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펀드 부실 터졌다...투자자들 어쩌나!
Construction, Science, IT, Energy and all other issues
Search for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top search bar on blog!
건설,과학,IT, 에너지 외 국내외 실시간 종합 관심 이슈 발행
[10만이 넘는 풍부한 데이터베이스]
블로그 맨 위 상단 검색창 통해 유용한 정보를 검색해 보세요!
오래 전 부터 예상됐던 일
스토리1 : 경과
이지스자산운용의 100% 손자회사인 이지스리얼에셋투자운용이 운용하는 태양광 펀드가 발전소 개발사의 부실로 수백억 원대의 손실을 볼 위기에 처했다. 해당 개발사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조금이 끊기고 인허가가 예전처럼 나지 않자 재무 사정이 급속도로 악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정권의 급격한 신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정책에 기대 우후죽순 생겨난 태양광 발전소 개발 사업의 부실 문제가 속속 드러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이지스리얼에셋이 운용하고 있는 총 4개의 태양광 발전소 사모펀드 4개 중 2개에서 사고가 발생했다. 이지스리얼에셋이 굴리는 태양광 발전소 사모펀드는 총 4개(순자산 총액 1768억 9000만 원)다. 이 중 NH농협생명 등이 투자한 ‘이지스리얼에셋솔라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 제2호(2020년 6월 설립)’와 제3호(2020년 12월 설립) 등 2개 펀드에서 문제가 생겼다.
중소 태양광 개발사인 레즐러는 이들 펀드에서 발전소 부지 매입과 시설 공사를 위해 선급금을 받아갔으며 올해 6월 말까지 완공하기로 했다. 그러나 최근 이지스리얼에셋이 현장 실사를 한 결과 공사가 진행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됐다. 이지스리얼에셋 관계자는 “그동안 지급한 선급금의 행방이 묘연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레즐러는 “코로나19로 태양광 발전소 개발 인허가가 지연됐고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정부 지원 중단 등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며 “회사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펀드 수익자와 판매사는 정확한 피해 금액에 대해 밝히기를 꺼리고 있으나 수백억 원대로 추산된다. 레즐러의 2021년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이달 말까지 영월·태백·평창·해남 등에서 완료해야 하는 발전소 공사의 계약금은 250억 원, 2024년까지는 총 60곳, 1002억 원이다. 일반적으로 계약금의 50%를 미리 지급하는 구조상 최소 125억 원에서 약 500억 원의 손실이 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손양훈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는 “전 정부에서 탄소를 줄인다는 이유로 사업성을 검토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지원한 부작용이 하나둘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2013년 설립된 레즐러는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우수 중소기업이라며 표창까지 받은 중소 태양광 개발사로 2020년까지 매출 1000억 원을 넘기며 급격히 몸집을 불렸다가 지난해 460억 원의 손실을 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7EAJGKSF
스토리2 : 왜 터졌나
‘무분별 보조금’에 태양광발전 개발사 우후죽순…
'부실펀드 폭탄' 또 터질수도
레즐러 文정부서 급속 성장…매출 1000억 넘고 대통령 표창도
정부 ESS 보조금 지원 중단·인허가 지연 겹쳐 재무건전성 악화
운용사 선급금 주고 공사 진척 안살펴…‘제2 레즐러’ 우려 확산
이지스리얼에셋투자운용의 태양광 펀드 사고를 두고 업계에서는 터질 게 터졌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문재인 정부 기간 동안 급속하게 진행된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무분별하게 뿌려진 지원금을 노린 태양광발전 개발사들이 우후죽순 생겨났다. 자산운용사들은 이들과 손잡고 연 4%대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시하며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사모펀드를 찍어 냈고 이 같은 자금은 다시 전국적인 태양광발전 개발 사업에 뿌려졌다. 정부 보조금에 기대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한 중소 개발사 중 한 곳인 레즐러가 재무 위기에 봉착하면서 관련 펀드의 태양광발전 사업이 좌초 위기를 맞았고 해당 펀드는 수백억 원대의 펀드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추가 부실 펀드가 발생할 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다.
26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이지스리얼에셋의 태양광발전소 펀드 사고는 △정책에 기댄 중소 태양광 개발사의 과도한 사업 확장 △신재생에너지 정책 과속으로 인한 무리한 투자 △자산운용사의 관리 소홀이 겹쳐 일어났다는 분석이다.
이지스자산운용의 100% 손자회사인 이지스리얼에셋이 설정한 태양광 펀드는 총 4개로 현재까지 각각 2020년 6월과 12월에 설정된 2호와 3호에서 사고가 확인됐다. 케이프투자증권이 판매사인 4호의 경우 그 이후인 2021년 8월에 설정됐으며 ‘아직까지’는 문제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 펀드의 수익자는 NH농협생명·한화생명 등 보험사들이 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개별 펀드의 규모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4개 펀드의 총 설정액이 1768억 원인 점을 봤을 때 펀드당 300억~400억 원대로 추정된다.
이지스리얼에셋은 설정한 대부분의 태양광발전소 개발을 레즐러에 맡긴 것으로 알려졌다. 2013년 설립된 레즐러는 문재인 정부 들어 몸집을 급격히 키웠다. 2016년만 해도 매출액이 159억 원에 불과했으나 2020년에는 1000억 원을 넘기며 대전시로부터 ‘매출의 탑’ 상을 받았다.
레즐러는 2019년 중소기업인대회에서 문재인 대통령 표창 수상, ‘2020 국가 에너지 전환 우수사례 공모 대회’에서 기업 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등 촉망 받는 태양광 개발사였다. 그러나 지난해 매출은 195억 원으로 5분의 1 토막 났다. 순손실만도 460억 원에 달했다. 현대회계법인은 “2021년 말 기준 유동자산 485억 5000만 원, 유동부채 981억 3600만 원으로 유동부채가 유동자산을 495억 8600만 원 초과했다”며 “계속기업으로서 불확실성이 크고 회사 매출을 통한 재무 개선 및 유동성 확보 계획에 대한 적합한 감사 증거를 입수하지 못했다”며 ‘감사 의견 거절’을 냈다.
재무 위기에 휩싸인 레즐러는 ‘이지스 태양광 펀드’ 2호와 3호의 발전소 공사를 이달 말까지 마무리하기로 했으나 이를 이행하지 못한 것으로 이지스리얼에셋 측은 확인했다. 이지스리얼에셋의 한 관계자는 “공사비가 아닌 다른 곳에 쓰였을 것이라고 추측만 할 뿐”이라며 선급금 행방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서울경제는 레즐러 측에 공사가 진행되지 않은 이유, 선급금의 행방, 또 다른 자산운용사로부터 선급금을 받았는지 수차례 문의했지만 “특별히 밝힐 입장이 없다”는 대답만 돌아왔다.
업계는 레즐러의 재무 건전성 악화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을 믿고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한 결과라고 보고 있다. 레즐러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약 2년 정도 인허가 지연, 태양광발전 사업에서 비중이 큰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에 대한 갑작스러운 정부 지원 중단 등으로 예상하지 못한 심각한 경영난을 겪게 됐다”고 밝혔다. 태양광 개발 업계 관계자는 “레즐러는 공격적으로 땅을 매입하는 것으로 유명했다”며 “공사 선급금을 받고 이를 다른 부지 매입에 쓰다가 인허가가 늦게 나면서 자금 상황이 악화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17년 태양광발전 전력 저장 장치인 ESS설치에 대해 파격적인 보조금을 주며 설치를 장려했으나 2021년 신규 설치한 ESS에 대한 보조금을 끊기로 했다. 보조금을 노린 태양광 개발사들의 ESS 설치가 과도하게 급증했기 때문이다.
자산운용사의 관리 소홀도 문제로 지적된다. 선급금을 50%나 지급하고도 공사 진척 상황을 제때 확인하지 않았다. 레즐러의 감사보고서 의견 거절은 올 4월 12일 공시됐다. 그러나 이지스리얼에셋은 한 달이 지난 5월에야 레즐러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아챘다. 한 금융투자 업계 관계자는 “태양광발전소 공사가 비교적 소규모고 공사 기간이 짧다고는 하지만 선급금을 50%나 지급하고도 진척 상황을 살피지 않은 것은 운용사에 책임 소재가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다만 책임을 온전히 자산운용사에 돌릴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수익자도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케이프투자증권은 이지스리얼에셋투자운용의 344억 원 규모의 ‘이지스리얼에셋솔라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 제4호’를 판매했는데 당시 내부 검토 결과 ‘부정적 투자 의견’을 냈다. 그러나 수익자 측이 태양광발전소 부지와 개발사로 레즐러를 지정해 펀드 판매를 요청해왔다고 케이프 측은 설명했다.
자산운용 업계도 덩달아 긴장한 분위기다. 여러 운용사들이 신재생에너지 등 태양광 발전소 사모펀드를 운용하고 있어서다. 한 자산운용 업계 관계자는 “규모와 국내와 해외 투자 정도만 다를 뿐 주요 자산운용사 상당수가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사모펀드를 운용 중”이라며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해 자체 점검에 나선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제2의 레즐러가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태양광 개발사 등 건설 업체가 2000개를 넘어서는 만큼 재무 어려움을 겪는 업체가 레즐러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2020년 신재생에너지 개발사 등 건설 업체 수는 2169개인데 이 중 2084개(96.1%)가 태양광 건설 업체다. 매출 비중도 압도적이다. 전체 신재생에너지 건설업체 매출은 7조 390억 원인데 태양광 건설 업체는 5조 7653억 원(81.9%)이다.
이지스리얼에셋 관계자는 “시공사의 공사 미실행 위험을 대비하고자 사전에 보증보험에 가입하는 등 안전 장치를 마련했고, 펀드 만기가 길게 남아 펀드 정상화가 가능하다”며 “손실 여부를 판단하기 이르고 투자자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7EAJGKSF
https://www.fnnews.com/news/202111181825186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