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연금제도가 이 정도 밖에 안되나...39개국 중 31위 - MMGPI 보고서

 

청년들, 자신들 은퇴하면 제대로 된 연금 받기 힘들다고 생각

 

   한국 연금제도가 전세계 주요 39개국 중 31위를 차지해 남미 콜롬비아와 브라질보다 낮은 평가를 받았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2030세대가 나이든 세대를 부양만 할 뿐 정작 자신들이 은퇴하면 제대로 된 연금을 받기 힘들다는 청년들 한숨이 쌓여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이 이주민을 받아들여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려는 것은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와 눈길을 끌었다. 개인의 소득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세금 인센티브(혜택)가 효과적이라는 분석도 딸려 나온다.

 

https://www.mercer.com.au/our-thinking/global-pension-index.html#contactForm edited by kcontents

 

 

20일(현지시간) 호주 소재 글로벌 컨설팅업체 머서가 발표한 '2020 글로벌 연금 지수(MMGPI)'조사 보고서를 보면, 한국 연금제도는 50.5점(C등급)을 받아 39개국 중 31위에 그쳤다. C등급은 '현재 상태는 양호하지만 중대한 리스크가 있어 개혁 없이는 장기적으로 지속하기 힘든 상태'를 말한다. 한국은 작년에 49.8점(D등급)을 받아 37개국 중 29위를 기록했었다. 이번에 등급이 한 단계 올라서기는 했지만 순위가 사실상 그대로이고 C등급 내 꼴찌라는 점에서 아직은 낮은 평가다.

 

일본과 중국은 한국에 이어 각각 32위와 33위를 차지했다.

 

자료 출처=머서(MERCER)

 

 

두 나라 연금제도는 C등급 바로 아래 D등급이다. 1위는 네덜란드가 3년 연속 자리를 지켰고, 2위는 덴마크다. 1~2위만 A등급에 속했다. 덴마크는 2017년까지 6년 연속 1위를 차지하다가 2018년 이후 네덜란드에 자리를 내준 바 있다. 한편 미국(C+등급)은 18위를 차지했고 한국과 같은 C등급에서는 콜롬비아가 21위, 브라질이 25위를 차지했다. 꼴찌는 D등급에 속한 태국이다.

 

머서는 각 국 연금제도를 크게 세 상위 항목으로 나눠 점수와 등급을 매긴다. △연금 제도의 지속가능성(가중치 35%)은 연금 커버리지·전체 자산·인구 구조·공적 지출·정부 부채·경제 성장률 △연금액의 적정성(40%)은 연금 혜택·저축·정부 지원·가계 기여·연기금 자산 성장성 △사적연금제도의 완결성(25%)은 규제·거버넌스·커뮤니케이션·운영 비용 등으로 구성된다. 한국은 지속가능성(53.4점 ·해당 항목18위)이 가장 점수가 높았고 적정성(48점·32위)과 통합성(50.4점·34위)은 상대적으로 뒤쳐졌다.

 

 

머서의 데이비드 녹스 수석파트너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직접세 혜택을 언급했다. 녹스 수석 파트너는 "각 국 연금제도는 체계가 서로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고 사람들의 생애 주기 소득 흐름을 보면 한국과 호주는 특히 직접적인 세제 혜택이 개인의 소득 흐름을 개선하는 경향이 있다"고 평가했다. 또 저출산과 관련해 "만 15~64세 연령층의 65세 이상 부양 부담률은 일본(74%)과 한국(73%)이 두드러지게 높아 심각한 상황이며 남아프리카공화국(15%)과 대조된다"면서 "한국과 일본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는 단기적으로는 외국인을 받아들이는 이민 정책을 통해 버틸 수 있어도 장기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세계 전반적으로는 20개국의 연금제도 점수가 작년보다 떨어졌다. 중국발 코로나바이러스19(COVID-19)에 따른 경제 타격 탓에 각국 정부 부채가 늘어나고 연금 기여금이 줄어든 데 따른 결과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속에 각 국 정부가 부양책 돈다발 풀기에 나선 것에 대해 녹스 수석 파트너는 "정부가 바이러스 대유행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 재정을 늘리면 가까운 미래에는 연금을 비롯한 공공 혜택이 그만큼 줄어들게 될 것"이라면서 "이는 사람들이 더 낮은 수준의 은퇴 생활에 만족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한국 사회는 저출산·고령화 여파 탓에 내년부터 인구가 '감소'단계에 들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가 현재 60세인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지만 이해 관계자들 이견이 큰 데다 공무원·군인연금 개혁 문제도 쌓여있어 개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코로나19 부양책도 필요하지만 공공부채 급증에 따른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김인오 기자] 매일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