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득자 절반 이상이 50세인 이 국가기술자격증...취업률 높아
[개관]
산림 분야는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어 산림 생태계를 보호하고, 산림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국가기술자격으로 산림기술사, 산림기사, 산림산업기사, 산림기능사 4개 자격이 있다.
식물보호 분야는 식물이 가장 잘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국가기술자격으로 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산업기사 자격이 있다. 환경일보
산림·식물보호 기술자격
60대 이상 취업률 70%
퇴직 후 재취업을 원하는 50대들이 산림 및 식물보호 분야 국가기술자격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자격 취득자의 절반 이상이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오는 5일 식목일을 맞아 산림 및 식물보호 분야 국가기술자격 6개 종목에 대한 응시 및 취득 현황(2023년 기준)을 3일 발표했다.
산림기술사, 산림기사, 산림산업기사, 산림기능사 등 4개 자격과 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산업기사 등 2개 자격이다.
공단이 실시한 자격취득자 설문조사 결과, 해당 분야 취득자의 55.9%가 50대 이상으로 나타났다.
식물보호기사를 제외하고 모든 자격에서 50대 이상이 가장 많이 취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시 당시 경제활동 상태를 보면 재직자(임금근로자)가 36.6%로 가장 많았다.
응시목적은 '취업'이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0대 이상 재직자가 퇴직 후 재취업을 목적으로 해당 분야 자격을 취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취업률도 높게 나타났다. 2023년 취득자의 2024년 기준 취업률을 보면 50대가 48%, 60대 이상은 69.6%로 집계됐다.
아울러 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 응시인원이 최근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응시인원은 1만6817명이었는데, 지난해 2만681명까지 연평균 증가율이 5.4%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 산림보호법 개정으로 '나무병원' 및 '나무의사' 제도가 도입된 것에 따른 현상으로 보인다.
해당 제도에 따라 나무의사가 아니면 수목 진료행위를 할 수 없게 됐다

이우영 공단 이사장은 "식목일을 맞아 친환경, 지속 가능한 성장에 기여하는 산림 및 식물보호 분야 국가기술자격 동향을 발표했다"며 "공단은 앞으로도 다양한 산업 분야에 도움이 되는 국가기술자격제도를 운영해 자격증 르네상스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권신혁 기자 innovation@newsis.com
식물보호기사 산림기사 응시자격 만들어야되는 이유, 취업분야 정리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