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배신감과 무능에 대한 비호감...3040 콘크리트 文 지지층 붕괴된다


부동산 대재앙… 3040 콘크리트 文 지지층이 흔들린다


    지난 6월 17일 현 정부의 21번째 부동산 대책 이후 오히려 집값이 폭등하고 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 실수요자 돈줄이 막히면서 3040세대의 불만이 쏟아졌다.


그러자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7월 6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지금 최고의 민생 과제는 부동산 대책”이라며 “최선을 다해 주거 안정을 위한 대책을 강력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도 지난 7월 3일 당 회의에서 “최근 부동산시장이 매우 불안정해서 국민 여러분께 대단히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이 대표는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을 신속히 마련하겠다”며 “송구하다”는 말을 두 차례 반복했다. 이 대표가 현안에 대해 빠르게 사과 메시지를 낸 것은 이례적이다. 부동산 폭등으로 인한 민심 이반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지지율 훨씬 하단

지지층이 있기는 한가

(에스앤에스편집자주)


연합뉴스

edited by kcontents


3040서 20~30%씩 지지율 하락

실제로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여론은 부정적이다. 리얼미터의 7월 6일 발표에 따르면 ‘6·17 부동산 대책 후 문 대통령이 다주택자 세부담 강화 등 후속 조치를 주문한 것이 효과가 있겠는가’란 질문에 효과가 ‘없을 것’(49.1%)이란 응답이 ‘있을 것’(36.8%)보다 높았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도 한국갤럽 조사에서 지난 5월 첫째 주에 71%로 정점을 찍은 후 5주 연속 하락해서 7월 첫째 주엔 50%로 폭락했다.




문 대통령에 대한 부정 평가 이유로는 ‘부동산 정책’이란 응답이 10%로 ‘북한 관계’(16%), ‘경제·민생’(12%)에 이어 3위였다. 6월 첫째 주 조사에선 문 대통령 부정 평가 이유로 ‘부동산 정책’이 1%에 불과했지만 한 달 만에 9%포인트나 올랐다.


특히 문 대통령 지지율 하락폭이 컸던 연령층은 3040세대였다. 지난 5월 초에 비해 대통령 지지율은 30대(82→55%)와 40대(85→64%)에서 20~30%포인트나 추락했다. 이들의 지지율 낙폭은 20대(66→50%)와 50대(68→49%)에 비해 훨씬 컸다. 이로써 현재 문 대통령 지지율은 30대(55%)와 40대(64%)의 경우 지난 4월 총선 당시의 70%와 69%에 비해서도 밑돌고 있다.


정부와 여당의 가장 강력한 기반인 3040세대는 이른바 ‘콘크리트 진보층’으로 불릴 정도로 여권(與圈)에 대한 지지가 견고했다. 전문가들은 “3040세대는 김대중·노무현 정권 때 중·고생과 대학생 시절을 경험하면서 민주당 친화적인 정치 성향이 각인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다.


김지연 케이스탯리서치 대표는 “3040세대는 월드컵 이후 ‘노사모 열풍’으로 노무현 대통령 당선을 만들어낸 시대적 경험에 의해 ‘노무현 향수’가 여전히 남아 있다”며 “진보 정권이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그래도 보수 정권 때보다는 낫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조일상 메트릭스 대표는 “보수 정치권은 과거 이승만과 박정희가 이룩한 건국과 산업화의 가치를 강조하지만, 이를 ‘꼰대 이야기’ 정도로 흘려듣는 3040세대가 많다”며 “보수 정치권에 대한 이들의 비호감으로 인해 현 여권이 얻는 반사이익이 크다”고 했다. 얼마 전 한국갤럽 조사에서도 미래통합당에 ‘호감이 간다’는 응답이 30대는 14%에 불과했고 ‘호감이 가지 않는다’가 77%에 달했다. 40대도 ‘호감이 간다’가 12%였고 ‘호감이 가지 않는다’가 80%였다.


하지만 부동산 문제에 대한 3040세대의 불만과 관련해선 여권에서도 “심상치 않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국민적 분노와 박탈감이 상당한 상황”이라며 “주택 자금 대출이 막힌 3040세대의 반감이 엄청나다”고 했다.


여권에선 “핵심 지지층인 3040세대 민심이 바닥부터 출렁이고 있다”며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대통령 지지율 추락을 막을 수 없다”는 위기감이 퍼지고 있다.


이미 지난 6월 초 갤럽 조사에서 30대는 ‘현 정부가 부동산 정책을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가 23%에 불과했고 ‘잘못하고 있다’가 47%로 훨씬 높았다. 40대도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긍정 평가(29%)에 비해 부정 평가(41%)가 더 높았다. ‘향후 1년간 집값 전망’도 30대는 ‘오를 것’(46%)이 ‘내릴 것’(22%)보다 높았고, 40대도 ‘오를 것’(39%)이 ‘내릴 것’(26%)보다 높았다.


작년 6월 갤럽 조사에선 집값이 오를 것이란 전망이 30대는 32%, 40대는 25%였지만 1년 만에 3040세대에서 집값 상승 전망이 더 높아졌다. 그만큼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는 의미다.




3040세대는 경제 전반에 대한 불안감도 크다. 6월 넷째 주 갤럽 조사에서 향후 1년 경기 전망을 묻는 질문에 ‘좋아질 것’이란 전망이 30대와 40대는 각각 13%와 12%에 불과했다. 반면 ‘나빠질 것’이란 부정적 전망은 각각 54%, 53%로 3040세대 모두 과반수였다.


정치권과 여론조사 전문가들이 3040세대 민심에 주목하는 이유는 여권의 콘크리트 지지층이던 이들의 지지가 흔들릴 경우 정권이 레임덕에 급속히 빠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 정부 들어 3040세대는 20대 및 5060세대와 달리 여권에 대형 악재가 터져도 웬만하면 지지를 보내는 이른바 ‘묻지마 지지’ 성향을 보였다. 지난해 정국을 뒤흔들었던 ‘조국 사태’에서도 3040세대의 문 대통령 지지율은 60% 안팎을 유지하며 대통령 지지율을 안정화하는 ‘안전판’ 역할을 했다.



부동산 배신감과 무능에 대한 비호감

하지만 내 집 마련을 포기하고 전셋값도 감당하기 어려워지면서 “이번 생은 망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3040세대의 좌절감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 문제가 민심 이반으로 이어질 수 있는 휘발성 강한 이슈란 것은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더구나 정부 고위 인사들이 ‘1주택’ 방침을 따르지 않거나, 서울 강남 집은 놔두고 지방의 아파트를 파는 이른바 ‘똘똘한 한 채’ 논란은 민심을 더욱 악화시켰다.




최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발표에 따르면 민주당 의원 42명이 다주택자이며, 이 중 9명은 지난 4년 사이 올린 시세 차익이 총 45억원에 달했다. 정부와 여당이 투기 억제 정책을 내놓으면서도 여권 인사들은 집으로 돈을 버는 ‘부동산 내로남불’이 성난 여론에 기름을 부은 꼴이 됐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3040세대가 진보 여권에 쏠렸던 이유는 탄핵 이후 보수 야권의 무능에 대한 비호감 때문”이라며 “하지만 부동산 문제와 관련한 배신감과 여권의 무능에 대한 비호감이 커질 경우엔 정국 운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했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은 “3040세대가 등을 돌리고 문 대통령의 지지율 40% 선이 위협받는다면 여권으로선 레임덕을 걱정하게 된다”며 “정권의 리더십 위기는 내후년 대선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했다.

홍영림 조선일보 여론조사전문기자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10/2020071003556.html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