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나의 순간 심정지...소생술 안하면 90%는 사망 ㅣ 심폐소생술 방법(영상)

 

2020년 생존율 7.5%에 불과

코로나 유행으로 전년대비 감소

 

심폐소생술 방법 꼭 알아둬야

 

   국내에서 급성심장정지를 겪은 환자들의 생존율이 7.5%에 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급성심장정지란 심장활동이 심각하게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를 말한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30일 제10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2020년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3만여명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7.5%에 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생존율 작년보다 감소… '코로나' 영향 추정

이번 발표에 따르면 2020년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1652명이다(인구 10만명당 61.6명). 여성보다 남성 환자가 많고, 연령이 높을수록 발생률이 높았다. 시·도별로는 제주에서 인구 10만 명당 98.0명으로 발생률이 가장 높고, 세종이 33.7명으로 가장 낮았으며, 경기를 제외한 8개 도 지역이 1~8위를 차지했다. 수도권과 광역시, 세종 등은 9~17위에 분포했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병원을 방문해 의무기록조사까지 완료한 환자는 3만1417명이었으며, 이 중 2345명이 생존해 생존율은 7.5%였다. 조사가 시작된 2006년의 2.3%에 비해서는 개선된 수치지만, 2019년(8.7%)보다 감소했으며, 시·도별로도 대체로 2019년에 비해서 생존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뇌기능회복률도 2020년 4.9%로, 2019년 5.4%에 비해 감소했다.

 

 

 

국내 급성심장정지 전문가들은 2020년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에 대해 코로나19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국가 급성심장정지조사감시 자문위원회 위원장 연세의대 정성필 교수는 "코로나19 유행으로 병원 밖에서 발생하는 급성심장정지 생존율이 감소했다는 결과가 여러 나라에서 보고되고 있다"며 "감염 우려에 따른 적극적인 심폐소생술 시행 감소, 방역조치 및 이송병원 선정 지연 등으로 구급활동 제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병원 이용 감소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심폐소생술 시행하면, 생존율 3배로 높아져

쓰러진 환자에게 즉각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을 1.9~3.3배, 뇌기능 회복률을 2.8~6.2배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일반인도 심폐소생술 방법을 알아두고 환자 목격 시 바로 실시하는 게 중요하다. 다행히 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는 2019년 24.7%에서 2020년 26.4%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등 감염 우려 상황에서 실시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방법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그림 참조>.

 

<코로나19 유행 시 심폐소생술 방법>

심폐소생가이드라인 관련 그림 사진=질병관리청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11/30/2021113001704.html

 

 
Recent Article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