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vs가덕도 신공항' 유치전 재점화
국토부 "김해공항 2023년께 사실상 포화"
연내 타당성 조사 착수
백지화 3년 5개월 만에 신공항 건설 공식화
조사에만 1년…10조원대 재원 마련도 숙제
한국경제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항공 수요가 크게 늘어나 김해공항이 2023년께 사실상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국토교통부가 영남 신공항 입지 선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에 들어가기로 했다. 정부가 신공항 건설을 기정사실화한 것이다. 이에 따라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신공항 건설 검토를 언급한 이후 2011년 경제성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백지화되면서 소강 상태였던 지방자치단체 간 유치 경쟁이 다시 불붙을 전망이다. 국토부는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영남지역 항공수요 조사 연구’ 용역 최종 보고회를 열고 김해공항 등 영남지역 5개 공항의 장래 항공수요 예측 결과를 발표했다. 프랑스 파리공항공단(ADP)과 한국교통연구원이 지난 1년간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김해공항은 2015~2030년 이용객이 연평균 4.7% 증가해 2030년에는 지금의 2배 수준인 2162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2009년 이용객이 687만명에서 지난해 967만명까지 늘어난 김해공항은 2023년이면 이용객이 1678만명에 달해 활주로 혼잡이 시작될 것으로 점쳐졌다. 대구공항 이용객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108만명이 이용한 대구공항은 2030년 278만명(연평균 5.4% 증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울산·포항·사천공항은 2013년 83만명에서 2030년 103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영남지역 공항의 이용객 증가는 2009년 이후 저비용 항공사의 급성장으로 항공요금이 낮아지고 운항 편수가 증가하는 등 항공시장이 급변했기 때문이라고 국토부는 분석했다. 김해공항 국제선은 2009년 저비용 항공사 비중이 6%였으나 지난해 37%로 급증했다. 국제선 운항 편수는 2009년 24개 노선, 주 424편에서 지난해 30개 노선, 주 737편으로 늘었다. 영남 신공항 건설을 정부가 기정사실화함에 따라 지자체 간 신공항 유치전 2라운드도 시작됐다. 2011년 3월 국토부 입지평가위원회의 백지화 발표 이후 3년5개월 만이다. 후보지역은 이번에도 역시 부산 강서구 가덕도와 경남 밀양시 하남읍이다. 부산은 가덕도, 대구·경북은 밀양에 신공항을 유치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울산과 경남은 세 지자체에 비해 소극적인 편이다. 국토부는 이후 영남 신공항의 입지, 규모, 경제성 등에 대해 5개 지자체 합의를 거쳐 연내 사전타당성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미 20억원의 용역 예산이 책정된 이 조사의 핵심은 역시 입지로, 국토부와 지자체 간 조사안 합의부터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부산은 ‘해상공항으로 장애물 없는 안전한 공항’을, 대구·경북은 ‘영남권 5개 도시서 한 시간 이내 접근’을 각각 최대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부산시는 김해공항의 수용 능력이 한계에 달함에 따라 신공항 건설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부산의 입장이 가장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24시간 운영이 가능하고 주거지역과 떨어져 있어 소음문제 발생 우려가 없는데다 부산 신항과 연계한 복합물류체계를 갖출 수 있다는 점에서 가덕도 신공항 건설은 당연하다는 논리다. 반면 대구·경북은 이용객 편의를 고려해 지역 내 5개 도시에서 모두 한 시간 이내에 접근이 가능한지를 타당성 조사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런 입지가 가능한 곳은 밀양이다. 당초 밀양 신공항을 지지하다가 유보적인 입장으로 선회한 경남과 울산의 움직임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 타당성 조사에 걸리는 기간도 문제다. 우선 5개 지자체의 조사계획안 합의가 쉽지 않은데다 조사기간만 1년 이상 걸린다. 이후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조사를 거쳐야 한다. 어느 한 지역의 타당성이 입증되더라도 10조원대의 막대한 재원 마련도 이뤄져야 한다. 한국경제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