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항만 물동량' 개항 이래 역대 최고치 경신
산업과학 Construction,Science/교통해양 Transport, Marine2016. 1. 26. 16:01
14억 4천 913만 톤
컨테이너 환적 물동량 1천만 TEU 시대 도래
대산항, 인천항, 부산항,
전년 대비 각각 7.7.%, 5.2%, 3.6% 증가세
부산 항만 컨테이너 처리 세계 6위
부산 컨테이너 항만 전경 출처 리더경제신문
주요 항만별 물동량(’15)(단위: 천 톤, %)
출처 해수부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총 괄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2015년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이 총 14억 4천 913만 톤으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2014년 대비 2.3% 증가한 수치로, 수출입화물은 12억 706만 톤, 연안화물은 2억 4천 207만 톤을 차지하였다.
대산항, 인천항, 부산항 등은 전년 대비 각각 7.7.%, 5.2%, 3.6% 증가세를 나타냈으며, 포항항, 목포항, 평택?당진항 등은 전년 대비 각각 6.2%, 5.2%, 4.3% 감소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목재가 전년대비 28.4%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으며, 모래, 자동차 등도 전년 대비 각각 9.9%, 8.4% 증가한 반면, 기계류는 12.0%로 크게 감소하였으나, 철재는 1.1%로 소폭 감소하였다.
비컨테이너 화물
비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총 10억 1천 952만 톤으로 전년(9억 9천 770만 톤) 대비 2.2% 증가, 대산항, 인천항, 부산항 등은 증가세를 나타낸 반면 포항항을 비롯한 목포항, 평택?당진항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대산항은 유류 부두 증설(2선석, ‘15.6, 15.12) 이후 유류 수출입 물동량의 지속 증가와 유연탄 수입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 유류 수출입(41,747천 톤→47,570, 13.9%↑), 유연탄 수입(12,241천 톤→12,889, 5.3%↑)
인천항은 유류 수출입 물동량 증가와 유연탄 및 고철 수입 물동량 증가, 모래의 연안 물동량 증가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6.4%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유류 수출입(35,600천 톤→38,792, 9.0%↑), 유연탄 수입(12,432천 톤→14,468, 16.4%↑), 고철 수입(756천 톤→1,654, 118.8%↑), 모래 연안 물동량(15,565천톤→17,242, 10.8%↑)
반면, 포항항의 경우 철강 생산 관련품목인 철재, 고철, 무연탄의 물동량 감소로 인해 전년 대비 5.4% 감소하였으며,
* 철재 수출입(12,963천톤→10,405, 19.7%↓), 고철 수입(1,378천톤→895, 35.1%↓), 무연탄 수입(1,157천톤→565, 51.2%↓)
목포항은 선박 관련 기계류의 수출입 물동량 감소 및 자동차 연안 물동량 감소 등으로 전년 대비 5.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기계류 수출입(1,099천톤→120, 89.1%↓), 자동차 연안 물동량(3,056천톤→2,622, 14.2%↓)
품목별로 보면 모래, 자동차, 유연탄 등의 물동량이 전년 대비 각각 9.9%, 7.4%, 5.2% 증가한 반면, 기계류, 철재, 화공품 등은 각각 9.9%, 8.2%, 5.2% 감소하였다.
모래의 경우, 서해 EEZ 골재채취 증가로 인한 연안 물동량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9.9%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 모래 연안 물동량(53,839천톤→59,232, 10.0%↑)
자동차의 경우, 수입 물동량이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년 대비 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자동차 수입(3,520천톤→4,107, 16.7%↑)
반면, 기계류의 경우, 목포항·옥포항 등에서 선박 관련 기계류 수출입 물동량 감소 등으로 전년 대비 9.9% 감소하였으며,
* 기계류 수출입(9,960천톤→8,907, 10.6%↓)
철재의 경우 국내외 철재 수요 감소 등에 따라 전년 대비 1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철재 수출입(63,447천톤→52,410, 17.4%↓)
컨테이너 화물
한편,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세계 경기의 부진에 따른 수출입 물동량 둔화에도 불구하고 부산·광양항을 중심으로 한 환적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14년도(24,798천 TEU)에 비해 3.3% 증가한 25,626천 TEU를 기록하였다.
* 수출입화물 14,675천 TEU(0.5%↑), 환적화물 10,694천 TEU(7.0%↑)
** ‘15년 우리나라 수출입 동향(산자부) : 수출 5,272억$(7.9%↓), 수입 4,368억$(16.9%↓)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대비 4.0% 증가한 19,434천TEU(751천 TEU↑)를 기록하며 세계경기 둔화, 유가하락, 세계교역 축소 등의 요인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였다.
이 중 수출입은 일본·러시아 등 주요 교역국가*와의 물동량 감소의 영향으로의 전년대비 1.0% 증가한 9,349천 TEU를 처리하였다.
* ‘15년 부산항 주요국 수출입 물동량(전년대비) : 일본(1,274천 TEU, 5.7%↓), 러시아(184천 TEU, 21.9%↓), 미국(1,340천 TEU, 3.9%↑), 유럽(1,054천 TEU, 2.9%↑)
환적은 Maersk, MSC 등 대형 원양선사의 물동량 상승세에 힘입어 7.0% 증가한 10,085천 TEU를 처리하여 개항이래 최초로 환적 물동량 10,000천 TEU 시대를 맞이하였다.
광양항은 국적 선사들의 고른 실적 호조에 따른 환적 물동량의 증가(10.3%↑)에도 불구하고, 수·출입 화물 감소(3.8%↓)의 여파로 전년(2,338천 TEU) 보다 소폭 감소한 2,322천 TEU를 처리하였다.
인천항은 중국 및 동남아 국가와의 교역량 증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도(2,335천 TEU)에 비해 1.7% 증가한 2,374천 TEU를 처리하여 3년 연속 200만 TEU를 달성하였다.
* 중국(1,426천 TEU, 3.5%↑), 베트남(188천 TEU, 23.4%↑)
한편, 세계 10대 항만의 ‘15년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21,098만 TEU) 대비 0.3% 감소한 21,041만 TEU를 기록하였다.
상하이항은 3,654만 TEU(3.6%↑)를 처리하며 세계 1위를 유지하였고, 싱가포르항은 아시아
-유럽항로 침체에 따른 서비스 감축 등의 영향으로 ‘09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6년만에 마이너스 성장세로 돌아서면서 3,092만 TEU(8.7%↓)를 처리하며 2위를, 선전항(2,421만 TEU, 0.7%↑)은 3위를 기록하였다.
닝보-저우산항은 2,063만 TEU(6.1%↑)를 처리하며 홍콩항을 제치고 세계 4위의 컨테이너 항만으로 도약하였으며, 홍콩항(2,011만 TEU, 9.5%↓)은 지난해 대비 한단계 하락한 5위를 차지하였다.
부산항은 4.0%의 증가율*을 보이며 1,943만 TEU를 처리하여 6위를 유지하였다.
* 세계 10대 항만 중 닝보-저우산항(6.1%), 광저우항(5.8%), 칭다오항(4.2%)에 이어 네번째 높은 증가율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환적화물 인센티브제도 개편, 육상운송비 지원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신규 환적화물을 유치하고 기존 환적화물의 이탈을 방지하여 물동량 증가세를 지속 유지하는 한편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를 통해 우리 항만을 고부가가치 화물을 창출하는 선진형 항만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케이콘텐츠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