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한잔 괜찮다고요?...천만에..." 강북삼성병원 ㅣ 혼술 급증하는 한국 - 파이낸셜타임스 Koreans turn to solo soju sessions as pandemic tightens its grip

 

강북삼성병원 성은주·고현영 교수팀

 

술에는 다양한 발암물질 있어

 

    가벼운 음주도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성은주·고현영 교수와 코호트연구센터 류승호·장유수 교수팀은 2011~2015년에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약 33만 명의 결과를 2017년까지 추적 및 분석한 결과, 가벼운 음주도 암으로 인한 사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최근 밝혔다.

 

암 사망 위험, 평생 비음주자 1.67배

 

연합뉴스 edited by kcontents

 

연구팀은 음주량과 암 사망률의 보다 명확한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평생 비음주자 ▶과거 음주자(과거에는 음주했으나 현재는 음주하지 않는 사람)로 ▶하루 알코올 0.1g 이상 10g 미만 음주자 ▶하루 10g 이상 20g 미만 음주자 ▶하루 20g 이상 40g 미만 음주자 ▶하루에 40g 이상 음주자로 분류하고 평생 비음주자 기준으로 음주량과 암 사망 위험에 대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수행했다. 알코올 10g은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으로 표준잔 1잔에 해당한다.

 

“술에 든 다양한 발암물질 등 때문일 수도”

그 결과 이들 각각의 암 사망 위험은 평생 비음주자 기준으로 과거 음주자는 2.75배, 하루 0.1~10g 음주자는 1.67배, 하루 10~20g 음주자는 2.41배, 하루 20~40 음주자는 2.66배, 하루 40g 이상 음주자는 2.8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거에 음주 경험이 있는 경우 사망률이 증가했다. 연구팀은 “과거 많은 연구에서 평생 비음주자와 과거 음주자를 구별하지 못해 저용량 음주에서의 보호 효과가 관찰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소량의 알코올 섭취군도 평생 비음주자보다 암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를 진행한 성은주 교수는 “가벼운 음주라 할지라도 술에 포함된 다양한 발암물질 등이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높이는 원인일 수 있다”며 “특히 한국인의 경우 알코올 분해효소, 즉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가 없는 사람 비율이 높은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암센터 가이드라인에서도 하루 한두 잔의 소량 음주도 피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다만 연구팀은 과거 음주자가 소량의 음주자보다 위험률이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과거 음주자의 경우 술을 끊기 전까지 이미 많은 양의 술을 마셔서 소량 음주자보다 누적된 알코올 소비량이 클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술을 끊는 것보다 소량의 음주가 낫다고 결론지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고현영 교수는 “소량의 음주도 절대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 만큼 가벼운 음주 또한 건강을 위해서는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게재됐다.

류장훈 기자 jh@joongang.co.kr 중앙일보

 

"얘기는 안 하고 술만 마셔요"

 

   대유행의 지배력 강화에 따라 한국인들은 혼술로 눈을 돌리고 있다.

혼자 술 마시는 것은 알코올 브랜드를 자극하지만 우울증과 자살에 대한 불안감을 유발한다.

 

ft.com

 

(Source: https://www.ft.com/content/7b4cabda-0278-4929-9899-4d064c983907)

 

한국의 공동 음주 문화는 수세기 동안 정교한 위계적 에티켓과 과잉으로 특징지어져 왔다.

 

그러나,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이 계속됨에 따라, 이러한 뚜렷한 집단 관습은 새로운 경향인 홈술, 즉 집에서만 술을 마시는 것으로 바뀌어 가고있다.

 

기록적인 정부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내수 회복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경제에서 술의 판매 증가는 판매자 입장에서는 환영 받고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고립은 가뜩이나 높은 우울증과 자살률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서울에 본부를 둔 인류학자 모현주씨는 전세계 사람들이 비슷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지만, 서울의 이미 극단적인 음주 문화는 더 "위험하게" 성장했다고 말했다.

 

"얘기는 안 하고 술만 마셔요."라고 그녀는 말했다.

 

보건 당국자들이 전염성이 높은 델타 변이의 전염에 맞서 싸우기 위해 안간힘을 쓰면서 한국은 이번 주 전염병 발생 이후 가장 강력한 봉쇄 조치를 취했다.

 

황기철 콘페이퍼 에디터

Ki Chul Hwang Conpaper editor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