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민간건축물 안전관리에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융합 기술 전국 최초 도입 [서울시]

 

 

「블록체인 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구축…디지털·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건축물에 IoT센서 부착 → 기울기·균열 실시간 측정·모니터링 → 위험감지 경보알림

 

안전사고 선제적 대응, 데이터 위변조 원천 차단돼 투명한 이력관리, 정확성·보안 강화

올해 12월 46개 시범 적용 시작으로 '22년 서울 전역 824개 노후 건축물 전면 적용

 

  현재 서울시내에는 안전등급이 낮아 재난위험시설로 지정·관리되거나, 지은 지 30년이 경과한 노후 건축물 등이 824개(동) 있다. 육안·장비 등을 통해 안전점검을 해오고 있다.

 

서울시가 이런 노후 민간건축물 안전관리에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IoT) 융합 기술을 전국 최초로 도입해 위험요소를 실시간 자동으로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다. 「블록체인 기반 위험 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이다. 12월부터 가동한다.

 

 

그동안 사람이 일일이 점검하던 현장·인력 중심의 건축물 안전관리를 넘어 디지털·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해 나간다는 목표다.

 

건물에 IoT 센서를 부착해 기울기·균열 데이터를 실시간 측정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이 데이터를 저장·분석해 정확성을 검증하고 구조물의 이상변화도 분석해 위험을 감지한다. 위험이 감지되면 자치구·건물소유자에게 경보알림이 문자로 전송돼 사전에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다.

 

서울시·자치구·건물소유자는 PC·스마트폰으로 구조물 상태 정보, 실시간 데이터를 언제든 상시 모니터링·조회할 수 있다. 

 

 

특히 건축물 안전관리에 IoT가 조금씩 도입되고 있는 단계이지만 블록체인과 IoT가 융합·활용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블록체인’ 기술로 위·변조가 원천 차단돼 데이터의 투명한 이력관리가 가능하고  정확성과 보안성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블록체인 기술은 네트워크 참여자가 공동으로 데이터 이동을 기록·검증·보관·실행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데이터의 투명한 이력 관리가 가능하고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기존 IoT 데이터는 보안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데이터 위·변조 검증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 우려가 있어왔다. 

 

서울시는 이번 플랫폼이 가동되면 위험상황을 사전에 인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투입되는 인력‧시간 대비 즉각적·효율적으로 데이터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투명한 이력관리로 각종 안전사고의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고, 그로 인한 분쟁, 안전관리 대책 수립에 근거자료로도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플랫폼의 관리 대상은 ▴재난위험시설로 지정·관리되는 위험건축물(D‧E급) ▴30년이 경과한 소규모 노후 건축물(미흡‧불량 등급) ▴옹벽·인공 비탈면 같은 주택사면(D‧E급)이다.

 

위험건축물 : 「재난안전법」에 의해 재난위험시설로 지정‧관리돼 오던 건축물이다.

소규모 노후 건축물 : 「건축물관리법」 제15조에 의해 안전점검 의무대상이 아닌 30년 경과 건축물이다.

 

주택사면 : 건축 행위로 인해 생성된 옹벽 및 인공 비탈면을 의미한다.

※ '21. 5월 기준 현황: 위험건축물(120동), 소규모 노후 건축물(598동), 주택사면(106개)

 

시는 우선 올 12월 약 46개(동)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고, '22년부터는 서울 전역에 있는 824개('21.5. 기준) 노후 민간건축물 전체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대상을 자치구별로 선정해 건축물소유자의 사전 동의를 거친 후 시행한다. 

 

서울시는 올 9월부터 중랑구를 시작으로 25개 자치구에 있는 약 46개 노후 민간건축물에 IoT 센서를 부착한다. 이후 11월까지 플랫폼 구축을 완료한 후 12월부터 본격 운영한다. 디지털 기반 건축물 안전관리체계가 각 자치구에 선제적‧안정적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서울시 「블록체인 기반 위험 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인터넷진흥원 주관 ‘2021 블록체인 시범사업’에 선정돼 추진하게 됐다. 국비가 지원되고, 민간이 기술적인 협력을 함께해 완성도를 높인다. SKT는 IoT 센서 관련 기술을 지원하고, 방재시험연구원은 건축물의 이상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한다.

 

 

  

‘2021 블록체인 시범사업’ 공모기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인터넷진흥원이다. 사업 수행은 ㈜시티랩스, ㈜지노시스, 싱크제너레이터, 방재시험연구원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담당한다.   

 

  

시티랩스는 블록체인을 개발하고 사업을 총괄한다. 지노시스는 IoT플랫폼 앱·모니터링을, 싱크제너레이터는 IoT센서를 개발한다. 방재시험연구원은 위험구조물의 전조·특성을 분석해 단계별로 세분화된 위험감지 지표를 마련하고, 그에 따른 안전관리 가이드라인을 수립한다.

  

SKT는 initial(이니셜) DID(디아이디, Decentralized Identifier, 분산신원확인) 기술을 지원해 IoT 센서에 사물 DID를 구현한다. DID는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시 위변조 가능성을 없애고 데이터가 해당 건물에서 발생했는지를 검증하는 기술이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사회 전반적인 영역에서 4차 산업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서울시도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맞춰 건축물 안전관리에 신기술을 선도적으로 도입·적용해 시민들이 신뢰할 수는 건축행정을 구현해 나가겠다. 「블록체인 기반 위험 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이 민간건축물 안전관리에 예측 가능성을 높여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시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