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 서울 수도정비기본계획' 발표 [서울시]

 

기후변화 시대 먹는 물 미래 대비 

시설물 노후화, 수질악화 등 잠재위험요소 반영…향후 20년 상수도 종합발전계획

'40년까지 상수관로 3,073㎞ 교체․정비, 노후 정수센터 순환 재정비 계획 수립

 

 
#. 2000년 서울의 급수인구는 1천37만 명, 수돗물 총생산량은 15억2,672만 톤이었다. 20년이 흐른 2020년의 급수인구는 991만 명, 총생산량은 11억3,461만 톤으로 약 4억 톤가량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인구 감소의 영향도 있으나 생산량 감소의 가장 큰 이유는 유수율 유수율(有收率)이란, 수돗물 생산량 중 누수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돼 요금수입으로 받아들여진 수량의 비율을 말한다.

로, 72%였던 유수율은 20년 만에 95.5%까지 향상됐다. 한편, 원수 수질변화에 대비해 일반정수처리과정은 모두 고도정수처리과정으로 바뀌었다. 늘 똑같아 보이던 수돗물은 그 한결같음을 유지하기 위해 조금씩 그리고 꾸준히 변해왔다. 앞으로 20년, 서울의 수돗물은 얼마나 변하고 또 어떻게 대비해야할까

 

   서울시가 급수환경 및 기후 변화에 대비한「2040 서울 수도정비기본계획」을 5일(화) 발표했다.

 

「수도정비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은 서울시 상수도 정책의 가장 기본이 되는 종합계획으로 수도법 제4조에 따라 10년마다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20년 단위로 목표를 수립하여 환경부에 승인을 신청하고 5년마다 재검토, 보완한다.

 

 

 

공급계통의 대변혁을 가져올 ‘주요간선 송수관로 안정화(대심도 송수터널)’사업 타당성조사 착수

강북정수센터 25만 톤 증설, 취수원 이중화로 광암정수센터 원수 구입비 4배 절감

정수센터․검침․시설물 관리까지…업무 전반에 4차산업기술 활용 스마트 물 관리

 

'2040 서울 수도정비기본계획' 발표 [서울시]

 

이번 계획은 앞서 2013년에 수립한 「2030 서울 수도정비기본계획」을 대체하는 계획으로, 2019년 5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약 2년 8개월의 기간 동안 수립하였다.

 

시는 이번 기본계획에 정수센터의 시설물 노후화, 기후 변화로 인한 원수 수질 악화와 이로 인한 각종 수질사고 등 잠재적 위험요소를 반영하고 이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방안을 담아내고자 했다.

 

다양한 의견 반영을 위해 상수도 및 유관분야 전문가, 시민단체 등 53명이 참여한 자문단과 직원들로 구성된 특별 전담 조직(태스크포스, 이하 TF)을 운영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12차례의 자문회의, 21차례의 TF회의 등을 통해 기본계획 전반의 정책결정을 논의하고 주요 과제를 도출했다. 외부자문단은 수돗물 관련 ▴생산 ▴공급 ▴수질 등 유지관리 및 정보화 ▴재정‧경영 등 4개 분야에서 서울의 미래 수돗물 관련 정책을 고민하고 과제로 제시했다. 

 

 

 

그 결과 이번 기본계획은 “시민과 소통하는 고품질의 스마트 아리수”를 비전으로 ▴장래 서울시 수돗물 수요량 전망에 따른 공급 계획 ▴상수도관의 체계적 정비와 지속 가능한 정수센터 성능유지 확보 ▴주요간선 송수계통의 입체적 수돗물 공급체계 구축 등의 내용을 담았다.

  

특히 지속가능한 정수센터 성능유지 확보를 위한 ‘노후 정수센터 순환정비 체계’와 ‘주요간선 송수관로 안정화(대심도 송수터널)’ 계획을 통해 기존 생산·공급 체계의 획기적 변화를 도모하였다.

 

<수돗물 수요량 예측…고도정수처리 80만톤↑, 기후변화에도 고품질 수돗물 안정 공급>지난해 기준 337만 톤이었던 일 최대 수돗물 생산량은 2030년 361만 톤까지 증가했다가 점차 감소세로 전환해 2040년에는 347만 톤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인접 도시의 대규모 개발에 따라 서울시에서 공급하는 인접 도시 수돗물 공급량이 증가하는 반면, 서울 인구의 감소에 따라 전체 수돗물 생산량은 다시 일정량 감소할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고도정수처리 80만 톤도 2040년까지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서울시는 하루 380만 톤의 고도정수처리시설 용량을 갖고 있으나, 추가 용량을 확보하여 환경부가 제시하는 정수장 적정 가동률 75%에 가깝게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고도정수처리는 일반 정수처리 과정에 오존처리와 입상활성탄(숯) 흡착과정을 더한 것으로, 수돗물에서 나는 특유의 맛과 냄새를 제거하는 데 탁월하다. 

 

이를 통해 기후 변화로 인한 수질 악화에 대비하고, 물 사용량이 많은 여름철에도 고도정수처리 된 고품질의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40년까지 상수관로 3,073㎞ 단계적 교체‧정비, 노후 정수센터 순환재정비 계획 수립>

체계적인 노후 상수도관 정비, 수질 사고에 대비한 주요 상수관로의 복선화 계획, 기후 변화에 대비한 취수원의 안정적 확보 등 수돗물 공급의 안정화 계획도 수록했다. 특히 공급계통 수질관리 강화를 위해 2040년까지 사용연수 30년 이상의 장기사용 상수관로 3,073㎞를 단계적으로 지속 교체․정비할 계획이다.

 

  

아울러, 공급계통에서 수질뿐 아니라 각종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관로를 이용해 단수 없이 깨끗한 수돗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수관로 84km에 대한 복선화 사업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상수관망 내 유속과 수압, 유수방향을 해석해 수질 취약 지점을 사전에 발굴하고, 원수와 정수 수질 저하에 대비한 새로운 정수 공정 검토 등 수질관리 계획도 수립했다.

 

6개 정수센터별 맞춤형 개량방안과 함께 수질 변화에 따른 강북‧암사‧자양(뚝도)‧풍납(영등포) 4개 취수장의 안정화 방안 또한 기본 계획에 수록했다. 

 

생산시설의 장기적인 정비 방안도 수립했다. 현재 운영 중인 서울시 정수센터 대부분은 1980~90년대에 건설돼 사용연수가 30년을 경과하고 대형화, 밀집화 된 경향이 있었다. 이런 정수센터를 중장기적으로 개량하고 유지관리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순환정비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노후 정수센터의 지속 가능한 정비안에 관해서는 타당성 조사를 거쳐 '23년 상반기에 내용을 구체화하여 발표할 계획이다.

 

<강북정수센터 생산량 25만 톤 증설, 취수원 이중화로 광암정수센터 원수 구입비 절감>

아울러 2013년 「2030 서울 수도정비기본계획」의 내용 중 환경부 승인 과정에서 보류됐던 ▴강북아리수정수센터 생산량 증설과 ▴광암아리수정수센터 취수원 이중화 등을 이번 기본계획에 포함하여 승인받았다.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해 서울시의 22%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는 강북아리수정수센터의 생산량은 기존 고도 95만 톤에서 120만 톤으로 25만 톤 증설된다. 향후 노후 정수센터의 정비 과정에서 추가 시설용량 확보가 필요하고, 서울 인접 도시의 수돗물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시는 향후 예상 수요량 대비 부족한 시설용량을 확보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수돗물을 생산하고,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21년 12월 기준, 서울시와 인접한 4개 도시(구리시․남양주시․하남시․광명시)의 일부 지역에 하루 13만 톤의 아리수가 공급되고 있다. 이는 서울시 수돗물 일평균 생산량 307만 톤 중 약 4%에 해당하는 양이다.

 

인접 지자체 수돗물 공급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30년에는 1일 33만 톤까지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한강보다 4배 이상 비싼 팔당댐 원수만을 단일 취수원으로 공급받던 광암아리수정수센터의 취수원을 이중화(팔당+한강)한다. 암사취수장으로부터 구경 1,650㎜, 길이 11㎞의 도수관로를 신설하여 팔당 원수보다 4배 이상 저렴한 한강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수돗물의 재료가 되는 원수 구입비를 낮춰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중 취수원으로 취수원 한 곳에서 사고가 발생해도 다른 취수원에서 원수를 안전하게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 6개 정수센터 중 5곳(강북‧암사‧영등포‧뚝도‧구의)은 톤(㎥)당 52.7원의 저렴한 한강 물을 쓰고 있지만, 광암아리수정수센터는 한강보다 4배 이상 비싼 팔당댐 물을 톤(㎥)당 233.7원에 공급받고 있다.

 

&#39;2040 서울 수도정비기본계획&#39; 발표 [서울시]

 

<정수센터, 계량기 검침, 시설물 관리까지…업무 전반에 4차산업 기술 활용 스마트 물 관리>

또한, 상수도 업무 전반에 4차산업 시대의 정보통신기술(ICT),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기술 등을 활용한다. 인공지능으로 정수센터의 수돗물 생산 공정을 자동화하고, 원격검침 계량기를 확대 도입해 실시간 물 사용량을 과학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람의 경험과 판단으로 제어하던 정수센터의 생산 공정을 자동화하여 휴먼 에러(human error)를 최소화한다. 사람이 2달에 한 번 검침하던 계량기를 원격검침으로 순차 전환해 실시간 사용량 파악과 수돗물 사용 이상징후 조기 파악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상수도 시설물의 이력을 과학적으로 관리하여 시설물의 생애주기에 따른 선제적 유지관리를 실현할 계획이다. 기존 시설물 유지보수 방식은 사용 연수에 따른 연차적 유지보수였는데, 향후에는 개별 시설물의 안전진단 결과, 보수․보강 이력 등에 따라 최적 관리 시점과 방법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사후 대응형 관리에서 선제적 관리로의 전환으로, 시설물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유지관리 비용의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40 서울 수도정비기본계획」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구체화하고 실행하여, 서울의 수돗물 생산 및 공급에 있어 향후 내외부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비할 계획이다.

  

올해에는 사용연수 30년을 경과해 정비 시기가 도래한 정수센터에 대해 지속 가능한 순환정비 체계를 구축하고, 사고에 취약한 주요간선 송수관로의 대심도(지하 40m 이상) 터널화를 위한 타당성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39;2040 서울 수도정비기본계획&#39; 발표 [서울시]

 

구아미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향후 20년의 상수도는 기후위기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첨단기술을 활용한 시설관리를 실현하는 등 큰 전환의 시기를 맞이할 것”이라며 “고품질 수돗물에 대한 기대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시민과 소통하는 시민 중심의 상수도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