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기간 중 저소득층 물가부담...고소득층의 1.4배" 한국경제연구원
「코로나19 전후(’18~’19년vs.’20~’21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주1) 변화 분석」
코로나 기간(’20~’21년) 중 소득 낮을수록 체감물가 상승률 높아
* 소득분위별 체감물가상승률(%) : 1분위 2.7 > 2분위 2.4 > 3분위 2.2 > 4분위 2.1 > 5분위 1.9
저소득층 지출 비중 높은 식료품 등 ‵밥상물가‵ 급등(7.5%)이 원인
고용 확대 통한 소득 증대, 농산물 수급 안정 등으로 저소득층 물가부담 완화 필요
코로나19 기간 중 물가 상승으로 인한 부담이 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집중되고 있어, 저소득층을 위한 물가 안정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코로나 기간 체감물가상승률, 저소득층(1분위)이 고소득층(5분위)의 1.4배 수준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2018~2019년주2) 대비 2020~2021년주2)의 체감물가 변화를 소득분위별로 살펴본 결과, 저소득층일수록 물가 상승을 더 크게 체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발발 이후 저소득층의 물가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 주2) 체감물가 변화 비교 시점 구분(’18∼’19년 vs. ’20∼’21년)의 근거 : 코로나19가 ’20년 초 처음 발발 이후 현재까지 계속 진행되고 있음을 고려하여 ’20∼’21년의 2개년(평균)을 비교 시점으로 하고, 코로나19 직전인 ’18∼’19년의 2개년(평균)을 기준 시점으로 함
체감물가상승률은 ‣1분위 2.7%, ‣2분위 2.4%, ‣3분위 2.2%, ‣4분위 2.1%, ‣5분위 1.9% 순으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체감물가상승률이 낮았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체감물가상승률이 상위 20%인 5분위 체감물가상승률의 1.4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저소득층의 지출비중 높은 품목(식료품 등)의 물가 상승세 뚜렷
한경연은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물가 상승을 크게 체감하는 이유로, 고소득층에 비해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의 물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했다는 점을 꼽았다.
코로나19 발발 이후(’20년~’21년) 소득 1분위는 주로 ‣식료품·비주류음료(지출비중 22.4%), ‣주거·수도·광열(19.6%), ‣보건(13.3%) 등 생필품과 건강 관련 지출 비중이 높고, 5분위는 ‣교통(지출비중 14.3%), ‣음식·숙박(13.3%), ‣식료품·비주류음료(13.3%) 등 식료품뿐만 아니라 교통, 외식 등의 지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분위의 지출 비중이 5분위보다 더 높은 상위 3개 품목(‣주거·수도·광열(5분위와의 지출비중 격차 +10.9%p), ‣식료품(+9.1%p), ‣보건(+5.3%p))의 물가는 평균 3.7% 상승하였다. 반면 5분위의 지출 비중이 1분위보다 더 높은 상위 3개 품목(‣교육(1분위와의 지출비중 격차, +8.5%p), ‣교통(+7.0%p), ‣음식·숙박(+2.9%p))의 물가는 평균 0.7% 상승하는데 그쳤다. 한경연은 이 같은 결과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재택근무 등으로 소비자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생필품과 건강 관련 수요가 크게 늘어난데 기인한다고 추정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發 물가 상승 충격이 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저소득층에 대한 일자리 기회 제공을 확대해 소득을 늘리는 한편, 농산물 수급 안정과 식료품 유통구조 효율화를 통해 가격 상승폭을 최소화하여 저소득층 물가부담을 경감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경제연구원
- '용산 집무실' 국방부 신청사 층별 활용⋯
- 중앙고속도로 '전면 차단' 보수공사 강⋯
- [착공 소식] 국내 최대 ‘용인 죽전 퍼⋯
- 수염이 건강에 좋은 이유 Are There He⋯
- 러시아, 바이든-블링컨-힐러리 등 13명⋯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