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BIM이 문제가 아니다 Embracing Digitaliza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4차 산업혁명? BIM이 문제가 아니다
이석종
바야흐로 4차산업혁명의 시대다. 4차산업혁명이라는 단어는 귀에 못이 박힐 정도로 많이 들었다.
4차산업혁명은 산업의 전 분야에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건설 산업에도 예외는 아니다. 건설산업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야기할 때 꼭 등장하는 슬라이드 하나가 있다.
맥킨지 보고서에 나온 산업별 생산성 증가율과 디지털화 그래프다. 매킨지보고서에는 2005년부터 2014년 10년동안 건설산업의 생산성증가는 –1.5, 디지털화 정도는 5%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단연 꼴지다.
theconstructor.org
Related Article
Embracing Digitaliza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https://theconstructor.org/digital-tools/digitalization-construction-industry/26291
edited by kcontents
매킨지는 디지탈화 비율이 높을수록 생산성 증가가 높다면서 건설분야에서 디지털화가 시급하다고 말한다.
사실 건설은 다른 분야보다 디지털화가 어려운 분야다. 제조업처럼 일정한 곳(공장)에서 고용된 사람들(근로자)이 일하는 것이 아니다. 건설은 현장이 바뀌고 사람도 바뀐다.
수출을 예를 들어보자 자동차는 한국 공장에서 한국근로자가 만든다. 하지만 건설은 현지에서 현지의 기준에 따라 현지의 장비와 현지 인력을 써서 건설한다. 생산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이다.
맥킨지가 밝힌대로 디지털화가 생산성을 높인다면 한국의 건설은 얼마나 디지털화되어 있을까?
한국에서 건설하면 생각나는 것은 역시 건설현장이다. 현장을 빼놓고 건설을 이야기할 수는 없다. 하지만 건설의 과정은 계획-설계-시공-유지관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건설산업이라고 하면 현장에서 시공하는 시공단계만을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시공과정은 시설물의 전체 생애의 10%도 안된다.
그렇다면 건설산업의 디지털화는 어디에서 이루어져야할까? 건설현장에서 디지털화를 하면 되는 것일까? 그렇다. 건설현장에서 건설기계들이 시공하면 그것을 4차산업혁명의 종착점이 될 것이다. 하지만 그건 너무 먼 미래의 이야기다. 일단 디지털화가 우선이다. 디지털화가 우선되어야 다음 단계로 나갈 수 있다.
그런데 혹시 우리들은 너무 먼 미래만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국토부는 지난 2018년 10월에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발표했다. 국토부의 2030년 목표를 보면 'AI를 활용한 건설기계 통합 운영 및 관제', '로봇 등을 활용한 조립시공 자동화', 'AI기반 공사관리 최적화(조건에 맞는 최적 공법 검토)',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 시설물 유지관리'등의 단어들이 등장한다. '목표는 높게 잡아야 한다'에 동의한다.
하지만 한국 건설산업의 현실과 너무 동떨어져 있다. BIM만 하면 스마트건설기술이 되는 것처럼 너도 나도 BIM을 추진하고 있다. 물론 스마트건설기술을 구현하려면 BIM이라는 정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고 BIM을 한다고해서 스마트건설이 되는 건 아니다.
BIM을 누가 해야하는지 조차도 헷갈리고 있는 것이 한국의 실정이다. 예를 들어 BIM의 기능중 물량산출기능을 보자. 해외에서 물량산출은 설계자가 하지 않는다. 해외는 소위 순수내역입찰제도이기 때문에 물량산출은 시공사가 입찰할 때 한다. 하지만 한국은 발주처가 물량을 제시하기 때문에 설계사가 물량을 뽑는다.
설계도면도 마찬가지다 해외에서는 대부분의 상세도는 시공단계에서 작성한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대부분의 상세도를 설계단계에서 작성한다.
이런 차이가 BIM을 설계단계에서 할 것인지 시공단계에서 할 것인지 헷갈리게 만들고 있다. 그렇다면 BIM은 어느 단계에서 하는 것이 맞을까?
흔히 BIM을 pre-construction이라고 한다. 가상 공간에서 미리 시공해본다는 뜻이다. BIM모델에 시간과 비용 정보를 넣어서 4D나 5D까지도 만들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미리 시공해보는 것은 누가 해야하는 일일까? 설계자가 해야 하는 일일까? 시공자가 해야 하는 일일까?
아니 질문을 바꿔보자 누가 더 잘할 수 있을까? 답은 너무나 명확하다. 시공자가 더 잘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수량산출업무와 도면작성업무가 설계자의 일이다보니 설계단계에서 BIM을 추진하고 있다.
constructionglobal.com
Related Article
Understanding the digital opportunities in construction
https://www.constructionglobal.com/equipment-and-it/understanding-digital-opportunities-construction
edited by kcontents
한국에는 가설엔지니어링이 없고 모든 설계를 설계단계에서 설계자가 작성하다보니 BIM도 해외와 다른 길을 가고 있다.
한국에서 설계자가 BIM을 하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지금 현재는 설계단계에서 LOD(Level of Detail)를 낮춰 BIM을 만들자고 하고 있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봐도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알 우 있다.
왜냐하면 한국에서는 수량을 정확하게 산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설계자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LOD를 낮춰서 시작하지만 결국 발주처는 설계단계의 LOD를 높일 수 밖에 없다. LOD를 낮게 유지한다면 BIM으로 수량을 뽑지 않고 따로 수량을 뽑아야 하는데 그것은 BIM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 그래서 결국 발주자는 설계단계 BIM의 LOD를 높이게 될 것이다.
그래서 결국 설계자가 BIM을 통해 정확한 도면과, 수량, 공사비 그리고 공기까지 산정해서 발주자에게 납품하고 발주자는 그것을 시공자에게 넘겨줘서 시공 BIM을 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전개 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그렇다면 이것이 pre-construction일까? 아닐까?
한국이 전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독특한 건설생산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한국 건설시장이 정체기에 접어들어서 글로벌 건설시장으로 진출해야 한다고들 이야기 한다. 그렇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해야하는 시점에서 어느 체계를 따라야 하는 것일까?
국토부해양부는 2006년 말에 '국제표준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설계단계의 설계도 간소화와 시공단계에서의 시공상세도작성, 순수내역 입찰제도의 시행 등을 통해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건설산업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었다. 하지만 시범사업까지 진행하는 듯 했으나 흐지부지되다가 로드맵은 결국 폐기되었다.
4차산업혁명을 걱정하기 전에 우리 건설산업은 지금 어느 상황에 있는지 먼저 돌아봐야 하는 것은 아닐까?
이석종 기자 건설인
Why is the construction industry struggling with digitalization?
k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