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학 국제 경쟁력 하위권...세계 300위 내 대학 5개뿐" 전경련

 

대학경쟁력 강화가 국가경쟁력 강화의 길

 

글로벌 대학평가기관, 

韓대학경쟁력 G5(美․日․獨․英․佛), 中 대비 하위권 평가

 

[논문실적]네이처, 사이언스 논문 다수 게재 세계 300위 내 韓대학 5개뿐

[연구영향력]노벨상, 필즈상 수상한 연구업적을 보유한 한국대학 無

[평판도/국제화]교수/졸업생평판, 외국인 교수/학생비율, 선진국 대비 低

[경쟁력 강화과제] 기업이 원하는 인재육성, 연구역량 강화, 재정 확충​

 

  한국의 교육경쟁력은 국가경쟁력보다 뒤떨어져 있으며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교육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전경련은 「한국대학 경쟁력 국제비교」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세계 대학 랭킹 지속적 하락

정치 편향 논문 위조 간과 등 지양하고

연구에 매진해야

(편집자주)

 

YouTube edited by kcontents

 

IMD 세계경쟁력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18년 27위에서 ’21년 23위로 상승한 반면, 교육경쟁력은 같은 기간 25위에서 30위로 하락했다. 특히 IMD가 올해 실시한 조사에서 대학교육 경쟁력은 64개국 중에서 47위를 차지해 하위권에 있었다.

 

 

한국대학의 글로벌 위상, G5(美․日․獨․英․佛)+韓․中 가운데 하위권

’21년 세계대학평가, 종합순위 300위 내 G5(美日獨英佛)+韓·中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한국은 이들 국가 중에서 하위권에 머물렀다. 글로벌 대학평가기관인 영국QS의 「World University Rankings」와 중국상해교통대의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y」의 종합순위 300위 내 대학을 분석한 결과, 한국이 7개 국가 중에서 300위 내 포함 대학 수가 가장 적었다. 특히 올해 글로벌 300위 내 한국대학 9개 중 6개는 전년대비 순위가 하락했다.

 

한국대학, 우수논문 생산실적 및 연구 영향력 저조

 

Nature와 Science 논문 다수 게재, 세계 300위 내 한국대학 5개 불과 

노벨상, 필즈상을 수상한 연구업적을 보유한 한국대학 전무 

 

  우선, 한국대학은 우수논문 생산실적과 연구영향력이 선진국 대비 상대적으로 낮았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Nature’와 ‘Science’에 논문 게재 실적이 높은 세계 300위 내 대학 중 한국대학은 5개에 불과했고, 세계 최고 권위의 노벨상, 필즈상을 수상한 연구업적을 보유한 한국대학도 글로벌 300위 내에 하나도 없었다.

* 필즈상 :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수여되는 상으로 수학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

 

 

한국대학, 교수진‧졸업생 평판과 국제화 수준 선진국 대비 상대적 저조

 

학계 평가, 글로벌 상위 300위 내 한국대학 수 미국 대비 13% 

외국인 교수비율, 글로벌 상위 300위 내 한국대학 없음 

 

 

 

대학 구성원, 졸업생에 대한 평판은 선진국에 비해 저조했다. 교수와 졸업생에 대한 평판도가 높은 글로벌 300위 내 한국대학 수는 각각 7개, 9개로 미국의 54개, 43개에 비해 크게 부족했다.

 

국제화 수준도 비교열위를 나타냈다. 외국인 교수비율이 높은 글로벌 300위 내 대학 중 한국대학은 한 개도 없었고, 외국인 학생비율이 높은 글로벌 300위 내 대학 중 한국대학은 한 개에 그쳤다.

 

기업이 원하는 인재육성, 연구역량 강화, 등록금 현실화 통한 재정확충 필요

 

학과별 칸막이 제거, 문․이과 융합인재 양성, 수도권 입학정원 총량규제 재검토 등 

 

전경련은 대학경쟁력 강화가 국가경쟁력 강화의 필수요건임을 강조하면서 이를 위한 세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SCI급 우수논문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교원 역량평가 강화, 우수교수 유치 등을 추진하는 등 대학의 연구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SCI급 논문 : 美과학정보연구소 DB에등록된 학술지 게재 논문

 

다음으로, 기업의 수요에 부응하는 인재육성을 위해 4차 산업혁명 관련 학문을 육성하고 이를 통해 졸업생 평판도를 제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 방법으로 ①학과별 칸막이 제거, ②문․이과 융합인재 양성, ③해외인재 유치를 위한 비자요건 완화 등을 제시했다. 특히, 한국대학은 수도권 내 입학정원 총량규제에 묶여 학과 신설 및 정원확대에 제한받고 있는 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컴퓨터공학과의 경우 美스탠퍼드대는 ’08년 141명에서 ’20년 745명으로 정원이 크게 증가한 반면 서울대는 같은 기간 55명에서 70명으로 정체되어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13년째 사실상 동결된 대학등록금을 현실화하고, 대학 기부문화도 활성화하여 대학재정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해외석학을 유치하는 등 대학의 종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전경련은 강조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강국이 되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강화는 필수”라며 “글로벌 대학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고민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전경련 이재수 팀장 / 지역협력팀

 

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세계 경쟁력 보고서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대학교육 경쟁력은 64개국 중 47위로 하위권에 속했다 edited by kcontents


2021 THE 국내 대학교순위/ THE Korean University Rankings

 

세계 대학교 평가기관 중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와 함께 가장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고 하는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타임즈고등교육(Times Higher Education,THE)이 최근 발표한 2021 THE 대학교순위

 

Recent Articl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