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인재강국] 영재 못 알아 보는 서울대...탈락 학생 MIT 장학생...한국 교육 위기 심각

더보기

Construction, Science, IT, Energy and all other issues
Search for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top search bar on your blog!

 

건설,과학,IT, 에너지 외 국내외 실시간 종합 관심 이슈 발행  
[10만이 넘는 풍부한 데이터베이스]
블로그 맨 위 상단 검색창 통해  유용한 정보를 검색해 보세요!

 

서울대 떨어진 C군, 장학금 받고 MIT 갔다

'영재' 못기르는 한국교육

 

영재의 위기, 몇년뒤 첨단산업 위기로 번져

 

   국제과학올림피아드 메달리스트인 C씨는 현재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장학금을 받고 다닌다. C씨가 MIT에 다니는 것은 서울대 입학시험에 낙방했기 때문이다. 서울대 낙방생을 MIT는 장학생으로 모셔간 것이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일까. 비밀은 '영재'를 죽이는 우리의 입시 제도에 있다. C씨는 국제과학올림피아드 메달리스트지만 이를 학생 생활기록부에 기록할 수 없고 자기소개서에도 쓸 수 없다. 오히려 이를 쓰는 순간 '교외 수상 기록 공개'를 이유로 불이익을 받게 된다.

 

영재 수 10년새 30%이상 줄어

4차산업혁명 두뇌강국 적신호

 

정치 사당화

돈 권력에만 팔려 있어

(편집자주)

 

    과학을 좋아하고 과학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느라 C씨는 상대적으로 내신 성적이 떨어졌다. 과학올림피아드 메달리스트라는 입증된 '영재성'에도 불구하고 C씨는 '평균이 높은 아이'를 원하는 우리나라 입시의 문턱을 통과할 수 없었다. 하지만 MIT는 과학 분야 영재성 하나만 보고 C씨를 데려갔다. 19일 영재학교 물리 교사인 정 모씨는 "이런 사례가 우리 영재교육의 현주소"라고 안타까워했다.

 

중앙일보 edited by kcontents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이 2003년 '천재 경영'을 화두로 꺼내며 "천재 1명이 10만명을 먹여살린다"고 했지만 우리 사회는 영재 키우기에 인색하다. 특출난 영재보다는 '평균이 높은' 범재들만 키워내고 있는 것이다.

 

 

 

인구 감소 속도만큼 영재가 줄어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 영재학교·영재교육원 등에 등록된 영재 수는 7만9048명이다. 2012년 11만8377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0년 새 3만9329명이 줄어들었다.

 

2021년 전국 8개 영재교 평균 경쟁률은 13.69대1로 2016년 18.26대1이었던 것에 비하면 25%가량 줄었다. 영남권에 위치한 한 과학고등학교 교장은 "현재 100명인 신입생 정원을 내년부터 90명으로 줄인다"며 한숨을 쉬었다.

 

매일경제는 '과거에 비해 현재 영재들이 양적·질적 하락세에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지난 3일부터 15일까지 전국 영재학교·과학고 4곳의 교장을 직접 만나 의견을 물었다. 그 결과 이들 교장 모두가 "그렇다"고 답했다. 한 호남권 과학고 교장은 "5~6년 전까지는 입학생 100명 중 10명가량이 매우 뛰어난 실력을 보였다"며 "하지만 최근에는 그 비율이 100명 중 5명 정도로 줄어든 것 같다"고 전했다.

 

한국 영재의 위기는 몇 년 뒤엔 이공계 대학의 위기로, 다시 몇 년 뒤엔 4차 산업혁명 선도 기업의 위기가 될 것이다. 하지만 영재교육은 최근 몇 년간 우리 사회를 지배한 평등교육 정책의 희생양이 됐다. 올림피아드 입상 성적을 입시 실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하고, 내신과 생활기록부를 중시하게 함으로써 영재들을 둔재로 만들었다는 평가다.

 

각종 영재교육기관들도 위기를 맞고 있다. 현재 중학교 영재교육원은 경쟁률이 1대1에 가까워 지원만 하면 거의 합격이 보장되는 상황이다. 이들 교육기관은 조만간 영재 수 추가 감소와 함께 존폐 기로에 설 것으로 전망된다.

[안정훈 기자 / 박홍주 기자 / 김정석 기자] 매일경제

 


 

국제 수학올림피아드 1등도 떨어뜨린 서울대

영재가 사라진다

 

평등교육에 갈곳잃은 과학영재

국내대학 실패후 MIT 등 진학

 

 

 

국제수학올림피아드 금메달리스트인 A군이 서울대 수학과 입학시험에서 떨어졌다. 세계에서 수학을 제일 잘하는 학생으로 공식 인정됐지만 정작 서울대 수학과 입학에는 실패했다. 고등학교 내신 성적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올림픽에 나가 메달을 따면 체육특기자로 대학 입학 혜택이 주어진다. 하지만 국제수학·과학올림피아드 입상자는 혜택은커녕 이를 대학 입시 자기소개서에도 쓸 수 없다. '교외 경시대회'로 분류돼 이를 쓸 경우 오히려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19일 한 입시 전문가는 "국제올림피아드에서 메달을 받은 아이는 특별하게 생각해서 그에 걸맞은 혜택을 줘야 하는데 한국 입시는 '공정성'이라는 미명하에 모든 아이들을 동일한 잣대로 평가하려다 보니 수학·과학올림피아드 금메달리스트가 대학 입시에서는 떨어지는 웃지 못할 일이 일어난다"고 말했다.

 

2002년후 출생 '저출산 1세대'

고등학교 진학에 맞물려

국제올림피아드 최악성적 추락

 

'2차 저출산 충격' 2017년 시작

2035년 이후 고급인력 절반 뚝

 

 

 

 

저출산으로 그렇지 않아도 영재가 줄어들고 있는데 우리는 있는 영재도 제대로 키우지 못하고 있다. '입시 공정성'이라는 이름으로 영재성을 죽이고 '범재'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영재를 키워야 할 교육부가 영재 죽이기에 앞장서고 있다. 2010년부터 교육부가 학교생활기록부에 수학·과학·외국어 등 교과목에 대한 수상 실적을 기입하지 못하게 하고, 2014년부터는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에도 수상 실적을 기입하지 못하게 하면서 수학·과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하는 학생 자체가 줄어들었다. 교육계 관계자는 "국제올림피아드에 나가 수상하면서 실력을 인정받은 아이들이 서울대에 떨어지는 사례가 종종 나타난다"면서 "이들이 매사추세츠공대(MIT) 같은 미국 유수의 명문대에 진학하는 것을 보면 입시 제도에 문제가 많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이렇다 보니 국제수학·과학올림피아드에서 성적도 정체되거나 하락하고 있다. 2017년까지만 해도 수학 1위, 물리 1위, 생물 5위 등 대부분의 국제올림피아드 분야에서 5위권 내 성적을 기록하던 한국 고등학생 대표단은 2018년부터 수학 7위, 물리 3위, 생물 8위 등으로 다소 낮아졌다. 2021년에는 화학 12위, 생물 26위 등 두 자릿수 등수까지 밀려나는 과목도 나왔다.

 

문제는 '영재를 범재로 만들기' 교육의 폐해가 저출산으로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한국의 국제올림피아드 성적이 떨어지기 시작했던 2018년은 여러모로 의미가 크다는 분석이다. 2002년생은 인구학자들이 '1차 저출산 충격'이 왔다고 규정하는 시점에 태어난 세대인데, 이들이 2018년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0년(64만89명)까지 60만명대를 유지했던 전국 출생아 수는 2002년(49만6911명)부터 40만명대로 내려왔다.

 

더욱이 한국 영재의 양적·질적 위기는 가까운 미래 한층 더 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부터 '2차 저출산 충격'이 오기 때문이다.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4년간 40만명대를 유지한 전국 출생아 수는 2017년 30만명대(35만7771명)를 거쳐 2021년 20만명대(26만500명)로 떨어졌다. 매년 출생인구의 지능 상위 1%가량이 영재에 해당된다고 본다면 2016년까지 매년 4000여 명의 영재가 나오던 것이 2017년부터는 점점 줄어들어 2000명대로 내려앉는 셈이다.

 

실제 19일 매일경제가 전국 영재기관 등록자를 집계한 결과 2019년 10만명대(9만9998명)가 처음 깨진 영재 수는 2020년 8만2012명, 2021년 7만9048명으로 내려왔다. 해당 수치는 전국 영재학교·과학고, 교육청 영재교육원, 대학 영재교육원, 영재학급에 등록된 학생 수를 합산한 것이다. 영재교·과학고처럼 고등학교 수준의 영재교육기관 인원은 커다란 변화는 없지만 문제는 초등·중학교다. 일부 영재교육원은 사실상 지원만 하면 합격하는 수준으로 전락했다고 전한다.

 

2017년 이후에 태어나는 영재들은 지금으로부터 10년 후인 2032년부터 영재교·과학고에 입학하고, 2035년엔 이공계 대학생이 되고, 그 이후로는 한국 첨단 기술 분야를 이끌어나가는 인재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숫자는 현재 고등학교나 대학에 다니고 있는 영재 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미 현실이 된 영재난을 해결하기 위해선 수월성 교육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역설한다. 특히 탁월한 영재가 모여 있는 수도권에서 평등교육을 강조한 진보교육감이 장기 집권한 것 등이 국제올림피아드 결과 등에 안 좋은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창의력을 기른다는 명목하에 학문 간 융합이나 발표·토론 수업을 과잉 강조하는 교육 지침에 대한 문제도 거론됐다. 한 영남권 과학고 교장은 "기초가 되는 학문을 베이스로 깔면서 융합할 수 있는 형태의 공부가 돼야 하는데, 너무 융합 쪽을 강조하며 기본적 교육을 소홀히 하는 것 아닌가 싶다"고 밝혔다. 이긍원 고려대 디스플레이·반도체물리학부 교수는 "물리·화학은 기초 학문인데 수능에서 전부 선택과목으로 만들어놓으니 학생들이 어려운 과목을 기피하고 생물·지구과학으로만 몰린다"고 꼬집었다.

[안정훈 기자 / 박홍주 기자 / 김정석 기자 / 박나은 기자] 매일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