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one shots capture everyone's heart by watching the beautiful sunrise over the ocean 우리가 볼 수 없는 곳을 보게하는 위대한 드론
우리가 볼 수 없는 곳을 보게하는 위대한 드론.
snsmedia
피부 건조하게 만드는 샤워 방법
5 Shower Mistakes That Are Drying Out Your Skin
샤워를 안 하는 게 문제지, 매일 한다면 뭐가 문제인가. 그런가? 샤워를 매일 하더라도 방법이 잘못됐다면 피부 건조증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미국 언론 매체 '허프포스트'에 의하면 피부 건조증을 심화시키는 잘못된 샤워 습관이 있다.
뜨거운 물로 장시간 하는 샤워
김이 모락모락 나는 샤워실 안에 있으면 피로가 풀리는 듯 몸이 노곤해진다. 하루의 스트레스를 김이 자욱하게 낀 욕실에서 마무리한다는 것.
하지만 더운물로 장시간 목욕하면 피부 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우리 몸의 천연 유분기가 필요 이상 씻겨 내려가고, 습진이 심해지는 등 피부 트러블이 발생한다. 습진이 없는 사람도 유분기가 모자라면 피부 가려움증이 심해진다. 따뜻한 물 혹은 미지근한 물로 빨리 샤워를 끝내는 것이 피부 건조증과 가려움증을 막는 방법이다.
Kohler
5 Shower Mistakes That Are Drying Out Your Skin
https://www.huffingtonpost.com/entry/shower-mistakes-to-avoid_us_56c764eae4b041136f16d8eb
edited by kcontents
그렇다면, 아예 차가운 물은 어떨까. 뜨거운 물로 피부가 붉게 변했을 때는 차가운 물이 도움이 된다. 뜨거운 열로 확장된 혈관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차가운 물이 피부를 보호하는데 특별한 장점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굳이 불편하게 찬물로 샤워할 필요는 없다. 좀 더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따뜻한 물로 목욕하면 된다.
거품 많이 내기
샤워 거품이 많이 날 정도로 문지르면 피부가 뽀득뽀득 깨끗해지는 느낌이 들지만 마찬가지로 유분기가 필요 이상 씻겨 내려간다. 비누에 든 계면 활성 물질은 물과도 친하고 기름기와도 친하기 때문에 피부 표면의 유분기를 닦아내지만 이를 완전히 씻어낼 필요는 없다.
피부가 건조하고 가려워 병원을 찾는 환자 중 일부는 의사의 권장에 따라 좀 더 순한 비누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증상이 극적으로 개선되는 케이스들이 있다. 피부에서 분비되는 단백질과 지질을 지나치게 씻어내지 않는 순한 제품은 피부가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피부과 조치가 특별히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굳이 항균성 비누를 사용할 필요도 없다.
덜 씻겨 내려간 비누기
목욕 시간은 짧은 시간 안에 끝내는 게 좋지만 비누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헹굴 때는 꼼꼼하게 신경 써야 한다. 목 뒷부분이나 귀 근처 등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부분이 비누기가 남기 쉽다. 이처럼 피부에 남은 비누기는 피부트러블과 건조증의 원인이 된다.
평소 사용하는 비누 종류도 영향을 미친다. 향이 많이 나거나 특정한 화학 성분이 많이 들어간 비누일수록 피부에 남았을 때 큰 문제를 일으킨다.
물기 완벽히 말리기
목욕을 한 뒤 피부에 남은 물기는 수건으로 살포시 두드려 닦으면 된다. 그 다음 반드시 피부 보습제를 발라야 한다. 여기까지가 모두 샤워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지키도록 한다.
로션은 물기를 닦아낸 즉시 발라야 피부 건조증이 심해지지 않는다. 머리카락이 아닌 피부에 남은 물기는 금방 증발하므로 굳이 완벽하게 물기를 제거할 필요는 없다.
문세영 기자 (pomy80@kormedi.com)코메디닷컴
케이콘텐츠
Origami-style 'flatpack' skyscraper concept that can be folded up and moved to disaster zones could help house hundreds of homeless
The Evolo skyscraper competition set up in 2006 recognises projects that challenge skyscraper conventions
Skyshelter.zip, designed by Damian Granosik, Jakub Kulisa, and Piotr Pańczyk from Poland, took the top prize
The structure of the skyscraper unfolds thanks to a large load-bearing helium balloon placed at its centre
It folds up like an accordion to be transported to disaster zones across the globe and offer support to locals
Other designs include an 'Urban Lung' that sequesters carbon in the air and a tower that uses the power of a waterfall to generate energy
접었다 피는 재난 구조 빌딩
재난지역에 종이처럼 접은 상태로 운반해 풍선으로 펴서 세우는 고층빌딩
2006년 시작한 이볼보 초고층 빌딩 설계공모 대회는 기존 고층빌딩 개념에 도전하는
혁신적인 대회로 인식되고 있다.
접혀질 수 있고 재난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종이접기식의 플랫 팩 고층빌딩 개념은
재난으로 집을 잃은 수백명의 집없는 사람들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폴란드 출신의 다미안 그라노식 등에 의해 설계된 스카이 쉘터.짚(Skyshelter.zip)은 그 중에서
우승을 한 작품으로 이 고층빌딩은 중앙에 설치된 하중을 지지하는 헬륨 풍선때문에 위로
펼쳐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스카이 쉘터.짚은 아코디언처럼 접혀 전 세계의 재난 지역으로 운송되고 집 잃은 주민에게 제공된다.
재난 구조 빌딩 건립 방법
1. 헬리콥터에 의해 접혀진 상태에서 재난지역으로 옮겨진 다음 건물의 바닥에 내려놓는다.
2. 내부의 헬륨 풍선이 위로 상승하면서 접혀진 빌딩이 위로 펴진다
다른 디자인들은 공기 중에 탄소를 격리시키는 '도심 폐 (Urban Lung)'와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폭포의 힘을 사용하는 탑 등을 포함한다.
By Tim Collins For Mailonline
PUBLISHED: 10:12 BST, 20 April 2018
An origami-inspired skyscraper that folds up like an accordion could help provide temporary shelter to hundreds of people left homeless in disaster zones.
Designed by a group of Polish architects, the Skyshelter.zip concept could be packed into a box and carried underneath a helicopter to almost any site.
The structure of the skyscraper unfolds almost instantaneously thanks to a large load-bearing helium balloon placed within, which protects it from external forces.
The design recently won the annual Evolo competition and beat rival efforts from 525 other interesting architectural concepts, including honourable mentions for an Urban Lung that sequesters carbon in the air and a tower that uses the power of a waterfall to generate energy.
Read more:
kcontents
Fighting bosses in Dark Souls be like
9GAG
SNSMedia
VIDEO: PHASE 2 OF OROVILLE DAM CONSTRUCTION TO START MAY 8
Expected low inflow water levels this year will help maximize the construction window
April 20, 2018
A worker from Penhall Company controls the concrete diamond blade during a cut of the secant pile wall to its correct height at the Lake Oroville emergency spillway site
California's Department of Water Resources (DWR) has posted an update for the Lake Oroville Spillways Emergency Recovery Project construction activities.
The 2018 Lake Oroville Operations Plan hopes to begin construction around May 8 at which time the main spillway gates will be closed. The May 8 date is fluid but the DWR hopes to maximize the 2018 construction window and ensure the main spillway is fully reconstructed before next winter. The plan was submitted this week to the 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 (FERC) and the California Division of Safety of Dams (DSOD) for approval.
For more photos
edited by kcontents
Before the gates are closed, prep work to resurface, or mill, the top layer of the roller-compacted concrete (RCC) middle chute is targeted to begin on April 25 to create a uniform surface to prepare for placement of steel-reinforced structural concrete slabs. Crews will remove up to five inches of the surface of the RCC section of the chute.
On that same date, DWR hopes to begin removal of the remaining surface layer of the grouted rip rap on the emergency spillway hillside. This is the rip rap that was placed as part of the February 2017 emergency response.
Crews are currently placing a concrete cap, or grade beam, on the recently completed underground secant pile cutoff wall. The cap will reinforce the structural concrete piles and secure the wall to the RCC splashpad. The secant pile wall is 1,450 feet long and located 750 feet downhill of the emergency spillway with concrete piles at depths of 35 to 65 feet.
Crews continue to construct the RCC splashpad, which will cover the hillside between the emergency spillway and secant pile wall. The splashpad, in conjunction with the secant pile wall, will armor the existing hillsid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ype of uphill erosion that occurred during the February 2017 incident.
Inflows into Lake Oroville are expected to be low this summer due to below-average snowpack and snow water content in the Northern Sierra, so the updated plan targets a lake level of approximately 830 feet before triggering more aggressive outflows.
As of mid-April, the lake was at 808 feet. The DWR expects lake levels to fluctuate through the year as the agency accommodates various uses, including providing water for the 29 State Water Project contractors and senior water rights holders. Other uses include flood protection, environmental releases, recreation and salinity control and flow requirements in the Sacramento-San Joaquin River Delta, officials explain. The operations plan will enable the agency to “maximize our construction window,” says John Leahigh, a State Water Project principal engineer.
mercurynews.com
Construction plans for the Main Spillway and Emergency Spillway
Demolition of the original 730 feet of the upper chute leading to the radial gates and reconstruction with steel-reinforced structural concrete slabs and walls.
Placement of three-foot, steel-reinforced structural concrete slabs over the RCC middle chute, and placement of a drainage system.
Removal of the RCC walls in the middle chute and replacement with structural concrete walls, with a permanent drainage system.
Hydro-blasting and resurfacing of the energy dissipaters at the base of the main spillway.
Later this year, an RCC buttress will be constructed at the base of the emergency spillway structure to provide further reinforcement.
Maintenance updates:
Over the next four to six weeks, DWR will be conducting routine maintenance on three of the six turbines (turbines four, five, and six) at Hyatt Powerplant to ensure the performance of Hyatt Powerplant throughout the construction season when the main spillway will be unavailable.
DWR had planned to begin this maintenance at the beginning of April but delayed the work to provide full outflow capacity from Hyatt Powerplant to safely manage lake levels during recent storms. Turbine one is undergoing an extensive upgrade and has been offline since 2015. Work on turbine one is targeted for completion by the end of this year.
With two turbines active, Hyatt Powerplant has an outflow capacity of 5,000 cubic-feet per second.
Lake Oroville is the chief reservoir for the State Water Project, whose contractors irrigate about 750,000 acres of Central Valley farmland and serve more than 26 million customers.The dam’s near-failure amid heavy storms in February, 2017 prompted the reconstruction project that is expected to take two years and cost $870 million.
https://www.constructionequipment.com/video-phase-2-oroville-dam-construction-start-may-8
kcontents
`SRT 메기효과?`..."눈감은 채 철도 경쟁 거부하는 코레일"
요금 싼 SRT와 경쟁하며 KTX서비스 개선됐는데…
코레일, 양사 통합 검토
SR "개통 1년4개월 됐는데 통합 논의는 너무 일러"
정부가 코레일(KTX 운영)과 SR(수서발 SRT 운영)의 통합을 위한 검토에 착수하자 우려하는 여론이 커지는 모습이다.
SR를 지금처럼 별도 법인으로 두고 경쟁을 유도하면서 국민에게 돌아간 여러 혜택이 다시 사라질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아무리 대통령 공약 사안이라고 하지만 정권이 바뀌고 사장이 교체되자마자 개통한 지 1년4개월밖에 안 되는 SR에 대한 통합을 여론 수렴 없이 너무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19일 철도업계에 따르면 코레일의 지속적인 요구와 정부 의지가 맞물려 코레일과 SR의 통합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SR과 KORAIL/출처 http://ingmo.tistory.com/278
edited by kcontents
관련기사
http://conpaper.tistory.com/65800
edited by kcontents
코레일 측은 SR를 코레일과 다시 통합해야 한다고 꾸준히 주장해왔다. 코레일은 흑자가 대규모로 발생할 수 있는 황금노선을 SR에 빼앗겼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SRT(수서발 고속열차)가 다니면서 KTX의 운행 횟수가 감소하는 등 코레일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손실이 크다는 주장도 나온다. 또 현재 SRT 정비를 모두 코레일에서 해주고, 열차도 모두 코레일에서 임대하는 등 사실상 자회사처럼 운영하고 있는 점도 근거로 내세운다. 앞서 오영식 코레일 사장도 "SR 분리 운영으로 인해 코레일의 적자가 심화하는 등 부작용이 심각하다"며 SR와 코레일의 통합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SR가 별도 법인으로 운영되면서 일반 국민에게 돌아간 이익이 크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SR에 따르면 경쟁체제 도입으로 지난해 국민이 아낀 고속열차 요금은 713억원에 이른다. SRT 요금이 KTX보다 평균 10% 저렴하게 책정됐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SRT 이용객이 1946만명인데 이들이 KTX 대신 값이 싼 SRT를 타면서 아낀 비용은 1012억원에 달한다. KTX에 비해 운행거리가 17.5㎞ 짧다는 점을 감안해도 이용객이 아낀 비용은 713억원이나 된다는 이야기다. 또 SRT 영업 수입의 50%를 `선로 사용료`로 받는 철도시설공단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국가 철도 부채의 이자보다 많은 영업이익을 기록하기도 했다.
경쟁으로 인해 눈에 띄는 서비스 개선도 있었다. 실제로 2016년 12월 SRT 개통 이후 코레일에도 특실 견과류·과자 제공 서비스가 생겼고, 스마트폰 예매 앱 개선조치도 있었다. 또 요금 할인에 인색하던 코레일이 2013년 폐지했던 마일리지 제도를 재도입하거나 객차 내 전원 콘센트를 설치하는 등 후속 조치도 SR가 별도로 운영됨에 따른 효과다. SR 관계자는 "이제 개통한 지 1년4개월밖에 안 지났는데 부작용에 대한 검토를 넘어서 통합을 이야기하는 것은 너무 이르다"고 반발했다.
SR는 수서고속철도 운영사로서 지금도 사실상 공기업이지만 코레일과는 별도 법인으로 운영하고 있다.
지분의 41%를 코레일이 소유하고 나머지 지분도 정책금융기관과 사학연금이 갖고 있다. 정부는 2013년 수서발 고속열차 운행사의 별도 법인화 사업을 추진하고 재작년 SRT의 개통을 관철시켰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철도 공공성 강화` 차원에서 코레일과 SR의 통합을 약속한 뒤 기류가 바뀌었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철도 공공성 강화를 위한 철도 산업구조 평가`라는 제목의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최희석 기자] 매일경제
케이콘텐츠
MIT, 항공사진으로 구글맵 뺨치는 도로 지도 제작
A new way to automatically build road maps from aerial images
MIT 6월 `로드트레이서` 공개
AI 활용 뉴욕시 항공사진 지도 변환하니
도로 교차점 실제와 44% 일치, 정확도 2배↑
AI 신경망 이용, 사람 길 찾듯 값싸게 정밀 로드맵 제작…
자율차 상용화 인프라 제공
위성으로 촬영한 항공사진만으로 정교하게 구글맵 같은 도로 지도를 제작해주는 인공지능(AI)이 나왔다. 보다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정밀한 로드맵 제작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무인차 시장에도 청신호다. 차세대 이동수단인 무인차와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스트럭처가 큰길은 물론 샛길, 외진 골목 구석까지 보여주는 정교한 지도이기 때문이다.
지난주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공학 및 AI 연구소는 오는 6월 열리는 `컴퓨터비전과 패턴인식 콘퍼런스`에서 새로 개발한 지도 제작 AI `로드트레이서`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news.mit.edu
VIDEO: A new way to automatically build road maps from aerial images
http://conpaper.tistory.com/65872
edited by kcontents
기존에도 항공사진만으로 지도를 제작해주는 자동화 시스템이 있지만 항공사진을 지도로 변환했을 때 실제 도로 모습과 차이가 많이 나 사람이 오류를 일일이 수정한 뒤에야 사용이 가능했다. 하지만 연구진에 따르면 로드트레이서는 상공에서 찍은 이미지만으로도 도면 위 도로 정보를 훨씬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연구진은 북미와 유럽 6개국 25개 도시의 항공사진을 로드트레이서에 학습시킨 뒤 다른 15개 도시 지도 제작에 들어갔다. AI가 한 번도 접한 적 없는 도시의 항공사진을 제시한 후 지도를 그리도록 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한 예로 뉴욕시 전경을 하늘에서 촬영한 뒤 `로드트레이서`에 지도로 변환하라고 했더니 지도상에 나타난 도로 교차점의 44%가 실제와 일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시스템을 사용했을 때 19% 일치했던 것에 비해 2배 이상 정교해진 것이다.
기존 자동화 시스템은 오류 발생이 잦았다. 이미지 픽셀 하나하나를 `도로`와 `도로가 아닌 것`으로 분류하도록 학습시켰기 때문이다. 나무가 시야를 가리거나 건물, 그림자 등으로 인해 도로의 시작과 끝이 불분명할 경우 종종 부정확한 결과를 내놨다. 단지 가까이 위치해 있다는 이유만으로 `도로`로 분류된 서로 다른 픽셀들을 단순 연결한다는 문제도 있었고 각각의 픽셀이 잘못 분류되기 시작하면 최종 지도에서는 오류가 걷잡을 수 없을 만큼 커졌다.
반면 로드트레이서는 완전히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한다. 개별 픽셀을 따로따로 분류하는 대신 이미 도로인 게 확실한 점에서 출발해 도로가 어디로 이어지는지 추적한다. 신경망을 이용해 주위를 탐색한 뒤 길이 뻗어 갈 확률이 가장 높은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따라가다 보면 지도가 완성되는데 단계적인 접근법을 사용해 오류 교정도 더 쉽다. 잘못된 지점만 바로잡은 뒤 그 지점부터 다시 알고리즘을 돌리면 되기 때문이다.
페이븐 바스타니 MIT 박사는 "수많은 픽셀이 도로인지 아닌지를 수천 번에 걸쳐 결정하는 대신 특정 지점에서 길을 찾아가는 결정으로 문제를 단순화했다"며 "이는 사람이 공간을 지각하는 과정과 더 흡사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AI를 기반으로 하는 로드트레이서 등장으로 훨씬 빠르고 효율적인 지도 제작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에는 오류를 수정하는 후속 작업에 오히려 시간이 더 많이 걸려 지도를 제작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됐지만 AI가 오류율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사각지대로 남아 있는 전 세계의 3600만㎞ 넘는 도로들을 지도 위에 나타내기가 훨씬 수월해질 것이란 분석이다.
모하메드 알리자데 MIT 교수는 "도로 건설이 활발하다든지, 유동 인구가 너무 적다든지 지도상에 변동이 생겨 업데이트가 필요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태국 시골 같은 경우 지도상에 도로가 많이 누락돼 있는데 이를 정확하게 만드는 작업을 도와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되면 구글 같은 정보기술(IT) 공룡뿐만 아니라 오류를 수정할 만한 충분한 비용이나 인적 자원이 없는 소규모 기업도 지도 제작에 나설 수 있게 된다.
효율적인 지도 제작이 중요한 것은 정밀 지도가 무인차와 자율주행차 상용화의 핵심 인프라이기 때문이다.
최현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테슬라와 우버 자율주행차가 낸 사망 사고를 보면 모두 장애물이 시야를 가리는 `센서 오작동` 때문에 발생했다"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도가 완성되면 센서 오류가 일어나더라도 어디서 좌회전할지, 다음 차선 변경은 어딘지 등 도로나 위험시설 유무 등을 사전에 알려주기 때문에 불상사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윤진 기자] 매일경제
A new way to automatically build road maps from aerial images
“RoadTracer” system from the Computer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 could reduce workload for developers of apps like Google Maps.
Adam Conner-Simons | CSAIL
April 17, 2018
Map apps may have changed our world, but they still haven’t mapped all of it yet. Specifically, mapping roads can be difficult and tedious: Even after taking aerial images, companies still have to spend many hours manually tracing out roads. As a result, even companies like Google haven’t yet gotten around to mapping the vast majority of the more than 20 million miles of roads across the globe.
Gaps in maps are a problem, particularly for systems being developed for self-driving cars. To address the issue, researchers from MIT’s Computer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 (CSAIL) have created RoadTracer, an automated method to build road maps that’s 45 percent more accurate than existing approaches.
Using data from aerial images, the team says that RoadTracer is not just more accurate, but more cost-effective than current approaches. MIT professor Mohammad Alizadeh says this work will be useful both for tech giants like Google and for smaller organizations without the resources to curate and correct large amounts of errors in maps.
“RoadTracer is well-suited to map areas of the world where maps are frequently out of date, which includes both places with lower population and areas where there’s frequent construction,” says Alizadeh, one of the co-authors of a new paper about the system. “For example, existing maps for remote areas like rural Thailand are missing many roads. RoadTracer could help make them more accurate.”
For example, looking at aerial images of New York City, RoadTracer could correctly map 44 percent of its road junctions, which is more than twice as effective as traditional approaches based on image segmentation that could map only 19 percent.
The paper, which will be presented in June at th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in Salt Lake City, Utah, is a collaboration between CSAIL and the Qatar Computing Research Institute (QCRI).
To create complete road maps companies like Google often have to have employees take existing aerial images
with incomplete information and manually fill in the gaps./Images courtesy of the researchers.
edited by kcontents
Alizadeh’s MIT co-authors include graduate students Fayven Bastani and Songtao He, and professors Hari Balakrishnan, Sam Madden, and David DeWitt. QCRI co-authors include senior software engineer Sofiane Abbar and Sanjay Chawla, who is the research director of QCRI’s Data Analytics Group.
Current efforts to automate maps involve training neural networks to look at aerial images and identify individual pixels as either “road” or “not road.” Because aerial images can often be ambiguous and incomplete, such systems also require a post-processing step that’s aimed at trying to fill in some of the gaps.
Unfortunately, these so-called “segmentation” approaches are often imprecise: If the model mislabels a pixel, that error will get amplified in the final road map. Errors are particularly likely if the aerial images have trees, buildings, or shadows that obscure where roads begin and end. (The post-processing step also requires making decisions based on assumptions that may not always hold up, like connecting two road segments simply because they are next to each other.)
Meanwhile, RoadTracer creates maps step-by-step. It starts at a known location on the road network, and uses a neural network to examine the surrounding area to determine which point is most likely to be the next part on the road. It then adds that point and repeats the process to gradually trace out the road network one step at a time.
“Rather than making thousands of different decisions at once about whether various pixels represent parts of a road, RoadTracer focuses on the simpler problem of figuring out which direction to follow when starting from a particular spot that we know is a road,” says Bastani. “This is in many ways actually a lot closer to how we as humans construct mental models of the world around us.”
The team trained RoadTracer on aerial images of 25 cities across six countrie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and then evaluated its mapping abilities on 15 other cities.
“It’s important for a mapping system to be able to perform well on cities it hasn’t trained on, because regions where automatic mapping holds the most promise are ones where existing maps are non-existent or inaccurate,” says Balakrishnan.
Bastani says that the fact that RoadTracer had an error rate that is 45 percent lower is essential to making automatic mapping systems more practical for companies like Google.
“If the error rate is too high, then it is more efficient to map the roads manually from scratch versus removing incorrect segments from the inferred map,” says Bastani.
Still, implementing something like RoadTracer wouldn’t take people completely out of the loop: The team says that they could imagine the system proposing road maps for a large region and then having a human expert come in to double-check the design.
“That said, what’s clear is that with a system like ours you could dramatically decrease the amount of tedious work that humans would have to do,” Alizadeh says.
Indeed, one advantage to RoadTracer’s incremental approach is that it makes it much easier to correct errors; human supervisors can simply correct them and re-run the algorithm from where they left off, rather than continue to use imprecise information that trickles down to other parts of the map.
Of course, aerial images are just one piece of the puzzle. They don’t give you information about roads that have overpasses and underpasses, since those are impossible to ascertain from above. As a result, the team is also separately developing algorithms that can create maps from GPS data, and working to merge these approaches into a single system for mapping.
This project was supported, in part, by the Qatar Computing Research Institute.
http://news.mit.edu/2018/new-way-to-automatically-build-road-maps-with-aerial-images-0417
국내 첫 GRT 바이모달트램 상용 운행 시작..."인천 청라국제도시"
21일부터 청라∼가정 구간
10km 구간의 GRT노선에 운행,
36개 좌석 80명 정원
굴절버스 형태의 바이모달트램이 국내 처음으로 인천 청라국제도시에서 상용운행을 시작한다.
인천교통공사는 청라국제도시역에서 가정역까지 약 10km 구간의 GRT(Guided Rapid Transit, 유도고속차량) 노선에 바이모달트램 4대를 투입, 이달 21일부터 운행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앞서 2월 개통한 이 노선에는 현재 701번과 702번 저상버스 14대가 운행 중이다.
바이모달트램[인천교통공사 제공=연합뉴스]
이번 바이모달트램 추가 투입으로 평일 운행횟수는 79회에서 99회로 늘어나고 막차시간도 약 5분 연장돼 0시 30분까지 운행한다.
바이모달트램은 36개 좌석을 포함해 80명 정원이며, 대당 가격은 15억6천만원이다.
요금은 지선버스 요금과 같이 일반카드 950원, 현금 1천원으로 일반 시내버스보다 싸다.
신교통시스템인 GRT는 청라국제도시 개발 이익금을 활용해 구축됐다.
GRT 바이모달트램은 원래 전용차로에 설치된 전자기 또는 광학 센서를 따라 시속 60∼70㎞로 달리는 방식으로 운행돼야 하지만, 관련 법령이 갖춰지지 않아 당분간은 일반 버스와 같은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운행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진 GRT는 무인 자동운전이 가능하고 출발·도착 시각을 정확히 지킬 수 있어 버스와 전철의 장점을 딴 첨단 교통수단으로 꼽힌다.
[연합뉴스]매경
케이콘텐츠
MGE 브라운 회장 "영종도에 2.7조 투자"
"한국판 라스베이거스로"
모히건게이밍엔터테인먼트그룹
MGE 브라운 회장 인터뷰
미국 동부 최대 카지노 복합리조트·엔터테인먼트 기업인 모히건게이밍엔터테인먼트(MGE)그룹의 케빈 브라운 회장은 최근 매일경제와 만나 "2021년까지 인천 영종도에 K팝을 중심으로 한 세계적인 한류 테마파크를 포함하는 복합리조트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MGE그룹은 `인스파이어리조트`라고 명명한 이 프로젝트에 총 26억달러(약 2조70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연면적 40만5000㎡ 규모로 조성되는 인스파이어리조트에는 테마파크를 비롯해 세계 최대 규모 실내 공연장, 외국인 전용 카지노, 6성급 최고급 호텔 등이 들어선다.
브라운 회장은 "세계적인 인천공항은 물론 `한류`라는 킬러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인천은 `아시아의 라스베이거스`가 되기에 충분한 잠재력을 갖췄다"며 "아시아 관광객이 방문해 `체험`과 `소비`를 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허브로 조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MGE는 한국 정부에서 복합리조트 건설을 위한 사전 승인을 받았다. 다만 진행 과정에서 사업계획이 확대되는 등 조정된 부분이 있어 문화체육관광부와 협의 중이다.
[황순민 기자] 매일경제
https://www.mohegan.nsn.us/Business/gaming-entertainment/mohegan-gaming-entertainment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