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껌 씹을 때 미세플라스틱 나온다"...만성 질환에 영향 Microplastics linked to 3 chronic diseases — and now they’ve been detected in gum
[개관]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마시는 물 , 먹는 음식 , 호흡하는 공기 를 통해 매주 엄청난 양의 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이 위험한 얼룩은 폐, 간, 신장, 심장 , 혈액, 고환 , 모유를 포함한 신체 전체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평균적인 뇌에는 한 스푼 의 미세 플라스틱이 들어 있다고 합니다. 껌은 고무 베이스, 감미료, 향료의 세 가지 주요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천연 껌은 치클이나 나무 수액과 같은 식물성 재료를 베이스로 사용하는 반면, 합성 껌은 석유 기반 고무에 의존합니다.UCLA 박사과정 학생인 리사 로우는 "저희의 초기 가설은 합성 고무가 기본이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미세 플라스틱이 훨씬 더 많을 것이라는 것이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nypost.com
미세 플라스틱에 더 많이 노출될수록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유병률 높아져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를 이용해 만든 껌을 씹을 때 한 개에 수백~수천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떨어져 나와 섭취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6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샌제이 모한티 교수팀은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화학회 춘계학술대회(ACS Spring 2025)에서 천연·합성 껌을 씹을 때 얼마나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예비 연구에서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Asian Trader
Microplastics linked to 3 chronic diseases — and now they’ve been detected in gum
https://nypost.com/2025/03/25/health/microplastics-found-in-chewing-gum-as-health-concerns-mount
edited by kcontents
이번 연구 결과는 껌을 씹을 때 미세 플라스틱을 직접 섭취하게 돼 잠재적으로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모한티 교수는 “이 연구는 사람들을 불안하게 하려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과학자들은 미세플라스틱의 안전 여부는 모르지만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에 노출돼 있다는 것은 안다”고 덧붙였다.
껌은 세계적으로 막대한 양이 소비되고 있으나 미세플라스틱의 잠재적 공급원으로서 껌에 대한 연구는 널리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게 연구팀의 지적이다.
껌은 보통 고무 베이스와 감미료, 향료, 기타 성분으로 만들어진다. 천연 껌 제품은 치클이나 다른 나무 수액 같은 식물성 폴리머를 사용하며, 다른 제품은 석유 기반 폴리머로 만든 합성 고무 베이스를 사용한다.

nypost.com edited by kcontents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시중에서 판매되는 합성 껌 5개 브랜드와 천연 껌 5개 브랜드를 실험 참가자에게 씹게 한 다음, 타액 샘플을 채취해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되는 속도와 양 등을 측정했다.
그 결과 껌 1g당 평균 100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껌에서는 1g당 최대 637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되기도 했다.
연구팀은 이는 무게가 보통 2~6g인 껌 하나에서 최대 3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올 수 있다는 의미라며 연간 160~180개의 작은 껌을 씹는다면 연간 수만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부분 미세플라스틱은 껌을 씹은 후 처음 2분 이내에 방출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전체 미세플라스틱의 94%가 껌을 씹은 후 8분 안에 방출됐다.
연구팀은 껌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나오는 것은 타액 속 효소 때문이 아니라 씹을 때 강한 마모성 때문이라며 미세플라스틱 노출 가능성을 줄이려면 새 껌을 씹는 것보다 한 조각을 오래 씹는 게 나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모한티 교수는 이 실험에서는 20㎛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은 기기와 기술 한계로 식별이 어려웠고 훨씬 작은 입자는 검출되지 않았을 수 있다며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 플라스틱 방출 가능성을 평가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Microplastics linked to 3 chronic diseases — and now they’ve been detected in gum
https://nypost.com/2025/03/25/health/microplastics-found-in-chewing-gum-as-health-concerns-mount
k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