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 대상지 13곳 최종 선정
헬스케어·이동약자 모빌리티·안전기술 체감할 수 있는
2023년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 선정
6개 광역지자체 13개 대상지 선정… 총 109억원 지원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2023년에 추진할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 대상지 13곳*을 최종 선정하였다.
* 강원(강릉, 원주), 경남(밀양, 산청, 함안), 경북(영주), 광주(동구), 전남(목포, 무안, 순천, 함평), 전북(남원, 무주)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은 기 선정되어 시행중인 도시재생사업의 세부기능과 연계한 스마트서비스를 구축하여, 안전·소방, 교통, 생활·복지 등 주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지역문제를 개선하고 재생사업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사업으로, ‘20년부터 매년 15곳 내·외를 선정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BrhXB/btrUOQ4a60f/kn4Ia4kOV81zWCKWRIfs41/img.png)
이번 공모에서는 도시재생·스마트시티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12.16)에서 ‘도시재생사업 연계성’과 ‘서비스 지속가능성’ 등을 중점으로 평가하여, 최종 선정된 사업지에 총 사업비 109억원*(국비 62억원, 지방비 47억원)을 지원한다.
* (국고보조율)특별시40%,광역시및특별자치시50%,기타60%/사업지당최대5억
선정된 대상지의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① 헬스케어·스마트팜 서비스(강원 원주시)
강원 원주시는 주거지원형 사업(‘19년 선정)으로 모심과 돌봄사업으로 실버케어센터를 구축하고, 풍요로운 마을조성을 위해 소공원 및 열린 도심텃밭 조성사업 등을 진행 중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pwHms/btrUWSr8Tuu/LKDjL4t4h2b1RKmGscLAg0/img.jpg)
거섬시설 잉여공간에 헬스케어 플랫폼을 구축하여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프로그램 및 코칭활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팜서비스 등을 구축하여 도시재생기능 강화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② 이동약자 모빌리티 서비스(전북 무주군)
전라북도 무주군은 일반근린형 사업(‘21년 선정)으로 고령자 맞춤형 거점시설 조성 등을 통해 ‘행복한 100세 건강도시, 무주’를 조성 중이다.
![](https://blog.kakaocdn.net/dn/z9PaB/btrUOMm3AZm/gci3xMTH3fwm5w8f3z2KkK/img.jpg)
재생사업 테마와 연계하여 사업지내 이동약자 모빌리티를 대상으로 통합관제플랫폼을 구축하고, 시범사업을 통해 단계별로 지자체 전체로 확산을 위한 거점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③ 안전·복지 서비스(경남 산청군)
경상남도 산청군은 우리동네살리기 사업(‘18년 선정)으로 집수리 사업, 주차장 조성 및 가로정비 등을 통해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재생사업을 추진 중이다.
![](https://blog.kakaocdn.net/dn/rB6Fc/btrUVcdAdwY/BdU9a6NUhTycBglGmIWZrk/img.jpg)
재생사업지 내 건축물 157동(전체 87%)에 화재감지 및 긴급출동 서비스, 독거노인 40호에 AI기반 안심케어 서비스 및 안전 스마트폴 서비스를 구축하여 사업지 전반에 촘촘한 안전·복지망을 강화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김상석 도시재생사업기획단장은 “스마트기술은 안전한 지역환경 조성과 주민 편의 증진 등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활용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하여 지역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스마트서비스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 대상지
![](https://blog.kakaocdn.net/dn/vJP9z/btrUNVLoIOn/WJ6ENBBqwoHbdHwCdYrLd0/img.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