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법 제시한 미 핵물리학자..."콘크리트로 만들자"

 

[경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가 22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의 해양 방류 계획을 정식 인가했다고 교도통신과 지지통신이 보도했다.

 

논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법 제시한 미 핵물리학자..."콘크리트로 만들자"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해법]

 

“탱크 안에 있는 물(오염수)에는 어떤 게 들어있을까요. 답은 ‘모른다’입니다.”

 

미국 미들베리국제대학원의 페렝 달노키 베레스 교수는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발생한 오염수의 위험성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핵물리학자인 그는 PIF(태평양도서국포럼) 과학자 자문단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도쿄전력에서 4년여간 조사한 오염수 데이터를 받아 분석했다. 그는 “소형원자로를 연구하고 있어서 원전을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입장이 아니다”며 “과학자로서 편향되지 않는 객관적 시각을 가지려고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논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법 제시한 미 핵물리학자..."콘크리트로 만들자"

 

 

피지·호주·뉴질랜드 등 태평양 지역 17개 섬나라로 구성된 PIF는 최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물고기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안전성이 입증될 때까지 방류를 연기하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처리 과정을 거친 오염수의 방사능 수준은 해양 생물이나 인간에게 위협이 되지 않을 정도로 낮다며 올해 봄이나 여름에 방류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오염수는 일본 정부의 말대로 정말 안전한 걸까? 직접 오염수 데이터를 분석한 베레스 교수를 25일 인터뷰했다.

 

“오염수 정보, 불완전하고 일관성 없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데이터를 직접 분석했는데

“탱크 안에 정확히 어떤 오염수가 있는지 모른다는 게 문제다. 우리는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다. 도쿄전력의 오염수 추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불완전하고 부정확하며 일관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도쿄전력의 오염수 조사로는 안정성을 입증하는 데 부족하다는 뜻인가

“도쿄전력에서 측정한 탱크의 오염수 정보가 대표성을 갖기 어렵다고 느꼈다. 도쿄전력에서는 64개의 방사성 핵종을 측정하겠다고 밝혔지만, 공유된 자료를 보면 9개 핵종만 검사했다. 또, 탱크의 4분의 1에서만 측정했기 때문에 주로 바닥에 있는 고준위 슬러지(찌꺼기) 폐기물의 농도에 대해선 정보가 전무하다.”

 

 

“방류시 어업 우려…영향 굉장히 빠를 것”

논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법 제시한 미 핵물리학자..."콘크리트로 만들자"

일본 정부는 미국과 한국에서도 원전 운영 과정에서 삼중수소(트리튬)가 포함된 물을 바다에 방류하고 있다며 기준치 이하로 희석해 방류하면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는데

 

“중국과 미국, 한국의 원전들은 정상 운전 중에 방류하는 것이며, 후쿠시마의 경우 사고 이후 방류이기에 정상적인 운전 상황으로 볼 수 없다. 사고가 아직 지속 중인 가운데 방류하는 건 불필요한 위험 행동을 하는 것이다.”

 

예정대로 오염수를 방류했을 때 가장 우려되는 점은 무엇인가

“가장 우려하는 점은 어업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다. 태평양 국가들은 어업에 의존한다. 그런데 세슘-137이 검출된 참치가 후쿠시마 사고 후 채 1년도 안 돼서 미 샌디에이고 해역에 도달했다. 어류가 방사능을 흡수하고 움직이는 속도는 해류 이동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영향은 굉장히 빠를 것이다.”

 

논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법 제시한 미 핵물리학자..."콘크리트로 만들자"

 

방류 대신 제시한 3가지 해법은?

베레스 교수는 바다 방류 대신 3가지 해결책을 제안했다. ①내진 설비된 탱크에 오염수를 장기 저장해 방사성 물질이 붕괴할 때까지 기다리고 ②방사성 물질 여과 능력을 갖춘 굴 등 생물학적 방식으로 오염을 정화하고 ③콘크리트를 제작하는 데 오염수를 활용하자는 것이다.

 

오염수로 콘크리트를 만들면 해양 방류보다 안전한가

“(오염수에 포함된) 삼중수소는 측정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콘크리트 안에 흡수될 수 있다. 이것을 사람의 접촉이 거의 없는 교량 건축 등에 사용하자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국경을 넘어서는 문제를 야기하지도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일본은 제일 저렴한 방류를 선택했다.”

 

한국 정부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오염수를 방류했을 때는 일본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일본에 더 적극적인 자세로 대처해야 한다. 한국 정부 측에서는 도쿄전력에 추가로 많은 정보를 요청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지 이유를 물어야 한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중앙일보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