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성장률 하향 전망...모든 지표 안좋아" 한경연

더보기

Construction, Science, IT, Energy and all other issues
Search for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top search bar on  blog!

건설,과학,IT, 에너지 외 국내외 실시간 종합 관심 이슈 발행  
[10만이 넘는 풍부한 데이터베이스]
블로그 맨 위 상단 검색창 통해  유용한 정보를 검색해 보세요!

 

2022년 경제성장률 2.4%로 0.1%p 하향 전망

 

물가급등에 따른 소비심리 약화 및 주요국 경기둔화 폭 확대로 성장률 전망치 하향

  * 부문별 성장률 전망 : 민간소비 3.2%, 설비투자 △2.8%, 건설투자 △1.7%, 수출 4.1%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 원장 권태신)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인 2.4%로 전망했다. 당초 전망치인 2.5% 보다 0.1%p 낮은 수치다. 한경연은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2년 2/4분기』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교역여건 악화 및 물가급등에 대한 원활한 대처여부가 올해 성장률 핵심 변수

물가급등, 교역조건 악화 등으로 경기회복세 약화되며 성장률 전망치 하향

 

"한국 경제성장률 하향 전망...모든 지표 안좋아" 한경연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2.4%로 예상한 'KERI 경제동향과 전망 : 2022년 2/4분기' 보고서를 22일 발표했다.(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edited by kcontents

 

한경연은 물가급등에 따른 소비심리 약화와 주요국의 예상치를 웃도는 경기둔화 폭 확대 등의 영향으로 2022년 경제성장률이 상고하저(상반기 2.9%, 하반기 2.1%) 양상을 보이며 연간 기준으로 2.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 반기별 경제성장률(전년동기대비) : ’21.上 4.0% → ’21.下 4.0% → ’22.上(잠정치) 2.9% → ’22.下(전망치) 2.1%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가 점차 약화되는 가운데 가파른 금리인상과 경기 불확실성 확대로 우리기업들의 투자마저 위축되고 있는 상황 역시 성장률 하향전망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 원장 권태신)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인 2.4%로 전망했다. 당초 전망치인 2.5% 보다 0.1%p 낮은 수치다. 한경연은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2년 2/4분기]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설비·건설투자] 글로벌 경기둔화로 2021년 대비 감소, 하반기 반등 폭 크지 않아

설비투자는 글로벌 공급망 차질 장기화에 따른 주요국의 경기둔화 폭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확대되며 △2.8% 역(逆)성장할 전망이다. 이는 2021년 설비투자 성장률 8.3%에 비해 11.1%p 낮은 수치다. 특히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는 설비투자 증가율이 전년동기대비 △7.0%를 기록했으며, 하반기 설비투자 증가율은 1.5%에 그쳐 반등 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억제 의지로 부진을 지속해 온 건설투자는 최근 공공재개발 등 정부주도의 건물건설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공사에 차질이 생기면서 연간 기준으로 △1.7% 역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 2022년 건설투자 성장률(전년동기대비) : ’22.上(잠정치) △4.4%, ’22.下(전망치) 1.0%, 연간기준 △1.7%

 

[물가] 원자재가격 안정화 지연 및 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고공행진 전망

국제원자재 가격의 안정화가 지연되는 가운데, 최근 지속된 폭우로 농축수산물의 가격 역시 급등하면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최근 20년래 최고치인 5.3%로 전망되었다. 특히, 추석을 기점으로 수요압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물가상승을 전망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여기에 그동안 코로나19로 지연되었던 공공요금 인상이 올해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여 하반기에는 물가상승 폭이 더욱 가팔라질 전망이다.

* 2022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 : ’22.上(잠정치) 4.6%, ’22.下(전망치) 6.0%, 연간기준 5.3%

 

 

 

역(逆)기저효과 및 중국 경기둔화 폭 확대로 수출증가율 하락

그동안 한국경제의 성장을 견인해 왔던 실질수출도 지난 해 높았던 실적에 대한 역(逆)기저효과와 중국의 성장둔화 심화에 따른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2021년 수출 성장률 9.9% 보다 5.8%p 낮은 4.1%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 봤다.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및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변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 폭 확대로 교역조건 악화가 장기화될 경우에는 수출증가세가 더욱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경상수지는 수출 증가폭을 뛰어넘는 수입의 급증과 서비스수지 적자가 확대되면서, 지난해 883억 달러에서 올해 480억 달러 수준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2022년 국내경제전망> 

(단위: 전년동기대비(%), 억달러(국제수지부문))

  2020년 2021년 2022년
연간 상반 하반 연간 상반 하반 연간
GDP -0.9 4.0 4.0 4.0 2.9 2.1 2.4
민간소비 -5.0 2.4 4.8 3.6 4.1 2.5 3.2
건설투자 -0.4 -1.5 -1.5 -1.5 -4.4 1.0 -1.7
설비투자 7.1 12.6 4.1 8.3 -7.0 1.5 -2.8
지식생산물투자 4.0 4.0 3.7 3.9 4.5 3.4 3.9
수 출 -5.5 13.2 6.9 9.9 6.0 2.3 4.1
수 입 -7.1 8.6 8.5 28.8 6.6 2.9 4.7
               
소비자물가 0.5 2.0 3.0 2.5 4.6 6.0 5.3
               
경상수지(억달러) 753 418 465 883 215 265 480
상품수지(억달러) 819 384 378 762 182 216 398
서비스수지(억달러) -161 -38 6 -32 9 -44 -35
               
실업률(%) 4.0 4.5 2.9 3.7 3.2 3.1 3.1

한국경제연구원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