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임기 내 해외건설 500억 달러 달성의 조건" 건산연
Construction, Science, IT, Energy and all other issues
Search for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top search bar on blog!
건설,과학,IT, 에너지 외 국내외 실시간 종합 관심 이슈 발행
[10만이 넘는 풍부한 데이터베이스]
블로그 맨 위 상단 검색창 통해 유용한 정보를 검색해 보세요!
보다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해외 건설 지원 정책 추진 필요
얼마 전 국토교통부의 새 정부 업무보고에서 'K-스마트 인프라' 해외 수주 확대를 추진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전통적으로 강점을 가지고 있는 철도, 공항, 도시 개발 등에 있어 스마트 기술을 결합하여 해외 건설이 제2 중흥기를 맞을 수 있도록 범정부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 발표하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해외 건설이 지속적으로 침체되어 왔다는 점에서 해외 건설에 대한 지원책을 논의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현재 우리나라의 해외 건설 수주 여건은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2021년에 세계 5대 해외 건설 강국으로 한 단계 상승하였고, 코로나19 상황에서도 2년 연속 300억 달러 달성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으나 실제로 지난 10여 년 사이 해외 건설 수주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고, 건설기업들의 관심도 적어졌다. 규모상으로 볼 때 2010년 해외 건설시장 진출 이래 최대인 716억 달러를 수주했던 해외 건설은 2015년 500억 달러 밑으로 접어든 이래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고, 2021년에는 306억 달러 수준이었다.
올해 들어서도 예년에 비해 낮은 수주액을 기록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국제유가 상승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의한 원자재 가격 및 건설 자재 가격 상승이 이어지면서 해외 건설 수주 여건은 더욱 악화되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및 인도 등 건설 기업들의 공격적인 해외 건설시장 진출은 하루가 다르게 해외 건설시장의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다.
해외 건설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력 수출 상품이다. 최근 해외 건설 수주액이 감소했다고는 하나 여전히 반도체, 자동차, 석유제품에 이어 4위의 수출 품목이다. 최근 해외 건설 수주 누계액이 9000억 달러를 넘기도 했다. 현재도 한 해의 해외 건설계약액은 국내총생산(GDP)에서 약 2.1%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도 경제성장기인 1970년대 해외 건설은 우리나라의 주요한 성장동력이기도 했다. 이러한 해외 건설이 위축된 데에는 해외 건설시장이 국제경제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는 시장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해외 건설시장에서 우리나라 건설의 실질적인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는 것이 큰 원인이다.
해외 건설에 있어 경쟁력 저하는 어제오늘 얘기가 아니다. 오래전부터 해외 건설에 있어 경쟁력 향상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플랜트 중심이라는 사업의 편향성 그리고 시장 측면에서도 중동, 동남아시아 지역 중심의 수주 시장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지속되어 왔다. 또한 수주 영역은 여전히 시공 중심의 사업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해외 건설시장에서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등장하고 있는 투자개발사업 수주 비중은 여전히 6% 내외에 불과하다. 정부에서는 그동안 해외 건설 수주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내놓았다. 시장 정보 지원 강화, 전문 인력 양성, 민관 협력 해외 투자개발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제도 마련 등 다양한 지원책들이 논의되어 왔다. 정부의 건설외교도 지속되어 왔다. 시장 다변화, 민관 협력 해외 투자개발사업 수주 증가 등 긍정적인 효과도 있었으나, 해외 건설시장에서 실질적인 한국 건설의 경쟁력 향상은 여전히 더딘 상황이다.
더욱이 최근 몇 년 사이에는 과거 해외 건설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대형 건설사들도 해외 건설보다는 주택사업과 같은 국내 사업에 집중해 왔다. 그만큼 해외 건설시장에 대한 매력도를 낮게 평가하고 있다.
보다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해외 건설 지원 정책 추진이 필요한 이유다.
특히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건설시장 동반 진출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건설 기업의 해외 건설 경쟁력 향상 등 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 그리고 정책자금을 통한 자금 조달의 실질적 지원 등 보다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 해외 건설시장 여건을 감안할 때 국내 건설산업의 객관적인 역량 진단과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책들이 강구되지 않는다면 새 정부에서 목표로 세운 임기 내 해외 건설 수주 500억 달러 달성도 쉽지 않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아주경제, 7.22>
김영덕(선임연구위원ㆍydkim@cerik.re.kr) 건산연
어쩌나!...계속되는 해외건설 수주 부진...중동은 전멸?
https://conpaper.tistory.com/102298
한국 해외 건설 수주 규모 왜 작아지나... 수주액 급감 l 해외 도시개발사업 진출 지원 박차
https://conpaper.tistory.com/102056
- 비토기타콰르텟, 한 여름밤의 커피 콘서트
- TBM 공법 핵심기술 보유국은
- PFAS의 여행과 빗물의 위험성 VIDEO:PFA⋯
- 물이 보약...다이어트에도 도움된다고?⋯
- 이 달의 어린이 어른이 추천도서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