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요즘 키워드는 ‘컨소시엄’

더보기

Construction, Science, IT, Energy and all other issues
Search for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top search bar on  blog!

건설,과학,IT, 에너지 외 국내외 실시간 종합 관심 이슈 발행  
[10만이 넘는 풍부한 데이터베이스]
블로그 맨 위 상단 검색창 통해  유용한 정보를 검색해 보세요!

 

건설사 요즘 수주전 키워드는 다시 ‘컨소시엄’

 

   대형 건설사들이 재건축과 재개발 사업을 수주하며 컨소시엄(사업단)을 구성하는 일이 다시 늘고 있다. 자잿값 인상으로 수익성이 악화한 데다 ‘청약 한파’가 발생하는 등 부동산 시장 상황이 좋지 못하자 사업 위험을 분산할 필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그동안 ‘출혈경쟁’을 하던 것과 달리 수의계약 형태로 수주하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건설사들은 최근 잇달아 수주 실적을 발표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올해 도시정비 누적 수주액 6조9544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고, 롯데건설도 작년 연간 수주액(2조2229억원)을 넘어선 2조7406억원의 수주고를 올렸다고 발표했다.

 

건설사 요즘 키워드는 ‘컨소시엄’
비지니스워치 edited by kcontents

 

눈에 띄는 점은 수주 형태다. 최근 대형 건설사들이 수주한 정비사업의 상당수는 다른 건설사와 컨소시엄 형태로 수주한 것들이다. 롯데건설이 6월 수주한 도시정비사업 2개는 모두 컨소시엄 형태로 수주한 사업이었다. 대전 도마·변동 4구역 재개발은 현대엔지니어링과, 이문 4구역 재개발은 현대건설과 각각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주에 성공했다.

 

 

 

작년까지만 해도 대형 건설사들은 수도권 핵심지 정비사업장에서 단독 수주를 위해 출혈경쟁을 벌이는 경우가 많았다. 서울 서대문구 북가좌6구역 시공사 입찰에서 DL이앤씨와 롯데건설이 경쟁한 게 대표적인 예다. 대형 건설사들은 수주를 위해 강남권에서만 적용했던 ‘고급 브랜드’를 비(非) 강남권에도 제안하는 등 적극적인 수주 행태를 보였다.

 

분위기가 바뀐 것은 작년 말부터다. 재개발·재건축 조합들이 수백억원대에서 1000억원대까지의 입찰보증금을 내걸며 입찰 참여 문턱을 높인 데다, 자잿값 인상에 따라 수익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출혈 경쟁을 피하기 시작한 것이다. 서로 경쟁을 자제하며 수의계약 형태로 사업을 수주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지방에서도 대형 건설사들이 컨소시엄을 꾸리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지난 달 대전에서 시공사를 선정한 4개 정비사업장 중 3개가 대형건설사 컨소시엄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도마변동4구역 외 도마변동5구역 재개발(GS건설·현대건설), 도마변동 13구역(대우건설·DL이앤씨) 등이다. 모두 시공능력평가 상위 10위권 내 건설사들이 짝을 이뤄 시공권을 따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지방에서 대규모 사업장이 나오고 있지만, 수도권 핵심지 만큼 사업성 좋거나 상징성이 크지 않다”면서 “요즘 들어서는 자잿값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 건설사 입장에서는 혼자서 모든 걸 감당하기 보다 타사와 손을 잡아 위험부담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대형 건설사들의 이런 행보에 대해 중견 건설사들은 볼멘 소리를 내고 있다. 중견 건설사들은 그동안 대형 건설사들이 수도권 정비사업에 집중하는 사이 일종의 ‘틈새시장’인 지방 정비사업을 수주해왔다. 하지만, 대형 건설사들이 지방에서까지 짝을 이뤄 입찰에 참여하기 시작하면서 경쟁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조합원들이 브랜드 인지도를 중시하는 상황이다 보니 대형 건설사와 맞붙는 순간 조합원 투표에서 패배하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라며 “대형 건설사 컨소시엄이 수주전에 등판하면 인지도와 자금력에서 밀리는 중견 건설사는 입찰에 참여하는 것조차 꺼리게 된다. 소규모 정비사업으로 눈을 돌리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했다.

 

정비사업 조합도 컨소시엄 형태를 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건설사가 개별적으로 입찰하면 사업 수주를 위해 앞다퉈 좋은 조건을 내놓지만, 컨소시엄으로 입찰하면 경쟁 효과가 떨어져 조합원들의 선택의 폭이 좁아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컨소시엄으로 아파트를 지을 경우 시공 주체별로 담당 영역이 달라 시공 품질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실제 작년만 해도 시공사 입찰 공고를 내면서 ‘컨소시엄 불가’ 조항을 넣는 사례도 있었다. 마천4구역 재개발 조합이 작년 8월 시공사 입찰 공고를 내며 ‘공동도급 불가’를 명시한 게 한 예다. 하지만, 수천 가구에 달하는 대단지는 울며 겨자 먹기로 컨소시엄 수주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 의견이다. 조합은 시공사에게 사업비를 빌리고, 대출 과정에서도 보증을 받아야 하는데 대형 건설사라 할지라도 혼자 감당하기 부담스러워한다는 것이다.

 

서울의 한 아파트 재건축 추진위원회 관계자는 “조합원 10명 중 9명은 컨소시엄 수주를 좋아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시공사가 많아질 수록 아파트 이름도 복잡해지고 동 별로 시공 수준이 달라질 것이란 걱정이 있다”고 했다.

김송이 기자 조선일보

 

 

 

어쩌나!...재개발·재건축 사업장 공동 시공 금지!

 

건설사 요즘 키워드는 ‘컨소시엄’


https://conpaper.tistory.com/99413

 

조합은 왜 건설사 컨소시엄 막으려 하나

https://conpaper.tistory.com/80529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