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올랐지만 체감 못하는 이유 분석" 한국경제연구원
5년간 월급 17.6% 오를 때,
근로소득세·사회보험료 부담은 39.4% 증가
주요원인은 2010년 이후 고정된 소득세 과표구간(8,800만원 이하)과 보험료율 인상 때문
5년간(2016~2021) 밥상물가 상승률 OECD 국가 중 8위, 작년엔 5위 기록
41.7% 오른 집값, 29.4% 오른 전세값 무주택 근로자들에게 큰 부담
소득세 물가연동제 도입하고 사회보험 제도 개선해야...
5년간(2016~2021년) 근로자 임금이 17.6% 오를 때, 근로소득세 및 사회보험료는 39.4%가 상승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 원장 권태신)이 연말정산 시즌을 맞아 5년간 (2016~2021년) 고용노동부(사업체노동력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임금보다 원천징수되는 근로소득세 및 사회보험료 부담 증가율이 2배 이상 높다고 밝혔다.
5년간 임금 17.6% 상승 vs 근로소득세·사회보험료 부담 39.4% 증가
근로자 월임금(1인이상 사업체)은 2016년 310.5만원에서 2021년 365.3만원으로 17.6% 인상되었으나, 근로소득세 및 사회보험료 부담은 2016년 36.3만원에서 2021년 50.7만원으로 39.4%나 증가했다.
근로소득세 부담은 2016년 102,740원에서 2021년 175,260원으로 70.6% 증가했다. 이는 소득세 과표구간1)(8,800만원 이하)이 2010년 이후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가상승 등의 영향으로 월급이 오르는 경우, 근로소득세는 상위의 과표구간이 적용되므로 사실상 자동적으로 세율이 인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 주1) 과표구간: 1,200만원 이하(6%), 1,200~4,600만원(15%), 4,600~8,800만원(24%)
한편, 사회보험료 중 증가율이 가장 높은 항목은 고용보험료로 나타났다. 고용보험료는 2016년 20,187원에서 2021년 29,229원으로 44.8% 증가했는데, 이는 실업급여 지급기준 확대(최대기간 240→270일, 평균임금 50%→ 60%) 등으로 요율을 인상2)했기 때문이다. 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 포함)도 2016년 101,261원에서 2021년 138,536원으로 36.8%가 증가했는데, 이는 고령화로 인한 의료비 지출증가, 보장범위 확대 영향으로 요율을 인상3)했기 때문이다. 참고로 2022년에도 고용보험료와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요율이 각각 0.1%p, 0.1%p, 0.7%p 인상돼 근로자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 주2) 고용보험료 요율 ’16년 0.7% → ’20년 0.8%(0.1%p↑)
* 주3) 건강보험료 요율 ’16년 3.1% → ’21년 3.4%(0.3%p↑), 장기요양보험료 요율(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16년 6.6% → ’21년 11.5%(4.9%p↑)
밥상물가 상승률 OECD 37개국 중 8위, 작년에는 5위 기록
밥상물가로 불리는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상승도 근로자의 체감임금을 감소시켰다. 5년간(2016~2021년) OECD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상승률은 17.6%로 37개국4)중 8위를 차지했다. 특히, 2021년 한국의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상승률은 5.9%로 OECD 5위를 차지해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주4) OECD 회원국 38개국 중 통계가 집계되지 않은 뉴질랜드 제외
임금 인상보다 2.4배 오른 집값(41.7%)도 무주택 근로자 부담 가중...
서울 전세 구하는데도 11.6년 걸려...
무주택 근로자들에게는 큰 폭으로 상승한 집값도 부담이다. 5년간(2016~2021년) 한국부동산원(아파트중위 매매 및 전세가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국 아파트중위매매가격은 2016년 2억6천만원에서 2021년 3억7천만원으로 41.7%나 증가했고, 같은 기간 전세가격은 1억9천만원에서 2억5천만원으로 29.4% 올랐다.
특히 서울 집값은 더 가파르게 상승했다. 2016년 대비 2021년 매매가는 77.8%, 전세가는 43.1%나 상승 하다보니, 근로자가(2021년 월임금 365.3만원 기준) 한푼도 쓰지 않고 돈을 모아 집을 사는데 걸리는 기간은 2016년 11.8년에서 2021년 21.0년으로 9.2년이나 증가했고, 전셋집을 구하기 위해서는 2016년 8.1년에서 2021년 11.6년으로 3.5년이나 증가했다.
성실근로자 부담 완화 위해 소득세 물가연동제 도입 및 사회보험 개혁 필요
한경연은 근로자 부담 완화 및 근로의욕 제고를 위해 “차기 정부에서는 물가에 따라 자동적으로 과표구간이 조정되는 소득세 물가연동제5)를 도입하고, 부정수급 방지 등 사회보험 지출구조 합리화를 통해 요율 인상을 억제하고, 집값 안정화 등 물가 안정에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주5) 소득세물가연동제: 근로소득세 과표구간, 세율, 각종 공제제도 등을 물가에 연동시켜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제도로 OECD 회원국 19개국(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 시행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과도한 근로소득세 및 사회보험 부담은 근로자의 가처분소득을 감소시켜 소비여력을 축소시키는 요인이 된다”며, “소득세제 개선과 물가안정을 통해 근로자의 가처분소득이 증가하면 소비진작을 통한 내수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연구원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016∼2021년 고용노동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근로자 임금은 평균 17.6% 늘었지만, 근로소득세와 사회보험료는 39.4%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 봉천13구역, 13년 만 LH 공공재개발로⋯
- 이런!...“차라리 본사를 미국으로 옮기⋯
- 코로나19 피해 기업 손실보상제도의 실⋯
- HDC현대산업개발, 안양 관양동 현대아파⋯
- 고속도로 7개 노선 추가한다 [인천광역시]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