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라디바리우스(Stradivarius)와 과르네리(Guarneri del Gesu)는 무엇이 다를까 The Secret Of The Stradivarius and Guarneri

 

 

 

 

“수백년 동안 튜닝한 악기, 시간 지날수록 좋은 소리 들려줘”

희소 가치 때문에 가격 계속 올라

 

유명 연주자들, 과르네르 더 선호하는 경향

풍부한 소리 때문

 

명기 가치 소장자들이 올려 놓는 것

다른 악기와 별 소리 차이 안나 주장도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 "현대 바이올린이 더 낫다"

 

남성적이고 드라마틱한 소리를 지닌 과르네리에 비해 스트라디바리우스는 부드럽고 섬세한 소리를 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외형에서도 스트라디바리우스가 섬세하게 조각되고 다듬어진 반면, 과르네리는 거칠게 손질돼 나무의 결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네이버블로그 내마음의 풍차)

 

스트라디바리우스(Stradivarius)

 
Variety
스트라디바리우스(Stradivarius)와 과르네리(Guarneri del Gesu)는 무엇이 다를까 The Secret Of The Stradivarius and Guarneri
Variety

바이올린 ‘스트라디바리우스’는 바이올리니스트라면 누구나 꿈꾸는 명기(名器)다. 스트라디바리우스는 18세기에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마스터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1644~1737)와 그 일가가 만든 바이올린을 뜻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6~700여 대가 남아 있다고 하는데, 보존 상태가 좋은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은 몇십 억 원이 넘는 고가에 팔리기도 한다. 2006년 크리스티 경매에서는 스트라디바리우스 한 대가 354만 달러에 거래되었다.

 

 
핑커스 주커만 Pinchas Zukerman EUROARTS

 

 
예후디 메뉴힌
 

바이올린 ‘스트라디바리우스’는 바이올리니스트라면 누구나 꿈꾸는 명기(名器)다. 스트라디바리우스는 18세기에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마스터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1644~1737)와 그 일가가 만든 바이올린을 뜻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6~700여 대가 남아 있다고 하는데, 보존 상태가 좋은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은 몇십 억 원이 넘는 고가에 팔리기도 한다. 2006년 크리스티 경매에서는 스트라디바리우스 한 대가 354만 달러에 거래되었다.

 

 

과르네리(Guarneri del Gesu)

 
 
€4 million 1736 Guarneri 'del Gesù'thestrad.com

 

바이올린의 경우 스트라디바리우스, 아마티 혹은 과다니니와 더불어 올드 바이올린의 삼신기로 꼽힌다. 그 품질은 물론이거니와 주세페 과르네리가 40대의 젊은 나이로 죽었기 때문에 현재 전해 내려오는 악기가 전 세계에 150여 개밖에 없고, 거기다가 20~30개는 가짜로 추정되는 데다가 그중에서도 많은 수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기에 희소성까지 더해져 가격은 거의 부르는 게 값이다. 그 예시로 2010년, 1741년산 과르네리 비외탕(vieuxtemps)이 1600만 달러(약 179억 원)에 낙찰되어 바이올린 최고 경매가를 갱신했다. 사실 Vieuxtemps Guarneri del Gesu는 경매가 아닌 개인거래로 판매된 것인 듯하다.

 

 
위 바이올린은 니콜로 파가니니가 쓰던 1743년에 제작된 과르네리이다. 소리가 커서 '대포'란 뜻의 Cannone이란 별명이 붙었다 namu.wiki

스트라디바리우스와는 또 다른 개성의 뛰어난 사운드로 유명하며, 또한 스트라디바리우스를 이미 갖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들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그 엄청난 바이올린 연주 테크닉으로 인하여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넘긴 바이올리니스트'로 불렸던 니콜로 파가니니가 가장 아끼던 악기 역시 위 사진에 나오는 '캐논' 이라는 이름이 붙은 과르네리였다.

 

 

이외에도 야샤 하이페츠, 프리츠 크라이슬러, 아이작 스턴, 이작 펄만, 기돈 크레머, 핀커스 주커만, 장영주 등 내로라하는 연주자들이 사랑했던 악기이기도 하다. 명연주가였던 예후디 메뉴힌은 그의 스트라디바리 소일(Soil)을 이작 펄먼에게 팔고 과르네리 델 제수 로드 윌튼을 마지막으로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세종포스트
역시 과르네리를 보유하고 있는 사라장 위키백과

요요마는 250만 달러(약 30억 원)짜리 과르네리 첼로를 뉴욕 택시에 두고 내렸다가 경찰의 도움으로 되찾은 적도 있다고. 요요마는 몬타냐나 첼로와 뒤프레가 쓰던 스트라디바리 총 2대의 메인 악기로 연주하는데, 택시에 두고 내렸던 악기는 몬타냐나가 아닐까 싶다. 실제로 몬타냐나 첼로의 위상은 바이올린에서 델 제수가 차지하는 위상과 거의 대등하다. 또, 외신 기사들을 찾아보면 1733년산 스트라디바리 첼로를 택시에 놓고 내렸다는 기사가 많다.

 

명기 연구결과

 

스트라디바리우스의 연구결과

미국 테네시 대학의 학자들은 스트라디바리우스가 제작된 당시의 기후가 이 명기를 탄생시킨 열쇠라고 주장했다. 즉, 유난히 추웠던 18세기 당시의 날씨 때문에 악기 제작에 쓰인 나무의 나이테가 촘촘하고 나뭇결의 밀도가 높아졌고, 이 덕분에 소리의 스펙트럼이 균일하고 음정 변화가 거의 없는 명기가 제작되었다는 것이다.

 

 

텍사스 A&M 대학교의 생화학자인 조셉 네지바리 교수의 주장도 흥미진진하다. 스트라디바리와 그 제자들은 북이탈리아의 숲 속에 널리 서식하는 벌레로부터 바이올린을 보호하기 위해 바이올린 위에 일종의 화학물질인 도료를 발랐다. 네지바리 교수는 이때 사용된 도료들이 잡음을 제거하는 효과를 주어 스트라디바리우스 특유의 음색을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cen.acs.org

 

사용 나무

바이올린 소리는 현에서 나온 음파가 몸통에서 어떤 공명을 만들어냈느냐로 결정된다. 앞판은 결이 촘촘한 가문비나무, 옆판과 뒷판은 버티는 힘이 있는 단풍나무를 사용하는데 나무의 재질과 정교함 정도 두께 몸토에 칠한 도료 등에 따라 공명이 달라진다. (티스토리 상상의 다이어리)

 

3대의 명품 악기의 분석

3대의 명품 악기(1717년산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 1731년산 스트라디바리우스 첼로, 1741년산 과르네리 델 제수 바이올린)와 1840년산 그랑 베르나델 바이올린, 1769년산 헨리 제이 비올라에서 나무 샘플을 채취하였다. 비교를 위해 최근에 악기 제작용으로 사용되는 보스니아와 중부 유럽의 단풍나무에서도 샘플을 채취하였다. 연구팀은 이 샘플들을 고체 핵자기 공명장치(13C Solid-state NMR)와 푸리어 변환 적외선 분광장치(FTIR)로 정밀하게 분석해 보았다.

 

이 비교 연구를 통해 네지바리 연구팀은 악기를 가공할 당시의 화학처리, 즉 산화와 가수분해에 사용되었던 화학물질들이 나무의 성질에 변화를 주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사실 그전에도 스트라디바리우스에 사용된 도료가 비밀의 열쇠라는 주장은 여러 번 제기되었다. 그러나 체계적으로 도료의 성질을 연구하고,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으로 발표한 연구는 네지바리 교수팀이 처음이다.

 

 
asianscientist.com

 

재미있게도, 화학계는 네지바리 교수의 연구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악기제조업자들은 이를 별로 믿지 않는 눈치다. 즉, 스트라디바리우스만이 낼 수 있는 ‘천상의 음색’은 한두 가지 이유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수십, 수백 가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것이다. 악기제작자들은 ‘네이처’지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대해 “이 정도로 스트라디바리우스의 모든 비밀이 밝혀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스트라디바리는 진정한 천재였다. 과학이 어떤 질문에 대해서는 답을 줄 수도 있지만, 과학과 예술이 항상 같은 결론을 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네지바리 교수가 과학자인 동시에 직접 바이올린 제작사를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도 그의 연구에 대해 ‘무언가 사업적 동기가 있을 것’이라는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실제로 소리만 듣고 명기인지 구분하기 어려워

정말로 네지바리는 자신의 회사에서 제작한 바이올린이 스트라디바리우스나 과르네리에 버금가는 음색을 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그가 운영하는 바이올린 회사의 홈페이지(http://www.nagyvaryviolins.com/)에는 자신들의 연구결과를 보도한 ABC 뉴스, 크리스티안 사이언스 모니터, 디스커버 지, 디스커버리 채널, 사이언티픽 어메리칸의 보도 내용이 링크되어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2003년에 독일의 한 다큐멘터리 제작사가 600명의 청중을 대상으로 일종의 ‘블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했다고 한다. 스트라디바리우스와 네지바리의 회사에서 제작한 두 대의 악기로 실시한 이 블라인드 테스트의 결과, 600명의 청중 중에서 오직 57명만이 스트라디바리우스를 제대로 맞추었다고 전해진다. 이 정도면 두 악기의 성능이 거의 대동소이하다는 것이 네지바리의 주장이다. 한 인터뷰에서 그는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는 70, 80대에 그의 최고작품을 만들어냈다. 나는 이제 겨우 69세에 불과하다.”면서 화학연구를 통해 바이올린의 음색을 개선하는 일에 계속 정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과학향기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중 일부 발췌)

 

결론적으로 수 차례 블라인드 테스트를 거쳐 현대 바이올린이 더 낫다는 결과를 얻었다.

 

https://youtu.be/SXLOF-z5Zlk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