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무제, 기업 경영성과에 부정적" 한경연

 

주 52시간 근무제, 고용 증가 없이 기업 성과만 악화

 

「주 52시간 근무제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주 52시간 근무제, 고용 증가율에 미치는 영향 없어

제도 시행 후 총자산이익률(ROA) 약 0.82%p↓, 자기자본이익률(ROE) 약 3.01%p↓

 

   52시간 근무제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도입 취지와 다르게 고용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없고 경영성과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주 52시간 근무제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주 52시간 근무제 규제 완화 위한 노동개혁 추진해야, 제도적 보완도 필요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 효율성 제고 위해 단위/정산기간 확대할 필요

 

 
"주 52시간 근무제, 기업 경영성과에 부정적" 한경연
해럴드경제 edited by kcontents

 

주 52시간 근무제, 고용?생산성에 유의적 영향 없지만, 경영성과에는 부정적

보고서는 사업체패널조사(2017년, 2019년)를 기초로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s, DID)*을 사용해, 주 52시간 근무제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했다.

 

 

12년 만 한일 단독 정상회담...발표문 주요 내용...“한일 경제안보협의체 출범" VIDEO: 韓日首脳が

한일 정상회담 발표문 주요 내용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16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뒤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회담 결과를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반종빈

conpaper.tistory.com

 

* 이중차분법 (Difference in Differences) : 제도?정책 변화시기를 전후로 적용을 받는 집단(실험집단)과 적용을 받지 않는 집단(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정책의 순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

 

(동 연구에서는 주52시간 근무제 적용 전후 차이, 주52시간 적용집단과 미적용집단 차이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

 

분석 결과 주 52시간 근무제는 고용의 증가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취지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일자리를 나누는 효과가 나타나 고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었으나, 실증분석 결과 고용증가율은 음수값을 나타냈지만 비유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 52시간 근무제, 기업 경영성과에 부정적" 한경연

 

또한 주 52시간 근무제의 도입으로 근로시간이 단축되었으나, 기업의 생산성(1인당 매출액) 하락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이후 기업들이 대응 방식 변화, 제도의 장점 활용(자동화 및 최신설비에 대한 투자 증가,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근로자의 피로 완화, 근로시간 집중력 증대 등) 등으로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 저하에 대처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은 기업의 경영성과에는 부정적인 영향(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총자산이익률*은 약 0.82%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적인 수치로 분석되었다. 주 52시간 근무제는 자기자본이익률*에도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주 52시간제는 자기자본이익률을 약 3.01%p 감소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 총자산이익률 :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중

* 자기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자산-부채)으로 나눈 비율

 

 

일론 머스크, 캐시 우드의 대담한 트윗에..."1929년 대공황 직전 모습 언급" Elon Musk Reacts to Cathie Woo

충격으로 다가오는 세계 불황 디지털 자산 증권거래소에서 규제 심한 상대보다 악재에 더 잘 맞서 거의 모든 전문가 "더 심한 불황 올 것" 단언 현금화 중요 캐시 우드는 실리콘 밸리 은행 붕괴

conpaper.tistory.com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 주 52시간 근무제의 부정적 영향 상쇄에는 한계

보고서는 삼중차분법(Difference in defference in differences, DDD)*을 통해 주 52시간 근무제의 영향이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시행하는 기업체과 그렇지 않은 기업체 사이에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 분석방법(삼중차분법) : 주52시간 근로제 적용 전후, 주52시간 적용집단과 미적용집단,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 시행 집단과 미시행 집단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

 

분석결과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 운영 여부가 기업 성과(총자산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에 미치는 영향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52시간 근무제가 총자산이익률과 자기자본이익률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에서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 운영업체는 그렇지 않은 기업체에 비해 높은 수치(양의 계수값)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오차범위 내에서의 우위)

 

"주 52시간 근무제, 기업 경영성과에 부정적" 한경연
 

이에 대해 보고서는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는 주 52시간 근무제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여지는 존재하지만 유의적인 수치를 이끌어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향후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정책적 개선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밝혔다.

 

주 52시간 근무제의 제도 개편을 위한 노동시장 개혁 추진해야

보고서는 주 52시간 근무제가 고용 증가율에는 별다른(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면서 기업의 성과만 감소시키고 있어, 제도 개편을 통한 효율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추진 중인 노동시장 개혁을 조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의 경우도 단위기간 및 정산기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노동시장 개혁안에서 논의되고 있는 연장근로시간 단위를 주 단위에서 월, 분기, 반기, 연 단위로 확대하는 방안을 조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다만 연장근로시간 관리단위를 분기, 반기, 연 등으로 확대할 때 총 연장근로시간을 월 단위 대비 감축하는 것은 근로시간 유연화의 취지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경연 유진성 선임연구위원은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는 업계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향후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을 최대 1년으로 확대하고,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정산기간도 최대 1년으로 연장하는 제도개선을 추진하여 제도의 효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의 도입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 제도의 도입 절차에 대한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경연

 

yonhapnewstv.co.kr/news/MYH20230316009200641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