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개발제한구역 규제 완화 계획...‘기존 건축물 용도변경’ 대폭 확대

 

 

개발제한구역 내 기존 건축물의 용도변경 확대

국토부

 

 

2014년 하반기 개발제한구역 규제 완화 계획 발표
규제개혁지원단회의에서 결정, 규제점수 675→542점

용도변경 허용 범위를 30여종에서 90여종으로 확대

 

A씨는 개발제한구역 내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지만 장사가 잘 되지 않아, 음식점 운영을 그만두고 평소에 수집해온 공예품 등을 보관하고 전시하기 위한 미술관으로 용도를 변경하고 싶었다. 그는 관할관청 및 국토부에 문의했지만 “미술관으로 용도변경은 안 된다.”라며 거절당했다.

 

B씨는 개발제한구역 내 숙박시설을 운영하다가 사회복지사업을 희망하여 노인요양시설로 변경하고 싶었으나, 거절당했다.

 

C씨는 1960년대부터 영화촬영소를 운영하고 있는데 경영 악화로 찜질방(목욕탕)으로 변경을 원했지만, 하지 못했다.

 

앞으로는 이 같은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1971년 개발제한구역이 최초 지정된 이후 그간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를 고려하여 주민 생활 불편을 해소하고 주민 소득 증대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개발제한구역 내 기존 건축물을 사회복지시설이나 미술관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용도변경 허용 범위를 현행 30여종에서 90여종으로 대폭 확대한다.

 

이와 더불어, 지역별 특성에 맞게 동식물 관련시설 허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하고, 미래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수소자동차 충전소를 허용하는 등 하반기 개발제한구역 관련 규제 완화 계획을 밝혔다.

 

구체적인 하반기 규제완화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개발제한구역 내 기존 건축물의 용도변경 확대

개발제한구역 내 기존건축물(약 12만동) 중 신축이 금지된 용도의 건축물(7만동, 60%)들을 대상으로 용도변경 허용 범위를 30여종에서 90여종으로 확대한다.

 

다만, 개발제한구역의 훼손이 없도록 추가적인 건축물의 면적 증가가 없는 범위 내에서 허용할 계획이다.

 

이번 용도변경 대상 확대로 기존건축물들은 위락시설, 숙박시설, 물류창고, 공장, 제조업소 등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일부 용도를 제외한 사실상 대부분의 시설로 변경이 가능해진다.

 

다만, 현재 개발제한구역에 축사, 농업용창고, 온실, 공동구판장 등 신축이 허용되고 있는 시설*은 건축물 허가 후에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허용되지 않는 다른 시설로 용도 변경하려는 악용 행위가 우려되어 이번 제도 개선에서 제외 하였다.


* 신축이 허용되는 시설 중 “근린생활시설”은 용도변경 확대 허용

 

② 동식물 관련시설 행위규제 권한 지자체 위임

현재 시행중인 「개발제한구역법」은 구역 내 주민의 생활유지와 소득 증대를 위해 축사, 버섯재배사 등 10종*의 동식물 관련시설을 허용하고 있고, 각 시설별 건축자격 요건, 허용 규모 등 입지조건을 일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이 같은 방식으로는 시대적 변화(축산업 사양화 등)에 따른 탄력적 대응이 곤란하고 지역별 영농 특성 등을 반영하기 어려웠다.


* 축사, 버섯재배사, 콩나물재배사, 사육장, 잠실, 저장창고, 양어장, 퇴비사 및 발효퇴비장, 육묘 및 종묘배양장, 온실

 

앞으로는 동식물 관련시설의 허용 여부 및 자격요건·허용 규모 등 입지기준을 지방자치단체 조례에서 정하도록 위임하여 지역별 실정에 맞게 운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렇게 할 경우 지역별 특성에 맞게 버섯 재배사, 온실 등의 규모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고, 축사 신축도 불허할 수 있어 의도적으로 신축 허가를 받은 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불법행위를 사전에 차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③ 수소자동차 충전소 등 석유대체연료 주유소 허용

국제사회의 미래 친환경자동차 수요에 대비하여 수소자동차 충전소 및 석유대체연료 주유소*도 설치를 허용할 계획이다.

 

다만, 개발제한구역 훼손 최소화를 위해서 가급적 기존 주유소나 CNG 충전소 인접지역을 활용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 바이오디젤연료유, 바이오에탄올연료유, 석탄액화연료유, 가스액화연료유, 디메틸에테르연료유 및 휘발유·경유·등유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료현재는 주유소(휘발유, 경유, 등유), LPG충전소, CNG충전소만 허용 중

 

④ 개발제한구역 보전부담금 납부제도 개선

현재 개발제한구역 보전부담금은 현금으로만 납부가 가능하고, 납부기한도 1개월 이내로 하고 있어 부담금 납부에 불편이 있었다.

* 개발제한구역 해제 또는 개발제한구역 내 개발행위 시 이에 상응하는 보전부담금을 납부해야함. 해제 시 부담금은 “납부기한 6개월 + 1년 연장가능”하나 개발제한구역 내 개발행위 시는 “1개월 내 완납”

앞으로는 보전부담금을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로 납부할 수 있도록 하고, 납부기한도 6개월로 연장할 뿐만 아니라 부득이한 사유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1년 이내 범위에서 기한 연장이나 분할 납부까지 가능하도록 개정할 예정이다.

 

⑤ 기 타

<농림수산업용 임시가설건축물 설치자격 완화>

개발제한구역 내 주택을 소유하고 거주하는 농림수산업 종사자에게만 허용했던 임시가설건축물을 농림수산업에 종사하는 자라면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할 계획이다.

 

<노외(路外) 주차장 관리를 위한 가설건축물 허용>

현재 개발제한구역에 노외주차장 설치는 가능하지만, 관리용 건축물은 허용되지 않고 있어 주차장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으나,노외주차장 설치 시 주차장 관리를 위한 가설건축물(연면적 20m2 이하) 설치를 허용하여 이러한 불편을 해소할 계획이다.

 

<도시·군계획시설 설치 절차 간소화>

시장·군수가 일정규모(건축연면적 3,000m2, 토지형질변경 10,000m2) 미만 도시·군 계획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국토부와 협의하면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에 반영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일정규모 이상만 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는 일반시설과 형평성을 고려한 것이다.

 

이번 제도 개선으로 시설 설치까지 최대 1년 이상 기간이 단축된다.

 

이번 규제완화는 국토교통부에서 추진 중인 “규제총점관리제*” 및 1차관이 주재하는 “규제개혁지원단 회의”를 통해서 적극적인 과제 발굴에 따른 것이다.


* 모든 규제를 중요도·파급효과 등을 고려하여 등급(16등급)·점수를 차등 부여하고 규제개선 시 등급이동·점수 차감 등 실적 인정

 

이번 규제개혁안으로 해당 개발제한구역 규제에 부여된 규제점수 675점에서 19.6% 줄어든 542.7점이 될 전망이며, 이외에도 하반기에 규제개혁 과제를 추가 발굴하여 개발제한구역 규제 총점(약 3천여점)을 지속 감축해 나갈 계획이다.

 

“규제총점관리제”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고 점수를 계산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용도변경 대상을 확대하는 규제 완화 과제를 예로 들어 설명해보면, 일단 이 규제 완화 과제는 “용도변경”이라는 규제와 관련된 입지규제*에 해당한다.


* (규제의 유형) 입지규제, 진입규제, 거래규제, 가격규제, 품질규제, 사회규제 행정적규제

 

“용도변경” 규제는 행위강도가 인허가인 B등급이고, 규제가 적용되는 범위가 대부분 금지인 1등급으로 “B1"등급이다.

 

“B1” 등급의 점수는 75점이지만 개발제한구역 용도변경은 다른 규제에 비해 국민 체감도가 큰 규제로 체감도 3을 곱한 “225점”이 이 규제의 최종 점수이다.

 

개선 내용은 행위강도는 변함이 없지만, 규제가 적용되는 범위가 특정 시설을 제외하고 대부분 허용하는 네거티브 수준으로 완화되기 때문에 적용범위만 변경되어 B1 → B3 등급으로 낮춰진다.

 

같은 방법으로 절차를 간소화하는 규제 내용을 살펴보면,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수립”이라는 입지규제에 해당하고, 이 규제는 심의가 필요한 인허가로 A등급, 적용범위는 75%이하인 2등급으로 “A2"등급이며, 체감도 2를 곱하여 최종적으로 ”150”점 규제이다.

 

이번 규제완화로 관리계획 수립 대상 중 5.6%의 시설이 수립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행위강도는 변함없고 규제가 적용되는 범위가 5.6% 완화된다. 따라서 등급 변경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규제점수에 차감률 -5.6%를 적용하여 150점 * 0.944 = 141.6점으로 낮춰진다.

 

이와 같이 규제총점관리제를 통해 규제폐지 이외에 다양한 유형의 품질개선도 관리함으로써 그린벨트 규제에 대한 국민체감도 높은 규제개혁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극적으로 규제 완화 과제를 발굴하여 주민 생활 불편을 해소하고 소득 증대에 도움이 되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글문서 src 140626(조간) 개발제한구역내 기존건축물 용도변경 대상 대폭 확대(녹색도시과).hwp

파일 align 140626(조간) 개발제한구역내 기존건축물 용도변경 대상 대폭 확대(녹색도시과).pdf

국토부

 

 

그리드형

댓글()

[공직윤리제도]2014년도 퇴직공직자 취업제한 대상 사기업 명단

 

※ 취업제한대상 영리사기업체 고시안(적용기간 : ‘14.6.25.~12.31.)

 

2014년도 퇴직공직자 취업제한대상 사기업체등(13,466개)

 

 

 

종전 3,960개 대비 3배 이상 확대,

세월호 참사 계기 퇴직공직자 취업제한 강화

건설업 취업제한 대상 기업 266개사

 

안전행정부(장관 강병규)는 퇴직공직자의 취업이 제한되는 영리사기업체의 자본금과 연간 외형거래액 기준(50억원&150억원 이상 → 10억원&100억원 이상)을 하향 조정한 공직자윤리법 시행령을 공포하고 취업제한대상 영리사기업체 13,466개를 6월 25일 관보에 고시했다.

 

취업제한대상 영리사기업체 명단은 6월 25일 오전 9시부터 대한민국전자관보(gwanbo.korea.go.kr), 안전행정부(www.mospa.go.kr) 및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www.gpec.go.kr)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는 지난 5월 19일 대통령께서 세월호 참사 대국민 담화를 통해 퇴직공직자의 취업제한 대상기관 수를 지금보다 3배 이상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힌데 따른 후속조치이다.

 

이번에 고시된 취업제한대상 영리사기업체 13,466개에는 일반 영리사기업체 13,399개를 비롯하여 법무법인 21개, 회계법인 25개, 세무법인 21개가 포함되었다.

 

앞으로 취업제한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업무관련성이 있는 영리사기업체에 대한 퇴직공직자의 취업이 대폭 제한될 것으로 보여 우리 사회 전반에 지속되어온 민관유착의 고질적인 병폐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취업제한기간 확대(퇴직 후 2년→3년), 고위공무원에 대한 업무관련성 적용범위 확대(소속부서→소속기관) 및 취업이력공시제도(퇴직 후 10년간) 도입 등의 공직자윤리법 개정안은 6월 17일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6월 23일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file src 2014년_취업제한대상_사기업체등_(13466개).xlsx    


담당 : 윤리담당관 사무관 임영환 / 02-2100-4360

kcontents

 

 

취업제한 여부확인
적용대상 : 재산등록의무자였던 퇴직공직자
기 간 : 퇴직 후 2년
내 용 : 퇴직 전 5년간 소속부서 업무와 밀접한 업무관련성이 있는 사기업체 등
          * 취업제한
          * 영리사기업체, 협회, 법무법인·회계법인·세무법인(매년 행안부에서 별도 고시)
심 사 : 취업 前 공직윤리위원회의 업무관련성 유무 확인. 취업승인

 

취업제한의 목적
퇴직예정 공직자가 퇴직 후 취업을 목적으로 특정업체에 특혜를 주는 등의 부정한 유착고리를 사전에 차단하고, 사기업체 등에 취업한 후 퇴직 전에 근무하였던 기관의 부당한 영향력 행사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써 공무집행의 공정성과 공직윤리를 확정하는 데 있음.

 

공직윤리정보시스템

안전행정부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법적부부는 왜 줄어들고 있나 Which ethnic group is still most in love in marriage?

 

 

New research based on the 2011 Census shows that there were 15.8million households living in England and Wales, with 9 in 10 of them comprising of just one family.

 

2011년 센서스 발표에 따르면 영국의 잉글랜드와 웨일즈에서 살고 있는 15백 8십만 가구의 90%가 법적신고를 안

동거 부부로 나타났다.

 

ONS는 "해외에서 이주한 경우 결혼에 대한 다양한 문화적 형태을 보이고 있다"고 말한다.

(단 영국에서 태어난 경우는 해당 안된다.)

 

커플이 함께 사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세가지가 있다.

 

법적부부
동거부부
편부/편모가족

 

2001년에 70%였던 법적 부부가 2011년에는 65%로 감소됐다.

또 인도의 경우에는 85%가 법적 부부인데 이는 소말리아의 35%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영국의 15백 8십만 가구 중 법적부부의 비율이 2011년에 65%로 줄어들었지만 17%의 동거부부세대, 

편모 또는 편부 구성 세대가 18%로 2001년 이후 2011년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Couple family]

Couple family refers to a family that contains a married or common-law couple (either with or without children).

A couple may be of opposite or same sex

아이들의 유무에 관계없이  부부가 법적 결혼 또는 사실혼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 가족세대

커플의 의미는 동성부부도 포함한다.

 


Which ethnic group is still most in love in marriage?

(Clue - they are not British-born)

 

Cultural attitudes to marriage vary if families are from overseas, ONS says
65% of families included married couple in 2011, down from 70% in 2001
85% of Indian families were married, compared to 35% of Somalis


By Matt Chorley, Mailonline Political Editor

Married couples are in decline, fuelled by changes in social attitudes and the arrival of families from abroad.
The proportion of families with a couple who have tied the knot fell from 70 per cent in 2001 to 65 per cent in 2011, the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said.


However, there are wide variations between the nationalities of families, with 85 per cent of Indian couples getting married compared to just 35 per cent of those from Somalia.

 

 

 

While almost two thirds (65 per cent) were married, the proportion with cohabiting couples and lone parent families rose in the decade from 2011.


Some 85 per cent of families were headed by someone born in the UK.

But a breakdown based on the nationality of the ‘family reference person’ shows how rates of marriage, cohabiting and living alone vary depending on where in the world comes from.


The ONS said that just over a third of foreign families were born in the Middle East and Asia (36 per cent), with the two largest countries of birth (India and Pakistan) accounting for more than half (52 per cent) from this region.

그리드형

댓글()

세계 10대 건설회사(국영기업제외) Top 10 construction companies

 

Vinci's Northwest Corridor project in Atlanta

 

10. Laing O’Rourke

 

영국에 기반을 둔 글로벌 건설회사

역사는 짧지만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회사다.

현재 U.A.E 아부다비 알라하 해안 개발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The British-based company is young compared to some of its fellow top-tenners, but has quickly expanded, working on several high-profile projects in the last decade, including Ascot Racecourse and Heathrow Airport Terminal 5. Oversees it is currently involved in the huge Al Raha beach development in Abu Dhabi.

https://www.laingorourke.com/

 

9. Royal BAM Group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1886년에 세워진 네덜란드 건설회사

1996년에 아작스 축구경기장을 시공한 바 있다.

27,00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Founded in 1886 in Holland, the company built Ajax football club’s Amsterdam Arena in its native Netherlands in 1996. Bataafsche Aanneming Maatschappij, from which the company abbreviates its name, translates as Batavian Construction Company for Construction and Concrete Projects.

Around 27,000 people work for the group.

http://www.bam.eu/

 

8. Kiewit

 

미국 네브라스카에 기반을 둔 글로벌 건설회사

전 직원들이 주주로서 회사을 운영하고 있다.

2013년 ENR 건설회사 세계순위 3위

Nebraska-based Kiewit is unique within this list in that it is owned by its employees, meaning almost all its projects are staffed by shareholders.

The company was named number three in Engineering News-Record’s Top 400 Contractors of 2013.

http://www.kiewit.com/

 

7. Bouygues Construction

 

80개국 나라에 13만명의 직원을 보유한 프랑스 글로벌건설회사

계열사인 콜라그룹은 도로와 철도분야에 특화되어 있다.

The French company employs more than 130,000 people in 80 different countries. In the mid 1990s it expanded into telecoms, which became another major revenue stream. Its subsidiary, Colas Group, specialises in road construction and rail track construction.

http://www.bouygues-construction.com/index.php?coe_i_id=1

 

6. Balfour Beatty

1909년에 설립된 영국의 다국적 건설회사

런던에 본사가 있다.

현재 영국 심장부의 횡단철도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세계 80여개국에서 4만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The multinational was founded in 1909 by George Balfour and Andrew Beatty. Headquartered in London, the company is currently an integral part of the Crossrail project in the UK capital. It operates in more than 80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employs some 40,000 people.

http://www.balfourbeatty.com/

 

5. Skanska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스웨덴의 다국적건설회사

현재 미국 메도우랜드스포츠콤프렉스를 건설하고 있으며

약 5만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Based in Sweden, the multinational operates in the residential, commercial, residential and infrastructure sectors. In the US, the company is known for constructing the Meadowland Sports Complex, home to the NFL’s New York Jets and Giants. Skanska employs more than 50,000 people.

http://www.skanska.com/

 

4. Hochtief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독일 건설회사

미국 터너사의 계열사이다.

올해 창립 140주년을 맞이했으며 약8만명의 직원을 거느리고 있다.

2011년 이후 스페인 건설회사인 Grupo ACS 50.16%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Focusing on infrastructure projects, the German company operates in the US through its Turner subsidiary.

Hochtief employs around 80,000 people and celebrates its 140th anniversary this year. Spanish contractor Grupo ACS has owned a majority stake in the company of 50.16 percent since 2011.

www.hochtief.com

 

3. Bechtel

 

명실공히 세계 최대의 미국건설회사

1936년 후버댐과.

70년대 알래스카 횡단파이프라인프로젝트

2007년에 끝난 미 보스턴 '빅딕'프로젝트를 완료한 바 있다.

전세계에 53000명이 일하고 있다.

The largest US contractor has worked on such high-profile projects as the Hoover Dam completed back in 1936, the Trans-Alaska Pipeline system in the ‘70s and more recently the ‘Big Dig’ Central Artery project finished in 2007. The company employs more than 53,000 people around the world.

http://www.bechtel.com

 

2. Grupo ACS

 

1997년에 설립된 스페인 글로벌 건설회사

50%가 넘는 글로건설회사 Hochtief사의 지분참여로 높은 지명도를 나타내고 있다.

현재 포르크갈의 알쿠에바댐과 자국내에 초고층 빌딩을 시공하고 있다.

The Spanish contractor was formed in 1997 through the merger of two other construction companies. It has grown through several high-profile acquisitions including that of Hochtief. The company has worked on the Alqueva Dam in Portugal and Torre de Cristal and Torre Espacio skyscrapers in its home country.

http://www.grupoacs.com/

 

1. Vinci

115년 역사를 자랑하는 프랑스의 세계최대의 글로벌 건설회사.

71년에 완공한 남아프리카의 가리프댐을 비롯해서 1998년 월드컵 경기장 등을 시공한 바 있다.

전세계적으로 183천명이 직원이 종사하고 있으며 현재 미 아틀란타, 조지아 고속도로,

호주의 LNG프로젝트 등 약 440억유로(700억불) 규모의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The 115 year-old French giant reports the largest revenues of any privately-owned construction company in the world, a position it has achieved through shrewd acquisitions and effective delivery of high-profile, large-scale infrastructure projects such as the Gariep Dam in South Africa, completed in 1971 and the Stade de France.

The arena was built for the 1998 football World Cup, and now serves as France’s national Stadium.

Operating worldwide, the Group employs more than 183,000 people according to the last available figures (from 2011).

The Group is currently working on the €440 million express-lane highway system in Atlanta, Georgia and the Wheatstone Liquefied Natural Gas Project in Australia.

http://www.vinci.com/

 

8 Apr 2014 Joel Levy
Source constructiondigital

 

Edited and translated by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건설리스크 전문가가 모인다" 'ENR 건설리스크 연례회의' Risk & Compliance Summit,Georgia Tech Global Learning Ce

 

 

 

 

'ENR  건설리스크 연례회의'

주제 건설리스크 최소화 방안

일시 2014. 9월 30일

장소 조지아공대 글로벌러닝센터

주관 맥크로우힐사

 

Risk & Compliance Summit
New Liability: How to Limit the Downside

 

September 30, 2014
Georgia Tech Global Learning Center
Atlanta, Georgia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presents an endless array of risks to be managed, averted or insured. 

Every year the risks shift slightly so that some stand out as more than others. 

 

ENR’s second annual Risk & Compliance Summit will focus on the most costly and unpredictable risks, the ones that are critical and must be managed.

 

Our top risk experts will present strategies and models for identifying and managing your company’s critical risks.

 

[VIDEO]

Risk & Compliance Summit

[Link]

http://construction.com/events/2014/risk/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운동 전 커피를 마셔야 하는 5가지 이유 5 reasons to drink coffee before your workout

 

 

 

 

1.혈액순환을 개선해준다. 운동시 경기력을 향상시켜준다.

2.통증을 완화해준다. 운동 전 2~3잔 커피는 근육통증을감소시키고 좀더 강도 높은 운동을 할 수 있게 해준다.

3.근육을 보호해준다. 나이로 인한 근육손상을 막아준다.

4.운동 후 근육에 에너지를 충전해준다. 글리코겐 생성이 빨라진다.

5.기억력이 좋아진다. 운동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 카페인 성분이 포함된 커피를 의미

kcontents

 

5 reasons to drink coffee before your workout

 

By Cynthia Sass, MPH, RD Published June 24, 2014

Half of Americans start their day with coffee, and according to recent study, working out after downing a cup of java may offer a weight loss advantage. The Spanish study,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Nutrition and Exercise Metabolism, found that trained athletes who took in caffeine pre-exercise burned about 15 percent more calories for three hours post-exercise, compared to those who ingested a placebo. The dose that triggered the effect was 4.5 mg of caffeine per kilogram of body weight. For 150-pound woman (68 kg), that’s roughly 300 mg of caffeine, the amount in about 12 ounces of brewed coffee, a quantity you may already be sipping each morning.

 

If you’ve always thought of coffee as a vice—one you’re simply not willing to give up—you’ll be happy to know that it’s actually a secret superfood. And if you exercise, caffeine can offer even more functional benefits for your workouts. Here are five more reasons to enjoy it as part of an active lifestyle, along with five “rules” for getting your fix healthfully.

 

Improved circulation
Recent Japanese research studied the effects of coffee on circulation in people who were not regular coffee drinkers. Each participant drank a 5-ounce cup of either regular or decaffeinated coffee. Afterward, scientists gauged finger blood flow, a measure of how well the body’s smaller blood vessels work. Those who downed “regular” (caffeinated) coffee experienced a 30 percent increase in blood flow over a 75-minute period, compared to those who drank the “unleaded” (decaf) version. Better circulation, better workout—your muscles need oxygen!

 

Less pain
Scientists at the University of Illinois found that consuming the caffeine equivalent of two to three cups of coffee one hour before a 30-minute bout of high-intensity exercise reduced perceived muscle pain. The conclusion: caffeine may help you push just a little bit harder during strength-training workouts, resulting in better improvements in muscle strength and/or endurance.

 

Better memory
A study published this year from Johns Hopkins University found that caffeine enhances memory up to 24 hours after it’s consumed. Researchers gave people who did not regularly consume caffeine either a placebo, or 200 mg of caffeine five minutes after studying a series of images. The next day, both groups were asked to remember the images, and the caffeinated group scored significantly better. This brain boost may be a real boon during workouts, especially when they entail needing to recall specific exercises or routines.

 

Muscle preservation
In an animal study, sports scientists at Coventry University found that caffeine helped offset the loss of muscle strength that occurs with aging. The protective effects were seen in both the diaphragm, the primary muscle used for breathing, as well as skeletal muscle.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moderation, caffeine may help preserve overall fitness and reduce the risk of age-related injuries.

 

More muscle fuel
A recent stud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found that a little caffeine post-exercise may also be beneficial, particularly for endurance athletes who perform day after day. The research found that compared to consuming carbohydrates alone, a caffeine/carb combo resulted in a 66 percent increase in muscle glycogen four hours after intense, glycogen-depleting exercise. Glycogen, the form of carbohydrate that gets stockpiled in muscle, serves as a vital energy “piggy bank” during exercise, to power strength moves, and fuel endurance. Packing a greater reserve means that the very next time you work out, you’ve upped your ability to exercise harder and/or longer.

 

But this news doesn’t mean you should down as much coffee as possible—your good intentions may backfire. In my work with athletes, I recommend five basic rules to best reap caffeine’s rewards:

 

• Don’t overdo it. The maximum amount of caffeine recommended for enhancing performance with minimal side effects is up to 6 mg per kg body weight, which is about 400 mg per day (or about 16 ounces of coffee) for a 150-pound woman.

 

• Incorporate it in healthy ways: doctor up coffee with almond milk and cinnamon instead of cream and sugar, or whip coffee or tea into a fruit smoothie, along with other nutrient-rich ingredients like almond butter and oats or quinoa.

 

• Be consistent with your intake. Research shows that when your caffeine intake is steady, your body adjusts, which counters dehydration, even though caffeine is a natural diuretic. In other words, don’t reach for two cups one day and four the next.

 

• Nix caffeine at least six hours before bed to prevent sleep interference, and listen to your body. If you’re relying on caffeine as an energy booster because you’re tired, get to the root of what’s causing fatigue. Perhaps it’s too little sleep, overexercising, or an inadequate diet. If something’s off kilter, you won’t see progress, and you’ll likely get weaker rather than stronger. Striving for balance is always key!

 

Cynthia Sass is a nutritionist and registered dietitian with master’s degrees in both nutrition science and public health. Frequently seen on national TV, she’s Health’s contributing nutrition editor, and privately counsels clients in New York, Los Angeles, and long distance. Cynthia is currently the sports nutrition consultant to the New York Rangers NHL team and the Tampa Bay Rays MLB team, and is board certified as a specialist in sports dietetics.

 

foxnews

그리드형

댓글()

죽어야 사는 남자 [김창식]

www.freecolumn.co.kr

죽어야 사는 남자

2014.06.25

톰 크루즈 주연 ‘엣지 오브 투모로우(Edge of Tomorrow더그 라이만 감독)’는 리셋(Reset)과 ‘타임루프(Time Roof같은 시간대를 반복해 경험하는 현상)'를 다룬 영화입니다. 주인공이 미래에 침투하여 지속적인 변화를 꾀한다는 점에서 상대방의 무의식 속에 왜곡된 정보를 이식하는 내용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주연 영화 ‘인셉션(Incetption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을 떠올리게도  합니다. ‘인셉션’이 주제를 숨겨 죄의식을 다룬 철학적 성찰의 영화라면, ‘엣지 오브 투모로우’는 액션에 방점을 찍은 SF 전쟁영화라고나 할까요.

미군 빌 케이지 소령(톰 크루즈)은 전투를 꺼리는 소심한 공보장교입니다. 지구를 침략한 외계 종족과의 전투 현장에서 홍보물을 촬영하라는 연합사령관의 명령에 불복하다 탈영병 신분으로 최전선에 배치됩니다. ‘쭈꾸미’를 닮은 외계인과의 첫 교전에서 부대원은 전멸하고 어리바리한 신참인 케이지 이병 역시 속절없이 전사합니다. 외계생명체는 지구연합군의 작전을 내다보고 미리 대비하고 있었던 것이지요.

관객의 예상을 뒤엎는 것은 이 지점 부터입니다. 케이지가 깨어나 보니 현재(처음 부대에 배치된 날)로 되돌아와 있단 말이지요. 미래의 전쟁터에서 한바탕 활극을 펼치다 죽으면 다시 현재로 되돌아오곤 해 혼란을 겪습니다. 살고, 죽고, 다시 살고…. 외계인과의 접촉으로 타임루프에 갇힌 것입니다. 상황과 사건을 리셋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 케이지는 다시 태어날 때마다 더욱 강력한 전투 병기로 탈바꿈합니다.

외계생명체 역시 미래를 예측하고 시간을 되감는 능력을 갖고 있는 터라 걸림돌인 맹랑한 지구인을 제거하려 합니다. ‘죽어야 사는 남자’ 케이지는 시행착오와 반복되는 학습을 통해 위험 회피 수단을 강구하고 대처능력을 보완하여 미래의 국면을 유리하게 각색합니다. 마침내 케이지는 비슷한 능력을 지닌 '같은 과(科)' 여전사 리타(에밀리 블런트) 등 동료와 팀을 이루어 외계생명체를 지배하는 핵심지능이자 중추신경계인 ‘오메가’를 파괴하여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군요.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미래로 되돌아가고(Back to the Future)’, 죽으면 깨어나 ‘현재로 복귀한다(Back to the Present)’는 설정이 새롭진 않지만 그럴 듯합니다. 영화의 엔딩 시퀀스는 오프닝과 겹칩니다. 케이지 소령이 상관의 호출을 받고 사령부에 도착하여 헬리콥터에서 내리는 장면이지요. 그렇다면 의문이 생길 수밖에요. 아니, 전투 전부터 지금까지의 상황 전개와 사건 진행 역시 리셋의 결과물이란 말인가? 그렇다면 리셋의 원점은 언제로 소급되는지, 그리고 도대체 언제까지 진행될 것인지?

‘엣지 오브 투모로우’는 만화적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블록버스터지만 마냥 웃고 즐기는 영화는 아닌 것 같아요. 영화관을 나서는 마음이 무거웠답니다. ‘내일을 살다 오늘로 돌아오는’ 포스트휴먼과 ‘내일에 대한 확신 없이 오늘을 사는’ 현생인류의 삶이 대비되어서였지요. 현재는 불안정하고 미래는 불투명합니다. 주위를 둘러보면 꿈도 희망도 없이 오늘을 힘겨워하는 이웃이 있을 거예요. 내일 죽기 위해서라도 오늘을 어떻게든 견뎌내야 하는 사람들이.

필자소개

김창식

경복고, 외국어대 독어과 졸업. KAL 프랑크푸르트 지점장 역임.
한국수필(2008, 수필) 신인상 . 시와문화(2011, 문화평론) 신인상.

박대문의 야생초사랑

애기도라지 (초롱꽃과)


이번 제주도 꽃 탐방 길에서 만난  꼬마 요정 같은 깜찍스러운 꽃, 애기도라지꽃입니다. 가늘고 여린 가지 끝에 피워 올린  청아하고 밝은 꽃 한 송이, 작으면서도 작아 보이지 않고 오밀조밀 모양 갖춘, 되레 탐스럽고 단정한 품새와 매혹적인 연보랏빛의 색깔에 보는 이는 넋을 잃습니다.

필자소개

박대문

환경부에서 공직생활을 하는 동안 과장, 국장, 청와대 환경비서관을 역임했다.
우리꽃 자생지 탐사와 사진 촬영을 취미로 삼고 있으며,
시집 『꽃벌판 저 너머로』, 『꽃 사진 한 장』, 『꽃 따라 구름 따라』가 있다.

Copyright ⓒ 2006 자유칼럼그룹.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freecolumn.co.kr

 

그리드형

댓글()

교량의 안전등급과 한강교량 점검실태

 

[별표 32] <신설 2008.9.18>

안전등급 기준(11조의5 관련)

안전등급

시설물의 상태

A

(우수)

문제점이 없는 최상의 상태

B

(양호)

보조부재에 경미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기능 발휘에는 지장이 없으며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일부의 보수가 필요한 상태

C

(보통)

주요부재에 경미한 결함 또는 보조부재에 광범위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전체적인 시설물의 안전에는 지장이 없으며, 주요부재에 내구성, 기능성 저하 방지를 위한 보수가 필요하거나 보조부재에 간단한 보강이 필요한 상태

D

(미흡)

주요부재에 결함이 발생하여 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하며 사용제한 여부를 결정하여야 하는 상태

E

(불량)

주요부재에 발생한 심각한 결함으로 인하여 시설물의 안전에 위험이 있어 즉각 사용을 금지하고 보강 또는 개축을 하여야 하는 상태

 

[정보링크]

한강교량의 안전등급은?

http://www.opengirok.or.kr/3909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삼성물산, 80억불 호주 멜버른 '이스트웨스트 링크 도로' 수주 목전 Victoria shortlists two consortia for East West Link

 

'이스트웨스트 링크' 1단계와 2단계 사업 노선도

 

 

호주 멜버른 '이스트 웨스트 링크 도로사업'이 드디어 2개그룹의 숏리스트(shortlists)로 압축됐다.

 

빅토리아 주정부는 삼성물산이 참여한 이너스그룹과 이스트웨스트커넥트가 2군데가 최종후보로 선정됐다고 23일 발표했다.

 

Shortlists

•Inner Link Group

•East West Connect

 

'이스트웨스트 링크'는 민관협력방식(PPP·Public Private Partnership)으로 시행되며 호주 멜버른 서부교외지역과 동부고속도로를 연결하는 18km 도로 프로젝트로 1단계인 4km 터널구간을 포함해서 약 80억불의 공사규모를 자랑한다.

 

삼성물산이 만일 수주하게 되면 호주 최초로 공공 민자사업에 참여하는 회사가 된다.

이 사업은 8월에 최종낙찰자를 선정하고 올해 말에 착공하게 된다.

 

kcontents

 

Victoria shortlists two consortia for East West Link


Maggie Lu Yueyang  | 23 Jun, 3:51 PM  | 

The Victorian government has shortlisted two consortia to bid for the eastern section of the East West Link project in Melbourne while Momentum Infrastructure, led by the Bank of Tokyo-Mitsubishi UFJ and Leighton Holdings, has been ruled out of the bidding race.

 

The decision is a setback for Leighton's John Holland business and comes after Leighton said earlier this month it is considering divesting some of its businesses as it focuses on strengthening its balance sheet.

 

East West Connect and Inner Link have been shortlisted to build and operate the first stage of the East West Link, said Treasurer Michael O’Brien and Roads Minister Terry Mulder in a statement on Monday.

 

Consortium East West Connect is comprised of Lend Lease, Capella Capital, Acciona Infrastructure, Bouygues Travaux Publics and Bouygues Construction, while rival Inner Link is backed by Ferrovial Agroman and its financing arm, Cintra, Samsung C&T Corp, Italian tunneling expert Ghella, Uberior Infrastructure Investments, Transfield Services and Macquarie Capital.

 

“The Coalition Government is on track to announce the successful tenderer in October, with construction to commence in late 2014,” Mr Mulder said.

 
The link is a proposed 18 kilometre tolled connection between Melbourne's western suburbs and Eastern Freeway, with the first stage comprising a tunnel of over 4 kilometres estimated to cost as much as $8 billion.

 (Reporting by maggie.lu@businessspectator.com.au)

 

[Details on the three shortlisted bidders]

Inner Link Group
The Inner Link Group Consortium comprises Cintra Infraestructuras S.A, Retail Employees Superannuation, Samsung C&T Corporation, Ferrovial Agroman (Australia), Ghella, Transfield Services (Australia), and Macquarie Capital (Australia) Pty Ltd. The group has been involved in significant local and international projects including 407ETR (Canada); EastLink (Melbourne); Incheon Bridge (South Korea) and Legacy Way (Brisbane).

 

East West Connect
The East West Connect Consortium comprises Capella Capital, Lend Lease, Acciona and Bouygues. Members have experience in significant projects both in Australian and overseas, including Legacy Way (Brisbane), Pajares Tunnel (Spain), Peninsula Link (Melbourne) and Port of Miami Tunnel (Miami).

 

[East West Link Project VIDEO]

Federal billion for second stage of Melbourne's East West Link

http://www.smh.com.au/federal-politics/federal-billion-for-second-stage-of-melbournes-east-west-link-20140427-zr0es.html

 

황기철 @conpaer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

막스 데스퍼(Max Desfor)의 플리처 사진 한장으로 다시 보는 6.25 전쟁

 

 

대동강 철교 

Flight of Refugees Across Wrecked Bridge in Korea,Dec.1950

6.25 전쟁의 참상을 실감나게 담아낸 끊어진 평양철교 위의 피난민들


1950년, 압록강까지 북진했던 유엔군은 중공군의 참전으로 남으로 퇴각했고 유엔군의 퇴각과 동시에 수많은 피난 인파가 폭격으로 끊어진 다리로 몰려 들었다. 사진을 찍은 당시 AP통신 막스 데스퍼 기자는 그날의 광경을 이렇게 전했다고 한다.


"내가 비록 전쟁에 강해져 있지만 이 광경은 지금까지 내가 보아 온 것들 중에서 가장 비참한 장면이었다."


Flight of Refugees Across Wrecked Bridge in Korea is a Pulitzer Prize-winning photograph by Associated Press photographer Max Desfor, taken on December 4, 1950, at a destroyed bridge over the Taedong River near Pyongyang, North Korea. Desfor was covering the Korean War at the time.

 

[Max Desfor,1913~]

막스 데스퍼의 6.25 사진들

http://sakuramochi-jp.blogspot.kr/2012/07/photos-of-korean-war-by-kansascom.html

막스 데스퍼의 사진과 신문기사

the-max-desfor-photographs-and-papers

http://news.lib.ncsu.edu/scrc/2014/06/09/the-max-desfor-photographs-and-papers/


Korean War Journalists: Max Desfor

From left: Max Desfor

 

Max Desfor는 2010년 6월(6.25. 60주년)에 다시 평양을 방문, 대동강을 촬영했다.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