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시료 정보 관리, 세계를 선도한다
채취 환경시료 통합 관리 프로그램 구축
순수 국내 개발
독일, 미국 등 환경 선진국 정보 관리체계 앞서
국가환경시료은행 운영 개요
출처 환경부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환경오염 추적을 위한 환경시료의 정보 관리가 체계적으로 통합된다.
가령 50년 후에 '2015년 12월 17일 소나무 시료'를 검색하면 채취한 날의 장소부터 축적된 오염물질의 농도까지 모든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원장 박진원)은 환경시료의 '채취-분쇄-저장-분석' 각 단계별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초저온 환경시료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환경시료의 채취 지역, 시기, 시료의 크기, 오염물질 분석결과, 저장 위치 등과 같은 정보를 한 프로그램 내에 등록하고 이를 바코드화해 한 번에 모든 이력을 추적할 수 있게 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국가환경시료은행에는 2010년부터 6년간 수집한 총 8종 9,000여 점의 시료가 저장되어 있으며, 앞으로도 수십년 간 시료를 저장하더라도 이 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으로 자료를 관리하면 과거의 정보를 언제든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오염물질의 생태계 영향 모니터링을 위해 시대와 지역을 대표하는 시료를 채취하여 액체질소를 이용, -150°C 이하의 초저온에서 수십년 이상 보존·연구하기 위한 국가환경시료은행을 2010년부터 운영
또한, 전산화된 시료 정보는 연구를 원하는 환경분야 과학자들에게 제공되며 저장된 시료를 분양함으로써 환경오염 모니터링 연구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공한 시료 자료를 활용한 연구결과는 다시 국가환경시료은행 시스템에 등록된다. 이렇게 축적된 자료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어 향후 환경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는 과학적인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프로그램은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자들의 운영 경험을 토대로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 독일이나 미국 등 환경분야 선진국에서도 환경 시료에 대해 통합적인 정보 관리 체계를 갖추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세계 다수의 연구진들이 환경시료 운영 기술을 참고하기 위해 매년 국립환경과학원을 방문하고 있다. 지난달 24일에는 얀 코교렉(Jan Koschorreck) 독일 환경시료은행원장이 국립환경과학원에 방문을 했다. 미국, 일본, 베트남, 중국 등의 환경시료 연구 담당자들도 국립환경과학원의 운영 방식에 관심을 갖고 현장을 둘러보고 갔다.
이종천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 연구관은 “향후 환경시료 관리 프로그램의 활용 결과를 전세계 환경시료은행 관련 연구자들의 모임(ICESB)에서 소개함으로써 국내 환경연구의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 환경시료은행 연구자들의 모임(International Conference of Environmental Specimen Banks)
환경부
케이콘텐츠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