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고 선명한 고성능 차선도색 적용 범위 확대...야간·빗길 시인성 높여 [서울시] ㅣ 일본이 교통 선진국인 이유
’21년 고성능 차선도색 도입 후, 올해부터 적용범위 확대
야간 빗길에도 선명하고 밝기가 오래 지속되어 교통안전에 큰 도움
고 시인성 차선도색은 자율 및 반자율 주행자동차의 안전운행에도 기여
서울시는 야간·빗길에도 밝고 선명한 고성능 차선도색을 ’21년 처음 도입한데 이어 올해부터는 적용 범위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21년 고성능 차선도색은 도입 첫해 약400km 시공하였으나, 올해는 1,500km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시공업체 재료 빼 먹기 경종!
(편집자주)
일반 및 고성능 차선도색 비교 사진
서울시는 ’20.12월 고성능 차선도색(상온경화형) 도입 발표 이후 ’21년 노후포장 정비구간 차선부분(실선, 파선)에 우선 적용하였으며, 올해부터는 문자·기호와 50m 이상 긴급(굴착)구간 등에도 확대 적용하도록 하였다.
고성능 차선도색시 문자·기호와 같은 세밀한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는 지난해 10월~11월 시험시공 결과 소형장비를 통한 시공성을 확인했다. 기존 차선에 덧씌우기하는 구간에 대해서도 시험시공(남태령역 등 6개소)하여 추적조사 중이다.
청색인 버스전용차선은 색도 특성상 시인성 낮아 야간·우천시 차선이 잘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어, 버스전용차선내 도로표지병을 병행 설치하여 시인성을 높이는 시범사업(6개지역, 총 30km)을 추진 중으로 저지대 등 시인성 취약지역에 우선 적용한다.
아울러, 서울기술연구원과 함께 기존 노면표시 시방기준을 서울시 여건에 맞게 개정하고, 고성능 차선도색 공종의 단가 신설도 병행하여 노면표시 시인성 개선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시인성 높은 고성능 차선의 확대 및 고도화 정책은 야간·빗길 등의 환경에도 운전 편의성과 교통 안전성을 한층 높이는 한편, 현재 승용차에 보편화된 차로 유지와 차선이탈 방지 및 차선변경 등과 같은 기능은 자동차 센서가 차선을 인식해야 하므로 선명한 차선은 현재의 반자율 주행자동차 및 발전중인 자율 주행자동차 교통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야간, 빗길에서 차선이 잘 안보여 자동차의 자율주행 센서 미인식 및 오작동으로 안전운행에 위험이 된다고 종종 언론에 보도된다.
일반 및 고성능 차선도색 비교 사진
한제현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서울시는 지난해 시인성이 높은 고성능 차선도색 도입에 이어 올해부터 적용 범위를 확대하여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환경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안전총괄실
관리 상태 좋은 도로
포트홀도 없고,
비 오는 날 차선도 잘 보인다
얼마 전 일본 여행 중 인상 깊게 보았던 것이 도로 상태였다. 언론을 비롯한 미디어로만 접하던 일본의 도로 상태는 과연 깨끗할까 하는 의문을 품었었는데, 예상보다 훨씬 깨끗했다.
도로 위엔 포트홀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리고, 비 오는 날 차선도 선명하게 잘 보였다. 제대로 된 도로보다 포트홀 있는 도로를 더 찾기 쉽고, 비 오는 날이면 모습을 감추는 차선을 가진 우리나라와는 상반되는 모습이었다.
우리나라의 차선이 비 오는 날 유독 안 보이는 이유가 있다. 우리나라의 차선 반사성능 기준은 미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이 낮은 수준도 못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비 오는 날 더욱 차선이 안 보이는 것이었다. 사실 비 오는 날이 아닌 야간에도 안 보이는 경우가 많다. 다수의 매체가 이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이미 재도색 기준의 절반도 못 미치는 차선이 수두룩했다. 서울 시내 차선의 90% 이상이 기준에 못 미친다는 의견도 있었다.
특수 페인트가 아닌 저렴한 일반 페인트를 사용해 반사성능 기준 미달은 물론이고 내구성도 낮아 차선이 쉽게 지워지는 일도 발생한다. 2015년, 서울시가 조사한 결과 불량 도료가 사용된 구간은 173km였으며, 2016년 기준 66km 가량이 재도색이 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일부 구간은 반사 성능을 높이기 위해 섞는 유리알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나라는 유리알의 굴절률 기준을 1.5~1.9 수준으로 두고 있다. 이 기준에도 문제가 있다. 예컨대, 굴절률이 1.5일 경우 차선에 반사된 빛이 차량 위로 퍼져 차선이 잘 보이지 않는 반면, 1.9일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선 쪽으로 빛이 반사되어 차선이 잘 보이게 된다.
기관마다, 지역마다 다른 반사성능의 기준도 문제다. 차선 반사성능의 기준을 2009년에는 서울시, 2010년에는 국토부, 2012년에는 경찰청이 정한 바 있다. 또한, 서울시의 경우 백색 차선의 노면표시 반사성능 기준을 240mcd/㎡· Lux, 우천 시에는 70mcd/㎡· Lux를 기준으로 둔 반면 부산시는 백산 차선 노면표시 반사성능 기준이 130mcd/㎡· Lux에 불과하다. 심지어 우천 시의 기준은 정해놓지도 않았다. 해결 방법은 간단하다. 차선이 반사성능 기준을 충족하도록 도색하고, 정부는 이를 꾸준히 관리해주면 된다.
[전문]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5839008&memberNo=40864363
- 기초과학연구원(IBS), 부작용 없는 ‘만⋯
- 끔찍한 한국인의 푸드 상술
- 한미 기준 금리와 증시 동향 ㅣ 약세장⋯
- "죽어가는 뇌도 그들의 삶을 보고 있다"⋯
- 탈원전으로 전기료 4배 폭등한 뉴욕...⋯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