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공행진 원달러 환율 역대 최고치는? ㅣ 금융위기도 아닌데...평가잣대 바꿔야 하나
올해 달러 매수 추천한 쪽집게 사람들은 누구?
찾아서 팔로우 하세요!
(편집자주)
금융위기도 아닌데 환율은 1,300원 위협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한번도 가본 적 없는 1,300원대에 근접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등, 1,300원을 위협하면서 환율 레벨의 평가 기준선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전통적으로 환율 1,300원은 금융위기나 경제위기 등 위기의 한복판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이런 평가 잣대가 성립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미중 변수에 서학개미 여파로 원화가치 하락…절하율은 주요 통화보다 낮아
펀더멘털·대외평가는 '이상무'…"기준선 100원 남짓 올라"
고공행진 이어지는 환율
28일 1,270원 넘으며 1,300원대 위기감 증폭
2일 외환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28일 종가 기준으로 1,272.5원까지 올랐다.
29일 1,250원대 중반까지 내려서기는 했지만 28일 종가는 2020년 3월 19일(1,285.7원·종가 기준)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의미한다.
한때 금융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단기적으로 1,300원을 돌파하는 것 아니냔 위기감이 팽배했다.
하지만 역사를 돌이켜보면 원/달러 환율 1,300원은 그리 간단한 수치가 아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단 한 번도 1,300원대에 들어선 적이 없다.
금융위기의 한복판이었던 2009년 3월 6일 장중 한때 원/달러 환율은 1,597원까지 올랐지만 이후 점차 하향 안정세를 찾았다.
평시에는 1,050원과 1,200원 사이에 머물렀다. 한국 경제가 견고하면 1,050원 선을, 다소 어려운 국면에선 1,200원 안팎에서 움직였다.
현재 환율, 코로나 사태 초기 패닉상황과 유사
원/달러 환율이 1,250원대를 넘어 1,300원대에 육박한 것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 코로나19 사태 초기밖에 없다. 종가 기준으로 보면 2020년 3월 19일(1,285.7원), 3월 23일(1,266.5원) 이틀뿐이다.
2020년 3월 금융시장은 코로나19라는 전무후무한 전염병의 습격을 받아 패닉 그 자체였다.
당시 원/달러 환율이 고점을 기록했던 3월 19일 코스피는 1,457.64로 코로나19 위기 저점이었다. 나스닥 지수도 7,150으로 당시 저점 즈음이었다.
현시점에서 그 당시 수준만큼 원화 가치가 절하돼야 하느냐는 의문이 남는 것이다.
물론 지금도 이유가 없는 것은 아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에 대한 우려와 함께 중국의 코로나 봉쇄조치에 따른 경기둔화 가능성이 맞물리며 원화 가치는 하락하고 있다.
최근에는 러시아의 디폴트 선언 가능성까지 흘러나오면서 변동성을 키우는 양상이다.
원·달러 환율, 2년1개월 만에 1,270원대 돌파 마감
원화, 주요 통화대비 덜 절하…국가신용등급도 유지
이런 상황을 고려한다 해도 원/달러 환율이 1,300원에 근접하는 현 국면을 한국이 절대적인 위기를 맞은 상황으로 해석하는지에 대해선 의문을 표시하는 시각이 상당하다.
최근 원/달러 환율 고점인 4월 28일 기준으로 보면 주요 6개국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작년 말 대비 8.1% 강세였다.
같은 기간 원화 가치는 6.6% 절하됐다. 달러화 강세만큼 절하되지 않았다.
달러당 엔화 가치는 같은 기간 11.6% 절하됐다. 달러당 엔화 환율은 130엔선을 넘어 2002년 4월 이후 가장 심각한 엔저를 기록했다.
유로화도 절하율이 7.6%에 달한다. 위안화 절하율은 4.3%다.
주요 통화와 비교해볼 때 원화 가치는 상대적으로 방어를 잘 한편에 속한다는 의미가 된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은 한국의 펀더멘털에 대한 문제라기보다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나 중국의 봉쇄 등 대외변수에 따른 전 세계적인 달러 강세 현상의 연장선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면서 "이런 측면에서 한국에 무슨 문제가 있다는 시각으로 접근하는 견해는 따로 감지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제신용평가기관인 S&P와 무디스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과 등급 전망을 기존 수준으로 유지했다. 발표 시기가 둘 다 4월 말이었다.
서학개미 여파도…"과거보다 환율 100원 남짓 높게 봐야"
이런 관점에서 원/달러 환율 레벨에 대한 평가 잣대를 바꿔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시장에선 차츰 흘러나온다. 1,250원 안팎의 환율을 과연 한국 경제의 위기로 받아들여야 하는 지에 대한 문제다.
이른바 '서학개미'라 불리는 한국의 해외투자 분위기 역시 원/달러 환율의 수준을 바꾸는 원인으로 꼽힌다.
외환당국은 코로나19 사태인 2020년을 기점으로 서학개미들의 달러 매수 규모가 연간 기준으로 10배 안팎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2019년 이전에 개인의 달러 매수 수요가 한해 20억달러 안팎이었다면 최근엔 한 달에 20억달러 안팎이라는 것이다.
올해 들어 나스닥 시장의 하락률이 두드러지면서 이를 저가매수하기 위한 달러 매수 수요도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책연구원 관계자는 "국제적인 달러 강세나 서학개미 등 여파로 최근 들어 한국의 경제 펀더멘털에 상응하는 원/달러 환율 수준이 과거보다 상대적으로 100원 남짓 올라간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을 받는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매일경제
어쩌나!...금리가 도대체 뭔지...환율 폭등에 주가는 날개 없는 추락
2008년 11월 21일 1525원 기록
1997년 외환 위기 때는 2,000원 돌파하기도
https://conpaper.tistory.com/102434
- [데일리건설뉴스 Daily Construction Ne⋯
- 동부건설, 21-육-00부대 시설공사(1348⋯
- 박미례 수성엔지니어링 회장
- 덕질'하면 왜 행복할까
- 도쿄 명물 나카긴 캡슐 타워 해체 모습⋯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