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나!...원자재·인건비 폭등...건설현장 셧다운 직전

 

철근콘크리트업계 “계약단가 올려달라”

원자재·인건비 폭등에 골조업체 “더이상 작업 못해”

 

    건축 원자재와 인건비가 동시 다발적으로 상승하면서 건설현장이 ‘셧다운(작업 중단)’ 위기에 놓였다. 철근·콘크리트 등으로 건물 뼈대를 세우는 골조 공사 업체들이 공사 대금을 증액해주지 않으면 다음 달부터 공사를 중단하겠다고 건설사에 통보하면서 원·하수급자 간 갈등도 심각해지고 있다.

 

25일 전국 철근콘크리트연합회(철콘연합회)에 따르면 철콘연합회는 지난 18일 전국 100대 건설사와 일부 중견 건설사를 대상으로 계약 단가 인상을 요구하고, 계약단가 조정 불응 시 단체행동을 취하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건설사에 하도급대금 20% 증액 요구

“목재·합판·철재 다 올라… 35년 만에 최대 위기”

 

어쩌나!...원자재·인건비 폭등...건설현장 셧다운 직전
1월 26일 인천국제공항 터미널2 서편 건설현장에서 공사 관계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뉴스1

 

철콘연합회는 폭등한 건설자재 가격을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들이 송부한 공문에 따르면 골조 공사에 들어가는 철물과 각재·합판 가격이 지난해 상반기(3~8월 계약분) 대비 각각 50% 상승했다. 기타 잡자재도 40% 올랐다. 인건비도 형틀 재래식(15%), 알폼 시공(30%), 철근 시공(10%) 등의 인상률도 두자릿수다.

 

 

 

실제 건설업계에 따르면 철근의 원료가 되는 국제 고철 스크랩 가격은 13년 만에 처음으로 톤(t)당 60만원을 넘어섰다. 현대제철의 철근 기준 가격도 지난해 1월 t당 70만원 선에서 현재 99만1000원으로 30만원가량 올랐고 다음 달에도 추가 인상 가능성이 제기된다.

 

주원료인 유연탄 값이 급등하며 시멘트 가격 역시 지난해 1월 t당 7만5000원에서 올해 9만3000원으로 24% 상승했다.

 

최근 수년간 연 평균 10% 가까이 오른 인건비도 업계 손실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힌다. 외국인 근로자에 노동력을 의존하던 건설업계 특성상 코로나19로 외국인 입국이 감소하면서 임금 부담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골조 공정에서 외국인 인력이 주로 담당하는 지상층 알루미늄폼 작업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작업 단가가 ㎡당 4200원이었지만 현재는 5800원까지 올랐다.

 

노조의 횡포도 문제다. 철근·콘크리트업체를 비롯한 전문건설업체는 매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등 각 건설노조와 임금협약을 맺는다. 노조원은 협약에 따라 임금을 받고, 비노조원은 통상 이 임금의 90%를 받는다. 이는 연쇄적 인건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대한건설협회가 조사한 올해 상반기 형틀목수의 시중 노임단가는 하루 24만2138원으로 2018년 상반기(18만9303원)와 비교해 27.9% 증가했다. 철근공 노임단가는 같은 기간 18만9585원에서 23만6805원이 됐다. 건설노조가 노조원 고용을 강요하는 등 노조 가입 비율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어쩌나!...원자재·인건비 폭등...건설현장 셧다운 직전
민주노총 인천노조 횡포…건설현장 중지 아시아뉴스통신 edited by kcontents

 

전국 철콘연합회는 건설사에 하도급대금 20% 증액을 요구하고 있다. 자재가격 인상분과 지급자재(레미콘, 철근 등)의 공급지연에 따른 손실분을 고스란히 부담해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철콘연합회는 “재료비 및 노무비가 경미한 수준으로 오르는 건 감당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급격한 인상은 계약체결 당시 예상할 수 없었다”며 “부득이하게 계약금액 조정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양록 광주전남 철콘협의회장은 “자재업에 35년 동안 있었지만 목재, 합판, 철재 등 모든 것이 다 오르는 위기는 처음”이라면서 “자재 인상분을 인정하지 않으면 현장을 멈출 수 밖에 없다. 건설사에 상황을 고려한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대한전문건설협회는 상황 수습을 위해 오는 25일 전국 주요 골조(철근·콘크리트) 하도급 현장에서 확산 중인 원·하수급자 간 하도급대금 증액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긴급 간담회를 개최한다. 전국 100대 건설사와 중견 건설사 등에 참여 요청을 한 상황이다.

최효정 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