등 450곳에 콘센트 충전인프라 구축
시, “전기차 충전 패러다임 전환...충전 편의성 높여 전기차 대중화 앞당긴다”

 

모바일 충전기 장점

 

※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충전인프라 설치·이용 과정 비교

※ 출처 : 한국교통연구원 ‘공동주택 등 도시형 주택의 충전인프라 구축방안 연구’(2014.10)

서울시

kcontents

 

 

서울시가 휴대폰을 충전하듯 콘센트에 선을 꼽아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차 모바일 충전서비스’를 시작, 전기차 대중화를 앞당긴다.

 

특히 이는 모바일 충전서비스에 대한 국내외 특허를 가진 중소기업 ㈜파워큐브의 기술력을 활용해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 것이다.

 

이들의 기술은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통신요금이 부과되는 것과 같이 전기차 모바일 충전기에 통신단말기와 전기계량기를 탑재하고 일반콘센트에는 인식표(RFID Tag)를 붙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기요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환경부와 한국전력공사와 협력해 총 100기의 전기차 모바일 충전기를 무료 보급하는 ‘전기차 모바일 충전서비스’ 시범사업을 오는 12월부터 내년 4월까지 5개월간 진행한다고 24일(월) 밝혔다.

 

이 기간 모바일 충전기 인증을 완료해 서울은 물론 전국 단위로 본격적인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100기는 ‘14년 전기승용차 민간보급사업 선정자 80기, 전기택시사업자 10기, 서울시·사업소에 10기를 보급한다.

 

‘14년 서울시 전기승용차 민간보급사업 선정자는 182명으로 이중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동의를 못 받아 충전기 설치가 어려운 시민을 대상으로 모바일 충전기를 원하는 시민에게 우선 보급할 예정이다.

 

전기차 모바일 충전서비스는 ▴별도 충전기 설치가 필요 없어 저렴한 초기 비용(완속충전기 대비 약 6백만원 절감) ▴휴대가 가능하다는 점 ▴사용한 만큼만 전기요금 부과 ▴이사로 인한 재설치 비용(약 6백만원)이 들지 않는다는 것이 장점이다.
 

현재는 ▴별도의 장소를 마련해 7백만 원(완속충전기)을 들여 충전기를 설치해야 하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매달 기본요금 2만원이 부과된다는 점 ▴이사를 할 경우 재설치 비용이 드는 점 등의 불편이 있다.

 

특히 전기차 충전기 설치 공간 확보와 입주자대표회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등 설치절차가 까다로워 확산에 한계가 있던 서울시내 80%를 차지하는 공동주택 내 전기차 보급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접근성 높은 아파트, 롯데마트, 공공청사 등 450곳에 콘센트 충전인프라 구축

또, 쉽고 편리하게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시민접근성이 높은 아파트 300개소, 롯데마트 50개소, 공공청사 30개소, SK그룹 계열사 50개소, 전기택시기사 이용식당 20개소 총 450개소에 콘센트로 충전이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파워큐브, 한국로버트보쉬㈜,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SK건설, 롯데마트와 ‘모바일 충전서비스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24일(월) 체결한다.

 

업무협약식에는 정효성 행정1부시장을 비롯, 한찬희 ㈜파워큐브 사장, 헤르만 캐스 한국로버트보쉬㈜ 사장, 최갑홍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원장, 조치상 SK건설 건설공사본부장, 유경우 롯데마트 대외협력부문장이 참석한다.

 

협약을 통해

 

①서울시는 시범사업을 주관

②㈜파워큐브는 품질 좋은 충전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며

③한국로버트보쉬㈜는 안전한 충전기를 저렴하게 보급

④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은 시범사업을 모니터링하며 시범사업기간 모바일 충전기를 인증

⑤SK건설과 롯데마트는 모바일 충전인프라 장소를 제공한다.

 

정효성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전기차 모바일 충전서비스는 전기차 충전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으로 충전 편의성을 높여 전기자동차 대중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국내 중소기업의 독자적인 기술력이 세계로 수출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붙 임 1. 업무협약 체결식 개요 1부
            2. 협약서 1부
            3. 공동주택vs단독주택 충전인프라 설치·이용 과정 비교

 

[석간]서울시, 휴대폰 충전하듯 전기차 충전하세요.hwp (278016 Bytes)
서울시

 

 

 

 

"From past to future"
Construction News
CONPAP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