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사회적 불안 높은 사람...“이기적" Social anxiety can diminish prosocial motivation, study finds

 

타인보다 자신만 생각해

다른 사람을 위한 행동에 참여하려는 동기 낮아

 

  사회적 불안 일상생활에서 판단 받거나, 당혹스러워하거나, 부정적으로 평가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특징으로 한다. 사회적 불안이 있는 사람들은 종종 사회적 상호 작용을 피하거나 상당한 고통을 겪으며 견뎌낸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불안을 유발하는 상황에는 대중 연설, 새로운 사람 만나기, 관찰당하는 동안 작업 수행 등이 있다.

 

그런데《임상 및 건강 심리학 국제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불안이 심하면 친사회적 행동에 참여하려는 동기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ocial anxiety can diminish prosocial motivation, study finds

https://www.psypost.org/social-anxiety-can-diminish-prosocial-motivation-study-finds

edited by kcontents

 

 

연구진은 두 가지 실험을 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사회적 불안이 높은 대학생 37명과 사회적 불안이 낮은 대학생 36명이 참가했다. 그들의 평균 연령은 약 20세였다. 각 참가자는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도록 설계된 80개의 시행으로 이루어진 두 블록을 완료했다. 한 블록은 사적인 환경(즉, 참가자가 헤드폰을 착용한 채 방에 혼자 있는 경우)에서 진행됐고, 다른 블록은 두 명의 관찰자(남성 한 명과 여성 한 명)가 있는 공공 환경에서 진행됐으며, 헤드폰 대신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피드백이 제공됐다.

 

각 블록 내에서 절반의 시도는 참가자들에게 개인적 이익을 위해 노력하도록 요구했고, 나머지 절반은 다른 사람(가상인이지만 참가자들은 이를 알지 못했다)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도록 요구했다. 노력 기반 과제는 5초 창 내에 가능한 한 빨리 키보드의 ‘Q’ 키를 반복해 눌러서 더 많은 금전적 보상을 얻는 것이었으며, 키 누름 횟수에 따라 보상이 결정됐다. 참가자들은 노력이 필요 없는 기본 결과를 수락하거나 키 누름 과제에 참여할 수 있었다. 키 누름 횟수는 노력의 지표로 기록됐다.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참가자들은 뇌파(EEG) 장치를 착용했다.

 

같은 참가자들이 비슷한 절차로 두 번째 실험에 참가했다. 이번에는 보상을 얻는 대신, 손실을 막는 데 집중하도록 했다. 참가자들이 노력을 하지 않기로 선택하면, 시도에 따라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90센트의 손실이 발생했다. 5초 이내에 가능한 한 많이 ‘Q’ 키를 누르면 손실을 최대 10센트까지 줄일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첫 번째 실험에서 사회적 불안이 높은 참가자는 다른 사람보다 자신을 위해 노력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반면, 사회적 불안이 낮은 참가자는 두 시나리오에서 모두 동일하게 노력했다. 그러나 노력을 기울일 때, 불안이 낮은 참가자는 다른 사람보다 자신을 위해 이득을 확보하는 데 더 성공적이었다. 반면, 사회적 불안이 높은 참가자는 자신과 다른 사람을 위해 이득을 확보하는 데 동일하게 좋은 성과를 보였다.

 

 

 

두 번째 실험은 모든 참가자가 다른 사람의 손실을 막는 것보다 자신의 손실을 막는 데 더 기꺼이 노력한다는 것을 보여줬다. 그러나 첫 번째 실험과 달리, 사회적 불안이 높은 참가자와 낮은 참가자 간에 손실을 피하기 위해 들인 노력의 양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진은 “사회적 불안은 개인의 친사회적 행동을 감소시키지만, 평가적 불안과 민감한 행동 목표는 어느 정도 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라며 “이러한 결과는 심리적 건강을 향상하고 더 건강한 사회적 상호 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사회 불안을 가진 사람은 땀, 떨림, 심장 두근거림 또는 메스꺼움과 같은 신체적 증상을 경험할 수도 있다. 이 상태는 일상생활을 방해해 관계를 형성하고, 직장에서 성공하거나, 사회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사회 불안은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에 발생하며, 치료하지 않으면 성인이 돼서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박주현 기자 코메디닷컴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